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부산광역시 28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4호_김두량 필 삽살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4호 _ 김두량 필 삽살개 (金斗樑 筆 犬圖) 수 량 : 1점 지정일 : 2019.05.29 소재지 : 부산광역시 수영구 이 작품은 金斗樑이 1743년에 그린 삽살개 그림과 영조대왕이 쓴 화제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당대에 제작된 의 머릿그림이었으나 근간에 따로 떼어 족자로 장황하였고 보존상 보호 액자로 이중 표구되어 있다. 김두량은 화원으로서 別提에 발탁되었고, 영조의 총애를 받아 南里라는 호를 직접 하사받았던 것으로 보아 화원으로서의 평가가 대단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림의 구도는 삽살개가 고개를 들고 입을 벌려 짖는 자세를 측면으로 화면에 꽉 차게 구성했으며, 약간의 경사를 두어 담묵의 태 점으로 지면을 나타냈다. 활달하면서도 卯方이 넘치는 필치의 이 그림은 개의 표정..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호_충렬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호 _ 충렬사 (忠烈祠) 수 량 : 5동 지정일 : 1972.06.26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345 (안락동, 충렬사) 충렬사는 1592년 일어난 임진왜란 때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부산지방의 순국선열이나 공을 세운 선열을 모신 곳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전쟁이 끝난 뒤인 1605년(선조 38)에 동래부사 윤훤(尹暄)이 동래읍성 남문 안에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의 위패를 모신 송공사(宋公祠)를 지어 매년 제사를 지낸 것이 그 시초이다. 그 후 1624년(인조 2) 선위사(宣慰使) 이민구(李敏求)의 청으로 ‘충렬사’라는 사액(賜額)이 내려짐에 따라 송공사는 충렬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1652년(효종 32) 동래부사 윤문거(尹文擧)가 사당이 좁고 성문 가까이에 있어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5호_박기종 유물 일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5호 _ 박기종 유물 일괄 (朴琪淙 遺物 一括) 수 량 : 3종 33점 지정일 : 2013.05.08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부산박물관 소장 박기종 유물 일괄은 문서류 25점, 전적류 3점, 사진류 5점 등 총 33점으로, 1978년 박기종 선생의 후손이 부산박물관에 기증한 유물이다. 문서류는 교지(敎旨), 칙령(勅命), 칙지(勅旨) 등 박기종 본인과 부인, 조부모, 증조부모와 관련된 것과 개성학교 건립 시 사용한 당좌수표인 개성학교 금수취록 등이다. 전적류는『상경일기(上京日記)』 1책, 『도총(都摠)』 2책이다. 두 책 모두 박기종이 외부참서관(外部參書官)에 임명되기 직전부터 시작하여, 재임 중 서울에서 생활하면서 한말 외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7호_민건호 필사본 일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7호 _ 민건호 필사본 일괄 (閔建鎬 筆寫本 一括) 수 량 : 32점 지정일 : 2018.01.31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박물관) 시 대 : 조선후기 19세기 후반, 20세기 초 ○ 해은일록(海隱日錄) 29책, 해은만록(海隱謾錄) 1책, 해은수연운(海隱壽宴韻) 1책, 동행일록(東行日錄) 1책, 합계 32책이다. 저자는 민건호(閔建鎬)다. 민건호는 전라남도 해남 출신이다. 1843년 8월 27일 태어나서, 1920년 1월 19일 사망하였다. 1883년 12월 부산항 감리서 서기로 관료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 이후 감리서 방판, 다대진첨사 등을 역임하면서 1894년까지 부산에 생활하였다. 이때 쓴 일기가 해은일록이다. ○ 1881년 박정양(朴定陽..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1호_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1호 _ 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 (柳成龍 筆 陳時務箚 草稿) 수 량 : 1점 지정일 : 2012.05.17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시 대 : 조선 1592년 이 작품은 서애 류성룡이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 11월 평안도 정주(定州)에 있으면서, 국가의 시무(時務)에 대하여 올린 차자(箚子)의 초안이다. 1633년(인조 11)에 간행된 『서애집(西厓集, 서애선생문집)』 권5, 차(箚), 「진시무차(陳時務箚) 임진 11월 재정주(壬辰十一月 在定州)」의 초고에 해당하는 문서이다. 이 차자는 세로로 116행의 초서(반초서)로 쓰여 있으며, 가로로 9장의 한지를 이은 두루마리 형태로, 첫째 장은 앞부분이 잘렸고, 아홉째 장은 끝..