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706호_중용주자혹문
보물 제706호 _ 중용주자혹문(1981-1) (中庸朱子或問(1981-1))
수 량 : 1책
지정일 : 1981.03.18
소재지 :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중앙도서관 (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
시 대 : 고려 공민왕 20년(1371)
『중용주자혹문(中庸朱子或問)』은 고려 공민왕 20년(1371)에 원나라로부터 수입하여 목판본으로 찍어낸 책으로, 송나라 주희가『사서(四書)』가운데 하나인『중용』에 대해 여러 문제점을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서술한 책이다.
비교적 원본(元本)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으며, 글자새김이 정교하고 인쇄가 깨끗한 편이다. 현재 두 권이 전해지는데 한 권은 고려대학교도서관에서, 다른 한 권은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
또한 책 끝에 홍호(洪虎) 4년(1371) 7월에 진주목에서 개판(開板)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이는 고려시대 지방관판본으로 문헌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홍호(洪虎)는 곧 홍무(洪武)이다. 고려 혜종(惠宗)의 이름이 무(武)이므로 피휘(避諱)하여 바꾸어 쓴 것이다. 이런 예는 고려간본(高麗刊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중용주자혹문(1981-1) (中庸朱子或問(1981-1)) 표지판 _ 예사의(倪士毅), 1303~1348집석(輯釋), 1371, 1책, 목판본, 고려대학교도선관
<중용주자혹문>은 주희가 <중용>에 대해 문답 형식으로 서술한 내용을 원나라라 학자 예사가 편집하여 1371년에 간행한 목판본이다. 주희는 <사서장구집주>의 여러 학설로 인한 혼란을 우려하여 문제점을 뽑아가 <혹문>을 저술했으며, 이 책은 그중 <중용장구>에 대한 문답을 담고 있다. 고려대학교도서관 소장본은 1371년 경상도 진주에서 간행되었다
2025.06.28, 고려대학교 개교 120주년 특별전_120주년의 高·動, 미래지성을 매혹하다.
글 문화재청,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