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보물 제2099호_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기리여원 2021. 11. 2. 15:47

보물 제2099호 _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潭陽 昌平鄕校 大成殿)

 

수  량 : 1동

지정일 : 2020.12.28

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교촌길 43-11 (고서면)

시  대 : 조선시대(1479년 이건, 1689년 중수)

 

담양 창평향교는 창건 이래 여러 번의 중수를 거쳤으며, 현재의 모습은 중수기를 통해 1689년(숙종 15)에 갖추어 진 것을 알 수 있음.

향교의 배치 형식은 ‘ㅁ’자 형으로 독특한 모습이며, 대성전 앞에 마당을 담장으로 구획하고 담장 밖 좌우에 동·서재를 두고 축선에서 약간 치우쳐 명륜당을 두고 있음.

강학구역은 호남지방 향교의 특징인 ‘전당후재(前堂後齋)’형식인데 대지가 협소한 관계로 동재와 서재가 대성전에 매우 근접해 있어 마치 다른 향교의 동서무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임.

대성전의 공포는 밑면이 교두형(翹頭形, 만두모양)으로 된 헛첨차 구성이 향교건축에서 특이한 구성으로 헛첨차가 있으므로 상부 살미는 소로받침 높이만큼 간격이 생기는데, 이는 서로 붙어있는 익공계 공포와 구분이 됨. 헛첨차 바깥쪽 위에 소로를 놓아 행공첨차를 받고 있으며, 초제공 위로는 외목도리에 붙어있는 장식화 된 운공이 있음. 헛첨차 구성은 수덕사 대웅전, 강릉 객사문, 송광사 하사당 등과 유사하고, 나주향교 대성전도 창평향교 대성전 공포와 전체 짜임이 유사함. 또한 기둥 윗몸은 창방으로 결구하였고 창방과 주심도리의 장혀 사이로는 주칸 마다 화반을 1구씩 배치하였는데 섬세하고 화려하게 모두 파련각을 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보물 지정서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대성전의 건물규모는 전면 3칸, 옆면 2칸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의 목조건축물이다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현판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대성전에는 5(五聖), 송조4(宋朝四賢), 우리나라 18(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정면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정면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좌측 내부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우측 내부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천정

 

2021.10.31, 담양군 고서면 교산리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