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물/경기도 32

경기도 기념물 제163호_청주한씨문익공파묘역

경기도 기념물 제163호 _ 청주한씨문익공파묘역 (淸州韓氏文翼公派墓域)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97.05.16 소재지 : 경기 시흥시 거모동 산62번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인조의 장인인 한준겸(韓浚謙, 1557∼1627) 선생과 후손들의 가족 묘역이다. 묘역은 한준겸 묘를 중심으로 좌측에 아들 한회일(韓會一) 묘역과 우측에 손자 한이성(韓以成) 묘역, 그리고 앞쪽에 증손 한두상(韓斗相) 묘역이 4대에 걸쳐 조성되어 있다. 한준겸 묘역은 부인 황씨(黃氏)와 합장한 단분(單墳 ; 하나의 봉분)의 형태이다. 17세기 전반기의 묘제를 잘 보여주는 곳으로 묘표에서부터 동자석인과 장명등까지 골고루 갖춘 표준이 되는 묘역이다. 묘표는 1628년(인조 5)에 제작한 것으로 대리석 재질의 정갈한 비석이다. ..

기념물/경기도 2023.03.20

경기도 기념물 제74호_농성

경기도 기념물 제74호 _ 농성 (農城) 수량/면적 : 1동 지정일 : 1981.07.16 소재지 : 경기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산41-5번지 해발 24m의 낮은 구릉지에 있다. 성벽은 구릉의 정상부를 중심으로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축조되어 있다. 농성 주변은 낮은 구릉과 평야가 펼쳐져 있어 남쪽과 서쪽은 아산만 일대까지 바라보인다. 농성 북쪽 2km 지점에는 진위천과 안성천이 합류하여 아산만으로 향하고 있으며 동서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농성의 평면 형태는 남북이 긴 장방형이다. 전체 둘레는 337m이며 외벽이 높이는 8∼10m 다. 성벽은 부분적으로만 조사되었다. 토성벽은 성토층이 두껍고 경사지게 조성된 것으로 보아 판축공법이 아니라 성토다짐공법으로 쌓은 것으로 보인다. 문지는 동벽과 서벽의 중간부..

기념물/경기도 2023.03.02

독립운동가 안재홍 생가

경기도 기념물 제135호 _ 안재홍 생가 (安在鴻 生家) 수량/면적 : 일곽 지정일 : 1992.12.31 소재지 : 경기 평택시 고덕면 두릉리 646번지 근대 시기의 대표 언론인 민세 안재홍(安在鴻, 1891~1965)이 태어나 살던 집이다. 안재홍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일보 주필로 재직하면서 신간회와 물산장려운동을 이끌었으며, 고대사 연구와 문자보급에 앞장선 민족지사이며 학자였다. 이 집은 평택시 고덕면 계루지 마을의 야산 기슭에 남향하고 있다. 원래 상당한 규모의 집이었으나 지금은 안채와 사랑채, 대문채만 남아있다. ‘ㄱ’자형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가 안마당을 중심으로 ‘ㄷ’자형 배치를 이루고 사랑채의 동쪽으로 대문채가 위치한다. 상량문에 안채는 1914년에 지었으며, 사랑채는 1932년에 지었다고..

기념물/경기도 2023.02.28

경기도 기념물 제57호_원균장군 묘, 원릉군기념관, 원릉군 사우

경기도 기념물 제57호 _ 원균장군 묘 (元均將軍 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80.06.02 소재지 : 경기 평택시 도일동 산82번지 조선 중기의 무신인 원균(元均, 1540∼1597) 장군의 묘이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투옥되자 그를 대신하여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부산에 있는 적을 공격하던 중 칠천량해전에서 대파하여 전사하였다. 이후 1604년(선조 37)에 권율·이순신과 함께 선무 1등공신으로 벼슬이 높여졌다. 묘역은 부인 파평 윤씨(坡平尹氏)와 합장한 원형 단분(單墳; 하나의 봉분)의 형태이다. 1981년 후손들이 묘역을 정비하면서 원형이 상당부분 변형되었고, 또한 묘표(墓表; 무덤 주인공의 이름 등을 새긴 비석)와 문석인을 제외한 모든 석물들이 1981년에 새롭게 조성되었다. 봉분의 정..

기념물/경기도 2023.02.04

경기도 기념물 제87호_강희맹선생묘 및 신도비

경기도 기념물 제97호 _ 강희맹선생묘및신도비 (姜希孟先生墓및神道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5.09.20 소재지 : 경기 시흥시 하상동 2번지 조선 초기 성종대의 뛰어난 학자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농학자 강희맹(姜希孟, 1424∼1483) 선생의 묘이다. 세종 29년(1447) 24세로 장원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세조 9년(1463) 중추원 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세조의 총애를 받아 세자빈객이 되었다. 예종 즉위년(1468)에 진산군(晉山君)에 봉해졌으며, 성종 13년(1482)에 좌찬성에 이르렀다. 문장이 당대 으뜸이고 글과 그림에도 뛰어났으며, 인품이 겸손하고 치밀해 맡은 일을 잘 처리하였다.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세조실록』, 『예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경국대전』,..

