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107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호_성공회 서울성당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호 _ 성공회 서울성당 (聖公會 서울聖堂) 수량/면적 : 건물 1棟(증축부분포함), 토지 1,254.9㎡ 지정일 : 1978.12.18 소 재 지 : 서울 중구 세종대로21길 15 (정동) 로마네스크 양식의 3층 교회건물이다. 조선 고종 27년(1890)에 우리나라에 온 성공회 1대 주교인 코프의 전도활동으로 성공회의 기초가 잡히게 되자, 3대 주교인 마크 트롤로프가 건립하였다. 영국인 딕슨의 설계로 감독관 브로크가 1922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26년 5월에 완공하였다. 十자형의 평면구조를 갖고 있는 이 교회는 기초부와 뒷면의 일부는 화강석을 사용하고 나머지 벽체는 붉은 벽돌을 사용하여 지었다. 건물 전체에 공간상의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율동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종탑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_개운사 목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 _ 개운사 목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 (開運寺 木 阿彌陀佛坐像 腹藏一括) 수 량 : 16건 33점 지정일 : 2009.11.03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불교중앙박물관 개운사 목 아미타불좌상은 현재 개운사 미타전에 봉안된 불상으로, 조성원문에 의하면 원래 충청남도 아산 축봉사에서 13세기에 조성된 아미타불상이다. 이 불상과 함께 발견된 복장유물은 조성 및 개금기 3점을 비롯해 모두 41건 58점에 달한다. 그 중 조성 및 개금기 3건과 대방광불화엄경 사경 7건, 대방광불화엄경 인본 15건 등 총 25건은 불상과 함께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신청하였고, 나머지 16건은 절첩본인경(折帖本印經) 1건, 선장본인경(線裝本印經) 4건, 목판인경(木版印經) 2건, 다라니인본(陀羅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4호_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4호 _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 영인본 수 량 : 1축 지정일 : 2010.06.17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77-1 육군사관학교 박물관 조선 중기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장양공(壯襄公) 이일(李鎰, 1538~1601)이 함경도 지역을 침략하던 여진족 시전부락을 정벌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라고 쓴 전서체의 제목과 그림, 좌목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계축 형식이다. 맨 아랫단 좌목의 말미에는 8세손 1849년 윤하(閏夏) 일자의 이재관(李在寬) 글이 있어 여진족 시전 부락을 토벌하게 된 경위와 그림의 제작 경위를 알 수 있다. 제목과 그림, 좌목을 붉은 선으로 구획하고 좌목에도 붉은 선으로 인찰하였다. 좌..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8호_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8호 _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수 량 : 1책 지정일 : 2011.09.08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483년(성종14) 이 책은 수륙무차평등재(일명 수륙재), 곧 물과 땅에서 죽은 고혼(孤魂)들을 달래기 위해 평등하게 공양하며 재를 올릴 때의 의식절차를 요약한 불교의 예서로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와 “수륙재의소방문첩절요(水陸齋儀疏榜文牒節要)”로 구성되어있다. 성화 19년(성종14,1483) 계묘년 3월에 전라도 진안의 성수산(聖壽山)에 있던 중대사(中臺寺)에서 간행한 판본으로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의 간본 중에서 15세기의 간본은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표지판 수..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7호_인천 안목 권상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7호 _ 인천안목 권상 (人天眼目 卷上) 수 량 : 1책 지정일 : 2011.09.08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395년(태조 4년) 인천안목이란 “인간과 천상의 일체가 모두 중생의 안목이 된다.”는 뜻으로 이 책은 송나라의 고승인 지소(智昭)가 당시의 중국 선문 5가(五家), 즉 임제종·운문종·조동종·위앙종·법안종 등 5종의 강요(綱要)와 이 종파 조사(祖師)의 유고·잔게(殘偈)·칭제(稱提)·수시(垂示) 등을 모아 그 특징을 밝힌 것이다. 원나라에서 간행된 판본을 바탕으로 조선 태조 4년(1395)에 무학대사가 회암사에서 거듭 간행한 판본으로, 비록 결본이나 보물로 지정된 완질본과 동일본으로 조선시대 간본의 형식을 ..

