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875-6호_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
보물 제875-6호 _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一∼五)
수 량 : 5권 1책
지정일 : 2022.10.26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안암동5가, 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
시 대 : 1352년(고려 공민왕 1년)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은 1352년 음력 10월 지식 수한 등의 주도로 조성된 목판을 후대 찍어 만든 불경이다. 일부에서는 필사·보완과 함께 결장(변상도·서문 및 일부 장차, 권5 제23∼24장 등)의 사례도 보이고, 표지·제첨도 수리되어 있으며, 본문의 일부에서는 가필의 흔적(권1 제14장 등)도 확인된다. 그럼에도 공민왕 원년(1352년) 판본의 권1∼5 가운데 보각사업 이전의 원판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등 후대 보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적인 자료로서의 서지적 가치를 확보하고 있다. 이 중 권4∼5의 경우 보물로 지정된 동일 판본 가운데 포함되지 않은 권차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있으며 기 지정본에 비해 인출 시기가 앞선 판본이므로 학술적 가치 또한 높다. 이러한 사유로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1∼5’를 보물로 지정해 역사·문화적인 가치를 체계적으로 보존할 필요가 있다.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一∼五) _ 1352년(고려 공민왕 1년) , 1책, 목판본, 고려대학교도서관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은 1352년(공민왕 원년) 수한 등의 주도로 조성된 불경으로, 불교 의식과 참회법회를 상세히 기록한 의식집이다. 이 경전은 부처의 영험한 힘을 받아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발원을 담고 있다. 후대에 잘못 전해진 내용을 대교정하여 정리한 판본으로, 고려대학교도서관 소장본은 공민왕 원년 판본을 유지하며 서지적 가치가 높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5.06.28, 고려대학교 개교 120주년 특별전_120주년의 高·動, 미래지성을 매혹하다.
글 문화재청,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