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화재/국가등록문화재 100

국가등록문화재 제527호_국문연구안

국가등록문화재 제527호 _ 국문연구안 (國文硏究案) 수 량 : 7권지정일 : 2012.12.24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시 대 : 1907~1909 1907년 건립된 한글 연구 국가기관인 국문연구소 연구원(주시경, 이능화, 지석영, 어윤적, 송기용 등)의 국문연구 관련 문제에 대한 논설과 의견서를 집대성한 국문연구 결과보고서 등사본이다.이 책에는 국문연구소 규칙, 훈민정음, 국문 연원(淵源), 국문 및 발음의 연혁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국문연구의정안(國文硏究議定安)』(일본 동경대 소장)이 완성되었다.우리나라 문자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연구서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문자체계와 맞춤법의 원리를 그대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국어사적으로 그 의미가 크다.한..

국가등록문화재 제566-2호_과학조선(2013-2)

국가등록문화유산 제566-2호 _ 과학조선(科學朝鮮)(2013-2) (科學朝鮮(2013-2)) 수 량 : 총28호지정일 : 2013.08.27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0 (안암동5가, 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시 대 : 1933~1944년 1933년부터 1944년까지 김용관(1897~1967)이 이끈 발명학회 및 과학지식보급회의 주도로 발간된 과학기술 종합잡지로, 과학기술 동향 소개, 과학기술 진흥방안 제시, 발명 지도와 장려, 산업의 발전방안 모색, 과학기술 문답, 과학기술 대중화 등 당대의 과학기술 활동 전반을 광범위하게 담고 있다.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에는 1933년부터 1941년까지 발간된 총 22호를 소장중에 있으며,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과 과학도서관에는 1933년..

국가등록문화유산 _ 민영환 유서(명함)

국가등록문화유산 _ 민영환 유서(명함) 수 량 : 1건 2점지정일 : 2024.06.13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안암동5가, 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 고려대학교박물관시 대 : 1905년 ○「민영환 유서(명함)」는 대한제국의 외교관이며 독립운동가인 충정공 민영환(1861∼1905)이 을사늑약에 반대하며 순절할 당시 2천만 동포들에게 각성을 촉구하는 유서가 적힌 명함임. 민영환의 옷깃 속에서 발견되었으며 마지막에 「결고(訣告) 아(我) 대한제국(大韓帝國)이천만(二千萬) 동포(同抱)」라고 적혀 있어 동포들에게 남긴 것임을 확인할 수 있음.○ 명함에 적힌 유서의 원문은 다음과 같음. 嗚呼 國恥民辱 乃至於此 我人民 行將殄滅於生存競爭之中矣 夫要生者必死 期死者得生 諸公豈不諒只 泳煥徒以一死仰報皇..

국가등록문화유산_남향집

국가등록문화유산 _ 남향집 (南向집) 수 량 : 1점지정일 : 2013.02.21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시 대 : 1939년 모후산인(母后山人) 오지호(1905~1982)는 동경미술학교 유학시절부터 일본화풍과 차별화한 조선풍의 화면 설계에 주력하였던 작가로, 인상주의 화풍으로 식민지 현실을 표현한 작가이다.남향집은 고목 한 그루가 서 있는 뒤로 문을 나서는 소녀와 뜰 아래 누워 있는 개 한 마리가 평화롭게 그려진 집안 풍경을 그린 작품으로, 특히 나무의 그림자가 검은색이 아닌 푸른 기미로 표현되어 있으면서 화면의 노란색조와 대비되어 표현되어 있다.작품의 우측 하단에 두 줄 세로쓰기로 ‘一九三九年之湖’라고 서명되어 있다.서구 근대미술을 대표하는 양식인 인상파 양식..

국가등록문화유산 제487호_부채를 든 자화상

국가등록문화유산 제487호 _ 부채를 든 자화상 (부채를 든 自畫像) 수 량 : 1점지정일 : 2012.02.16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막계동, 국립현대미술관)시 대 : 1915년 부채를 든 자화상>은 춘곡 고희동(高羲東, 1886~1965)이 1915년 여름날 부채질로 더위를 식히며 앉아있는 자신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밝은 황토색 바지(삼베 바지로 추정)와 흰색 상의를 입은 젊은 남자를 그린 유화작품으로 흰색 상의의 단추를 풀어 앞가슴의 일부를 드러내고 있으며 오른팔은 무릎에 올리고 부채를 들고 있다.유족이 보관하던 작품을 1972년에 국립현대미술관이 구입하여 훼손된 오른쪽 부분(인물의 왼쪽 팔부분)을 보수하고 전체적으로 먼지를 닦아내어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임. 화면 왼쪽..

