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 98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_청량사 유리보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 _ 청량사 유리보전 (淸凉寺琉璃寶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74.12.10 소재지 : 경북 봉화군 명호면 청량산길 199-152 (북곡리) 청량산에 위치한 청량사는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원효대사가 지은 절이다. 청량산에는 연대사라는 절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26개의 암자가 있어서 당시 신라불교의 요람을 형성했던 곳이다. 유리보전은 약사여래를 모시는 법당으로 약사전이라고도 한다. 늘 바람이 세찬 산골짜기의 한쪽에 나즈막하게 지어졌는데, 법당 앞이 절벽이라 마당이 좁은 편이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건물의 대들보 밑에 사이기둥을 세워 후불벽을 설치한 것은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특징으로 중요하게 평가..

보물 제1919호_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보물 제1919호 _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奉化 淸凉寺 乾漆藥師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수 량 : 불상 1구, 복장유물 일괄(19건 208점) 지정일 : 2016.11.16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247 청량사 시 대 : 통일신라~고려 초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은 흙으로 형태를 만든 뒤 그 위에 삼베를 입히고 칠을 바르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해서 일정한 두께를 얻은 후 조각하여 만든 건칠불상이다. 이 불상은 오래전부터 청량사의 주불전인 유리보전의 주불로 봉안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며, 엄숙한 상호, 당당하고 육감적인 양감, 균형 잡힌 신체, 탄력과 절제된 선묘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 계통의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의 양식계통을 따르고 있다. 불상의 초창 기록이 확인되지 ..

문화재/보물 2022.10.30

보물 제1666호_봉화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보물 제166호 _ 봉화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奉化 淸凉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지장보살상 수 량 : 3구(발원문 1점 포함) 지정일 : 2010.10.25 소재지 : 경북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청량사 시 대 : 1578년 지장보살상은 지옥중생의 구제를 위해 깊은 사유에 잠긴 듯 고요하게 처리된 상호(相好)에서 높은 종교성을 읽을 수 있고, 불신의 구성 요소요소가 상호 유기적이고 이지러짐이 없어 조각적 완성도도 높다. 불신에 표현된 선 역시 불필요한 선들은 최대한 배제하고 힘과 강약이 있는 직선과 곡선을 적절하게 구사하여 유려하면서도 탄력 넘치는 세련된 선묘를 보여준다. 형태가 다소 둔중한 느낌이 없지 않으나 이러한 점이 오히려 중후한 안정감을 주어 보살상의 종교적 완성미를 이루는데 공헌하고 있는 ..

문화재/보물 2022.10.30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91호_봉화 청량사 건칠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91호 _ 봉화 청량사 건칠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수량 : 1구 및 복장일괄 지정일 : 2015.12.28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얼굴, 신체, 착의법 등을 통해 12~13세기에 영남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像으로서 고려시대 불상 연구에 매우 귀중한 사례라고 판단된다. 이 불상은 옻을 입힌 삼베를 여러 겹 붙여 제작한 건칠상으로서 손은 칠포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보관, 배면 등에 보수와 손상이 있으며 도금 상태도 양호하지 않지만 전체적인 외양은 잘 유지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제작 사례가 많지 않은 건칠ㆍ칠포상이며, 嵌入기법이 사용된 눈을 가지고 있는 등 희귀성이 돋보이는 불상이다. 2015.12.26. 봉화 청량사 유리보전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최치원(崔致遠)의 계원필경(桂苑筆耕)

_ 최치원(崔致遠, 875~미상), 조선 1834년,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계원필경 」은 신라 말기 고운사의 중창자(重創者)인 최치원(崔致遠, 875~미상)이 지은 문집으로 총 20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부터 14권까지는 879년 10월 이후 885년 3월 이전까지의 기록이다. 당나라 말기 황소와 천능을 비롯한 중국 각 지역의 반란을 비판 하는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이 포함된 글들이 실려 있다. 또한 15권부터 20권까지는 여러 시문 중 불교와 관련한 글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통해 유학자였지만 불교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최치원의 불교 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 _ 최치원(崔致遠, 875~미상) 2022.09.13, 불교중앙박물관_등운산 고운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78호_충주 고불선원 소조여래좌상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78호 _ 충주 고불선원 소조여래좌상 (忠州 古佛禪院 塑造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0.11.05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신내면 성당리 401 시 대 : 고려시대 추정 신니면 선당리 고불선원(古佛禪院)에 단독으로 모셔져 있는 이 불상은 소조불(塑造佛) 로서 양손을 일부 보수한 것을 제외하면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인데 얼굴에 철분을 칠하였다. 상호는 몸에 비하여 크게 표현하여 비례가 잘 맞지 않는 느낌이다. 얼굴은 네모진 모습이며 통통하게 살이 오르고 머리카락은 나발(螺髮)에 계주(髻珠)를 표현하였다. 이마에는 백호가 표현되었는데 보주는 최근에 삽입하였다고 한다. 몸통은 얼굴에 비하여 작게 표현되었는데 손가락 부분은 보수된 관계로 정확한 수인을 알 수 없으나 왼손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