문화재/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고암(顧菴) 이응노(李應魯)의 <구성>

기리여원 2023. 4. 26. 05:17
728x90

<구성> _ 고암(顧菴) 이응노(李應魯, 1904~1989, 홍성 출생), 1973, 린넨에 잉크, 123×73cm,  이응노미술관

 

서예의 세계는 추상화와도 일매상통하는 점이 있습니다..(중략)..

한자는 원래 자연물의 모양을 떠서 만든 상형문자와 소리와 의미를 형태로써 표현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한자 그 자체가 동양의 추상적인 패턴이라고도 할 수 있지요.

그러니까 내 경우에 추상화로서의 이행은 書(서)를 하고 있었던 것,

그것으로부터의 귀결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요

 

- 이응노 -

 

고암(顧菴) 이응노(李應魯, 1904~1989, 홍성 출생) 

1924 제3회 조선미술전람회 <청죽> 첫 입선
1935~1938 도쿄 가와바타 미술학교, 혼고양화연구소, 덴코화숙 수학 
1948~1950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강의 
1958 도불기념 개인전 (중앙공보관, 서울) 
1959 개인전 및 부부전 (프랑크푸르트 & 쾰른, 독일) 
1960 폴 파케티 갤러리와 4년 전속계약 
1962 파리에서 첫 개인전 (폴 파케티 갤러리, 파리)
1964 파리 세르누쉬 미술관에 파리동양미술학교 설립
1965 제 8회 브라질 상파울로 비엔날레 특별상 수상
1967 개인전(누마가갤러리, 스위스) 
1972 개인전 (퀘리니 스탐팔리아 재단, 베니스)        
1973 평론가 피에르 자키야르와 「서예, 중국회화 그리고 추상회화」  공저
1974 개인전 (아닉 르 무안느 갤러리, 파리)
1975 회고전 《이응노 회화와 콜라주》(브리스톨 시립미술관, 영국)
1978 동양화 교습서 「수묵담채화법」 파리에서 출판 
1985 이응노·박인경 부부전(산요 갤러리, 도쿄) 
1988 회고전 <1950-1980>(브루노 파게티 갤러리, 뉴욕)
1989 프랑스 파리에서 1월 10일 심장마비로 별세

 

<구성> _ 고암(顧菴) 이응노(李應魯, 1904~1989, 홍성 출생)

 

2023. 04.18, 소마미술관_다시보다:한국근현대미술전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