도심속 비밀정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호_석파정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호 _ 석파정 (石坡亭) 수량/면적 : 건물 4棟, 각자바위 2基, 정자 초석 1基, 토지 1,108.4㎡ 지정일 : 1974.01.15 소 재 지 : 서울 종로구 부암동 산16-1, 201 조선 고종(재위 1863∼1907)의 친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의 별장으로 원래는 김흥근의 소유였던 것을 고종 즉위 후 대원군이 사용하였다. 한국전쟁 후 고아원·병원 등으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개인소유 건물이다. 정자의 앞산이 모두 바위라 대원군이 ‘석파정(石坡亭)’이라 이름지었으며 삼계동 정자라 하기도 한다. 커다란 바위와 바위산에서 흐르는 시냇물, 뜰에 서 있는 소나무를 배경으로 한 석파정은 매우 아름답다 석파정 표지판 소수운렴암각자(巢水雲濂菴刻字) 소수운렴암 한수옹서증 우인정이시 신축세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6호_홍재전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6호 _ 홍재전서 (弘齋全書) 수 량 : 60권60책(포갑5갑) 지정일 : 2011.09.08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홍재전서(弘齋全書)』는 조선시대 제22대 임금 정조의 어제(御製)를 모아 엮은 문집으로 정조 재위 당시부터 수차례의 편찬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184권 100책으로 편차가 확정되었고, 1814년에는 활자를 이용하여 간행되었다. 이 문집은 정조 11년(1787) 규장각에서 정조의 어제문집(御製文集)을 처음으로 편집하여 바친 초간본으로 당시 모두 60권으로 편집하고 2벌을 정서(淨書)하여 진헌(進獻)하였는데 그 중의 하나로, 규장각과 장서각에 소장된 2,3차 편집본과 함께 어제의 편찬경과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4호_백자청화산수문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4호 _ 백자청화산수문호 (白磁靑華山水紋壺) 수 량 : 1점 지정일 : 2011.01.13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청화안료로 산수문(山水紋)과 대나무, 매화 등을 그린 19세기 호이다. 직립한 구연부에는 상하(上下)에 횡선문(橫線紋)을 두르고, 그 아래 여의두문(如意頭紋)을 배치하였다. 부푼 몸체의 앞․뒷면에 산수문을, 산수문 사이 옆면에는 각각 대나무와 매화를 그려 배치하였다. 산수문은 2중의 커다란 능화문(菱花紋) 창 안에 자리 잡고 있는데 18세기와 19세기의 청화백자에 자주 등장한다. 첫 번째 산수문은 근경(近景)에 소나무 숲 사이의 누각(樓閣)을 배치하고, 중경(中景)은 왼쪽으로 치우친 절벽의 모습으로 표현되었으며, 정..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8호_수선총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8호 _ 수선총도 (首善總圖) 수 량 : 1점 지정일 : 2010.02.11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824~1870 수선총도는 김정호의 수선전도와 비숫한 시기의 서울지도로, 수선전도보다 현전하는 사례가 적고, 내용면에서도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조선시대 시전(市廛)이 표시된 유일한 지도이다. 수선총도 (首善總圖) 2022.07.10. 서울역사박물관_명품도시 한양 보물 100선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78호_백자청화화분문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78호 _ 백자청화화분문호 (白磁靑畵花盆文壺) 수 량 : 1点 지정일 : 2009.01.02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조선후기 청화백자 항아리이다. 구연은 곧고 높으며 어깨가 팽창되다가 저부로 가면서 좁아들다가 굽 부분에서 약간 벌어진 형태이다. 유색은 담회청색을 띠며 전체적으로 용융이 잘되어 광택이 좋다. 구연부 바깥쪽과 구연부와 어깨의 경계부위에는 각각 1줄의 청화선을 둘렀다. 어깨에는 여의두문을 돌렸으며 그 밖의 장식문양은 없다. 동체 전면에는 앞뒤로 한 쪽에는 파초가, 다른 한쪽에는 대나무가 심겨진 장탁자 위에 놓인 화분을 그렸으며, 화분문 사이에는 매화문을 그렸다. 청화는 농담을 이용하여 변화 있게 채색하였다. 굽은 안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