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4호_이덕성가 문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4호 _ 이덕성가 문적 (李德成家 文籍) 수 량 : 고문서 67매, 고서 10종 13책 지정일 : 2008.04.02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이덕성가는 정치적으로는 소론, 학문적으로는 양명학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조선후기에는 강화학파를 형성하여 조선 중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조선조 사회에 정치적, 학술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친 집안으로, 세상에서 말하는 육진팔광(六眞八匡)을 배출하였다. 아울러 대대로 명필을 많이 배출하여 이광사의 필체는‘원교체’라 하여 추사 김정희와 쌍벽을 이루었다. 이 고문서들은 모두 임진왜란 이후인 17~18세기의 것들이다. 이들 문적들이 시기적으로는 300~400년 남짓하지만 보물 제1501호로 지정된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_동래부 동하면 고문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 _ 동래부 동하면 고문서 (東萊府 東下面 古文書) 수 량 : 30책 지정일 : 1993.12.31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이 문서는 조선시대 동래부 동하면(지금의 부산시 해운대구) 일원의 지방자치 행정에 관련된 문서이다. 전 30책으로 1910년 이전의 문서가 383면, 이후의 문서가 87면으로 합 470면이다. 이 고문서는 동하면 지역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소상히 알려줄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지방행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밝혀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동하면우세답개양안(東下面牛稅畓改量案) _ 조선 1824년 동하면우세답개양안 표지판 동면하단관우절목책(東面下端官牛節目冊) _ 조선 1765년 동면하단관우절목책 표지판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8호_유원각선생 매안감고비 및 비각

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8호 _ 유원각선생 매안감고비 및 비각 (柔遠閣先生 埋案感古碑 및 碑閣) 수 량 : 1기 지정일 : 2001.10.2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시 대 : 광무 10년(1906) 이 석비는 광무 10년(1906)에 세워졌으며, 조선 후기 대일외교의 실무관청이었던 유원각(柔遠閣)과 관련된 유일한 금석문 자료이다. 비석에는 비의 건립배경과 목적, 비석을 세운 사람들의 이름 등이 새겨져 있어, 약조제찰비(시도기념물 제17호)와 함께 왜관(倭館) 및 조선 후기∼근대의 부산역사와 대일관계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비각은 전통적인 목조 기와지붕의 비각과는 달리 비각 전체가 석조로 조성된 것으로서는 유일하게 남아 있..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4호_곤여전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4호 _ 곤여전도 (坤輿全圖) 수 량 : 1점(8폭) 지정일 : 2012.05.17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부산박물관 소장 곤여전도는 1674년에 제작된 를 필사로 모사한 지도이다. 곤여전도는 북경판(1674년), 광동판(1858년)과 조선에서 제작한 해동판(1860년)이 있는데, 북경판은 국내에 서울대 도서관, 숭실대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해동판은 비교적 많은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이 지도는 북경판을 바탕으로 채색을 하여 완성한 지도로 제작 장소와 시기는 알 수 없다. 장황을 근거로 볼 때 조선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좀 더 정확한 고증이 필요하다. 2010년 보존 처리와 장황도 새로 하여 보존상태는 양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9호_동래향교 고왕록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9호 _ 동래향교 고왕록 (東萊鄕校 考往錄) 수 량 : 1책(76장 152쪽) 지정일 : 2008.12.16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박물관) 동래향교고왕록에는 1782~1900년 사이의 동래향교 관련 문서 95건이 초록되어 있다. 동래향교와 관련된 각종 영건사적(營建事蹟), 통문(通文), 추록(追錄), 등본(謄本), 보장(報狀), 품목(稟目), 축문(祝文), 상량문(上樑文), 별록(別錄), 서목(書目), 상서(上書), 감결(甘結), 고목(告目), 절목(節目) 등이 수록되어 있다. 향교에 보내온 사림의 각종 통문, 향교 이건 관련 문건, 특정 개인 집안의 문서를 고왕록에 등재해 주기를 청하여 추록된 문서, 동래향교 재정 규정, 향교 교임(校任)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