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사찰 265

구름도 채색하는 아름다운 절! 괴산 채운암

괴산 채운암에 있는 지정문화재 1.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91호_괴산 채운암 목조여래좌상 2.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30호_괴산 채운암 대웅전 채운암 대웅전 채운암 (彩雲庵)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2길 30 (화양리, 채운암) 채운암(採雲庵, 彩雲寺로도 불린다)은 원래 현재의 위치에서 화양천을 건너 마주보이는 첨성대 안쪽계곡에 있었다. 고려 충열왕 3년(1277)에 도일선사가 창건하고 ‘수도암’이라 하였는데, 조선 광해군 2년 혜식선사가 중창하고 ‘채운암’이라 개칭하였다. 또한 현 위치에는 효종 4년(1655) 혜일선사가 ‘환장사(煥章寺)’를 창건하였다. 그후 한말 왜병들의 방화로 대웅전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전소되었고, 건너편에 있던 채운암이 1948년 홍수로 매몰되자 그 요사채 일부를..

문화재/사찰 2022.08.05

진안 천황사(天皇寺), 남암(南庵)

진안 천황사에 있는 문화재 1. 천연기념물 제495호_진안 천황사 전나무 2.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호_전황사 대웅전 3,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23호_천황사부도 4. 국가등록문화재 제626호_진안 천황사 괘불도 5. 진안군 향토문화유산 제21호_천왕사 대웅전 석가여래삼존불상 및 대좌 · 수미단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호_전황사 대웅전 천황사(天皇寺)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갈룡리 구봉산에 있는 사찰인 천황사는 금산사의 말사이다. 신라 헌강왕 때인 875년에 무염 국사가 창건하였고, 1065년 대각국사 의천이 중창하였다. 본래 이 천황사는 주천면 운봉리에 있었으나 숙종 때 중건을 하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설선당, 요사채 등이 있다.전라북도유형문화..

문화재/사찰 2022.05.18

김포 문수사

김포 문수사에 있는 지정문화재 1.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1호 _ 문수사 풍담대사부도 및 비 경기도 전통사찰 제62호 _ 문수사(文殊寺) 문수사(文殊寺) 소재지 :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 212-12 문수사는 신라 혜공왕 때 처음 세운 이후 조선 광해군 6년(1613) 화주승* 도욱이 고쳐 지었으며, 순조 9년(1809) 화주승 광선이 다시 한번 고쳐 지었다. 건축물로는 대웅전과 요사채** 2동이 있으며, 대웅전 안에는 목조 비로자나불이 있다. 서쪽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1호 풍담 대사 부도(승탑) 및 비가 있다. 본래 문수사가 자리한 문수산의 이름은 비아산(比兒山)이었는데, 문수사가 세워진 이후부터 문수산이라 불리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산성의 이름도 문수산성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문수사는 현..

문화재/사찰 2022.03.04

구례 화엄사 구층암

구층암(九層庵) 천불보전(千佛寶殿) 구층암(九層庵)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의 산내 암자이다. 전하는 유물로 보아 신라말에 창건된 것으로 보이며, 사찰 이름으로 보아 본래 구층석탑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연혁이 전하지 않아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다. 건물로는 천불보전과 수세전·칠성각·요사채 등이 있다. 이중 천불보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건물로 아미타여래불을 모시고 있으며 뒤에는 토불(土佛) 1,000개가 모셔져 있다. 탱화는 제석탱화가 걸려 있다. 수세전은 정면 2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산신탱화와 칠성탱화가 모셔져 있다. 요사채는 천불보전 좌우에 있다. 유물로는 동종과 석등·삼층석탑 등이 있다. 이중 동종은 1728년(조선 영조 4) 조성된 것으로 높이 64cm..

문화재/사찰 2022.01.14

대부도 쌍계사

안산 쌍계사에 있는 지정된 문화재 1.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1호 _ 쌍계사 목조여래좌상 2.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_ 쌍계사 현왕도 3.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10호 _ 쌍계사 아미타회상도 * 지정문화재 3점중에서 쌍계사 현왕도와 아미타회상도는 볼 수가 없었습니다. 대부도 쌍계사 전경 쌍계사(雙溪寺)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황금로 1171 (대부북동) 본사는 경기도 옹진군 북리 대금산(大金山)에 위치하고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사찰입니다. 한국의 토속적인 사찰로서 취촉대사(聚歜大師)가 이곳을 지나다 산마루 중턱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다가 깜빡 잠이 들었는데, 5마리의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꿈을 꾸고 깨어나 보니 이상하게 생각되어 그 자리를 파 헤쳐보니, 용바위 밑에서 맑은 물이 솟..