국가등록문화유산_시골소녀

국가등록문화유산 _ 시골소녀 (시골少女) 수 량 : 1점지정일 : 2013.02.21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시 대 : 1928년 춘천(春泉) 이영일(1904~1984)은 1920~30년대에 채색화 분야에서 활동했던 화가로 1925년 조선미술전람회에 3등상을 수상하면서 연속 7회에 걸쳐 특선을 차지한 작가이나, 해방 이후 작품 활동을 하지 않았다.시골소녀는 어린아이를 업고 있는 소녀와 여동생을 화면 가득히 묘사한 작품으로 등장인물의 표정이나 자세, 옷차림 등에서 당당하고도 섬세한 표현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소녀들의 빨간색 치마와 아기를 업고 있는 푸른색 포대기에서 채색화의 특징이 두드러며, 특히 강약이 없는 가는 필선으로 인체의 윤곽선을 두른 기법에서 일본화의 표..

국가등록문화재 제356호_거제초등학교 본관

국가등록문화재 제356호 _ 거제초등학교 본관 (巨濟初等學校 本館) 분 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교육시설수량/면적 : 1동 2층, 건축면적 886.81㎡, 연면적 1,764.72㎡지정(등록)일 : 2007.09.21소 재 지 : 경남 거제시 거제면 동상리 415번지시 대 : 1956년소유자(소유단체) : 경상남도 교육청 관리자(관리단체) : 경상남도 교육청 이 건물은 거제시에서 가장 오래된 교육 기관인 거제초등학교 본관이다. 정면은 대칭형으로, 박공형으로 장식한 현관을 중심으로 교실을 배치하였다. 외관은 당시 인근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던 화강석을 직사각형으로 다듬어 쌓는 등 근대기 학교 건물의 전형적인 형식을 취하였다. 석재 채석과 가공, 적벽돌 생산과 운반 등에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등 교사 ..

한옥과 서양식 건축이 조화미를 이룬 근대 건축, 서산 동문동성당 상홍리공소

국가등록문화재 제338호 _ 서산 동문동성당 상홍리공소 (瑞山 東門洞聖堂 上紅里公所) 수량/면적 : 3동 1층, 현황측량면적, 공소 128㎡, 사제관 87㎡, 종각 16.75㎡지정일 : 2007.07.03소재지 : 충남 서산시 음암면 상홍2길 122 (상홍리)시   대 : 1919년 1919년에 신축된 건물. 서양의 종교공간에 한옥의 구법을 활용한 귀중한 자료서산 동문동성당 상홍리공소 표지판 서산 동문동성당 상홍리공소 (瑞山 東門洞聖堂 上紅里公所)    상홍리 공소는 전통 한옥에 서양의 종교 건축 양식을 결합한 건물로 1919년에 건립되었다. 공소란 주임 신부없이 신자들이 운영하는 작은 규모의 천주교 예배소이다.   상홍리는 고종 20년(1886) 병인박해 당시에 100명이 넘는 천주교도들이 살았던 곳이..

국가등록문화재 제321호_서산 동문동성당

국가등록문화재 제321호 _ 서산 동문동성당 (瑞山 東門洞聖堂) 수량/면적 : 1동 1층(일부 2층), 연면적 396.48㎡, 건축면적 358.08㎡지정일 : 2007.04.30소재지 : 충남 서산시 동문동 665-2번지시   대 : 1937년 충남 서산지방 선교를 위해 1908년 충남 결성군 구항면 공리에 본당인 수곡성당이 설립되어 초대신부 폴리(Desideratus Polly) 심응영 신부가 부임한 이래 제5대 신부인 바로(Barraux) 베드로 신부가 1934년에 동문동 현 본당의 부지를 매입하여 1937년에 신축 완료한 건물이다.중앙의 종탑을 중심으로 네이브와 아일 부분 각각에 아치형의 출입구를 두고 각각의 아치위에 3개의 원형 옥스아이(oxeye) 창문을 높이 차이에 따라 차등을 두고 입면을 구..

국가 등록문화재 제510-2호_독립신문(獨立新聞) 상해판(2020)

국가등록문화재 제510-2호 _ 독립신문(獨立新聞) 상해판(2020) 수량/면적 : 1건 170점지정일 : 2020.11.06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로 30 (탄현면,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시   대 : 일제강점기 ‘독립신문(獨立新聞) 상해판’은 1919년 8월부터 1926년 11월까지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국한문으로 발행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기관지로서, 임시정부의 활동상을 소개하고 국내의 독립운동 동향, 만주와 연해주의 독립군 전투를 비롯한 활동 내용 등 독립운동 전반에 관한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해당 유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할과 존재가치를 실증하고 있으며, 민족의 독립의식을 고취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독립운동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므로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다만, 해당..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