기념물/경기도 2023.01.22

경기도 기념물 제56호_ 이대원장군묘 및 신도비

경기도 기념물 제56호 _ 이대원장군묘및신도비 (李大源將君墓및神道碑) 수 량 : 일원5,643㎡ 지정일 : 1980.06.02 소재지 : 경기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산83-6번지 조선 중기의 무신 이대원(李大源, 1556∼1587) 장군의 묘이다. 1587년(선조 20)에 남해안에 출몰한 왜구를 토벌하는 데에 큰 공을 세웠다. 이후 왜구가 다시 흥양에 침입하자 출병하여 손죽도 해상에서 적과 싸우다 전사하였다. 묘역은 그의 부인인 경주 김씨(慶州金氏)·용인 이씨(龍仁李氏)와 함께 매장된 삼분(三墳 ; 봉분이 3개인 무덤)의 형태이다. 그 중 장군의 봉분은 중앙에 있는데, 시신을 수습하지 못하여 옷으로 대신하였다고 전한다. 묘표(墓表; 무덤 주인공의 이름 등을 새긴 비석)는 원수방부형(圓首方趺形; 둥근 머릿..

기념물/경기도 2023.01.22

경기도 기념물 제103호_조남리 지석묘

경기도 기념물 제103호 _ 조남리 지석묘 (鳥南里 支石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88.03.21 소재지 : 경기 시흥시 조남동 408-4번지 지석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거대한 덮개돌[上石]이 지상에 드러나 있고 그 밑에 고임돌[支石], 묘역시설(墓域施設), 무덤방 등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지역과 시기에 따라 그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는 무덤방이 지상에 위치한 탁자식(卓子式)과 지하에 위치한 기반식(碁盤式) 또는 바둑판식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지하에 무덤방이 위치하지만, 거대한 덮개돌 아래에 고임돌을 두지 않는 형식을 별도로 개석식(蓋石式), 또는 무지석식(無支石式)이라 칭한다. ‘..

기념물/경기도 2023.01.21

경기도 기념물 제26호_이덕남장군묘

경기도 기념물 제26호 _ 이덕남장군묘 (李德南將軍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75.09.05 소재지 : 경기 안성시 미양면 구수리 85번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이덕남(李德南, ~1592) 장군의 묘이다. 이덕남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인 안성에서 외삼촌 홍자수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북진하는 왜적을 수차례 격퇴하였다. 그 뒤 용인·죽산·양지에 진을 구축하는 동시에 서운산성에 토성을 쌓아 경기·충청 지방의 의병들과 합세하여 왜적을 무찌르다 전사하였다. 1718년(숙종 44)에는 묘소에서 1㎞ 떨어진 장군의 생가에 정문(旌門; 충신, 효자, 열녀 등을 표창하고자 그 집 앞에 세우던 붉은 문)이 세워지고 병조참의의 벼슬이 내려졌다. 묘역은 부인과 함께 매장된 쌍분(雙墳 ; 두개의 봉분)의 형태이다..

기념물/경기도 2022.08.27

경기도 기념물 제75호_영창대군묘

경기도 기념물 제75호 _ 영창대군묘 (永昌大君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일죽면 고은리 산24-5번지 영창 대군(永昌大君) 이의(李㼁, 1606~1614)는 선조(宣祖)의 유일한 대군이다. 모후는 인목 왕후(仁穆王后)이다. 영창 대군은 선조의 사랑을 받았으나 어려서 선조가 승하했으며, 소북파(小北派) 유영경(柳永慶) 등이 지지했다. 광해군(光海君)과 이이첨(李爾瞻) 등은 이들을 미워하여 ‘7서(庶)의 옥(獄)’이라는 옥사(獄事)를 일으켰다. 이 옥사는 유영경 등이 영창 대군을 왕으로 옹립하려 했으며, 인목왕후의 부친 김제남(金悌男)도 관계되었다며 많은 사람을 처형한 무옥(誣獄; 억울한 옥사)이었다. 이로 인해 영창 대군은 서인으로 강등되어 강화도에 위리안치..

기념물/경기도 2022.08.23

경기도 기념물 제136호_북한산 중흥사지

경기도 기념물 제136호 _ 북한산중흥사지 (北漢山重興寺址)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92.12.31 소 재 지 :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259번지 북한산의 잠룡동 계곡과 용계동 계곡이 합쳐지는 지점의 북쪽 경사지에 있다. 중흥사는 창건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록은 알 수 없다. 다만 중흥사에 1103년(고려 숙종8) 청동반자와 1344년(충혜왕 5년)에 만든 향완이 전하고 있어 고려 초에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1385년(고려 우왕11)에 조성된 태고 보우의 탑비를 통해 보우선사가 1341년 중흥사에 태고암을 짓고 주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태조 때 중흥사의 조세를 면제했고, 태종 때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어 조선 초기까지 어느 정도 사세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

기념물/경기도 2022.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