문화재/사찰 2022.01.01

양평 상원사

양평 상원사에 있는 지정문화재 1.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19호 _ 양평 상원사 철조여래좌상 2.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4호 _ 양평 상원사 동종 양평 상원사 대웅전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상원사길 292 창건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유물로 미루어 보아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1330년대에 보우가 이 절에 머물며 수행했고, 1398년(태조 7)에 조안이 중창했으며, 무학이 왕사를 그만 둔 뒤 잠시 머물렀다. 1458년 해인사의 대장경을 보관하기도 하였다. 1462년(세조 8)에는 세조가 이곳에 들러 관세음보살을 친견하고 어명을 내려 크게 중수했다고 하는데, 최항이 그때의 모습을 기록한 가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 1463년(세조 8)에는 왕이 직접 거동하였으며 효령대군(孝寧大君)의 ..

문화재/사찰 2021.12.18

평화와 치유의 섬 '제주 불교의 중심', 제주 관음사

제주 관음사에 있는 지정문화재 1.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6호 _ 관음사 목조관음보살좌상 2.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51호 _ 관음사의 왕벚나무자생지 관음사 대웅전 관음사(觀音寺) 대한불교조계종 제23교구의 본사이다. 창건자 및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숙종 때 제주목사였던 이형상(李衡祥)이 제주에 잡신이 많다 하여 많은 사당과 함께 사찰 500동을 폐사시켰을 때 폐허가 되었다. 현재의 관음사는 1909년 봄 비구니 봉려관(蓬廬觀)이 창건한 것이다. 봉려관은 제주도 사람으로 1901년 비양도(飛揚島)로 가는 길에 우연히 풍랑을 만나 사경에 이르렀을 때 관음보살의 신력으로 살아나게 되자, 1907년 비구니가 되었다. 1908년 제주도로 돌아와 4월 경찬재(慶讚齋)를 열었다. 이후 주민들이 반대하여..

문화재/사찰 2021.12.02

제주 서귀포시 서산사

제주 서귀포시 서산사 1,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0호 _ 서산사소장목조보살좌상및복장일괄 서산사 대웅전(西山寺 大雄殿) 서산사는 한라의 줄기가 벋어내려 제주도의 서남단 모슬포 시가지 서쪽에 위치하여 망망대해를 품어 안고 자리한 곳으로 1928년에 독립운동가이신 강창규(姜昌奎)스님이 암자를 지어 대한불교조계종 서산사로 창건하였다. 서산사 출입구 서산사 공덕비 및 기념비 서산사 요사체 서산사 범종각 서산사 범종 서산사 대웅전(西山寺 大雄殿) 서산사 대웅전(西山寺 大雄殿) 서산사 대웅전(西山寺 大雄殿) 제주의 특색을 살려 돌을 사용하여 건축한 대웅전 서산사 대웅전(西山寺 大雄殿) 현판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 관세음음보실, 지장보살을 모시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0호 _ 서산사소장목조보살좌상..

문화재/사찰 2021.11.16

개화산 약사사(開花山 藥師寺)

개화산 약사사에 있는 지정문화재 1.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9호 _ 약사사 삼층석탑 2.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호 _ 약사사 석불입상 약사사(藥師寺) 대웅전(大雄殿) 개화산 약사사(開花山 藥師寺) 소재지 : 서울 강서구 금낭화오17길 261 개화산(開花山) 약사사는 서울 강서구 관내 전통사찰 중 제1의 위상을 지닌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사찰입니다. 도량 중앙에는 삼층석탑(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9호)과 석불(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0호)이 모셔져있어 고려 후기의 창건 역사를 가늠케 합니다. 1486년(성종 17년)에 완성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약사사가 주룡산에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조선 후기 작성된 「양천읍지(陽川邑誌)」에 따르면 신라 때 주룡이라는 도인이 이 산에 머물렀다하여 주..

문화재/사찰 2021.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