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보물 제1470호_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기리여원 2023. 10. 28. 19:48
728x90

보물 제1470호 _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靈光 佛甲寺 佛腹藏 典籍), 묘법연화경 권3

 

수    량 : 일괄 (2건 213점)

지정일 : 2006.04.28

소재지 : 전남 영광군 불갑면 불갑사로 450, 불갑사 (모악리)

시    대 : 고려~조선

 

영광 불갑사의 명부전과 팔상전에서 나온 복장전적은 몇 권의 고려본을 포함하여 대부분 조선조 전기에 간행된 것으로 법화경, 금강경 등 당시 널리 유통된 대승경전들과 불교전문강원 중등과정인 사집과(四集科)의 교재를 비롯한 선종관련 이론서, 수륙재 관련 문헌 등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들은 조선전기 한국불교신앙 형태를 살피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함께 나온 31건의 나한상과 시왕상 등의 조상 발원문, 중국에서 수입한 만력년간의 불교문헌은 우리나라 불교사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등 한국불교사상과 문화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들이다.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靈光 佛甲寺 佛腹藏 典籍),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靈光 佛甲寺 佛腹藏 典籍), 금강반야바라밀경

 

2023.10.07, 불교중앙박물관_백암산 백양사

글 문화재청

 

▼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 본찰 봉선사입니다

보물 제1470호 _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靈光 佛甲寺 佛腹藏 典籍),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중 예념미타도량참법권6~10 표지판 _ 조선 1474년, 종이에 인쇄, 불갑사수다라성보관

 

정희왕후가 발원한 예념미타도량참법

 

미타참법에 대해 소개하고 참회 방법을 설한 의식집으로 원나라 왕자상이 편찬하였습니다. 이 책은 불갑사 팔상전에 모셔진 불상과 나한상의 복장유물로 정희왕후가 공혜왕후의 명복을 빌고 선대 왕과 왕비의 극락왕생을 위해 1474년에 간행한 것입니다.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靈光 佛甲寺 佛腹藏 典籍),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 본찰 봉선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