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113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9호_괴원성회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9호 _ 괴원성회록 (槐園盛會錄) 수 량 : 1점지정일 : 2010.06.1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1-16 고려대 중앙도서관 괴원성회록(槐園盛會錄)>은 집안의 족친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친지들의 아회 광경을 그리고 아회에서 수창된 시부(詩賦)를 합록(合錄)한 시화첩이다. 표지에 묵서로 ‘괴원성회록(槐園盛會錄)’이라는 표제가 써 있다. 이 모임의 대표인 괴원주인(槐園主人) 김재중(金在重)이 을묘년 6월 16일에 쓴 괴원성회록서(槐園盛會錄序), 그림 한 장면, 김재긍(金在兢)이 쓴 괴원성회도기(槐園盛會圖記), 남궁순(南宮石舜)의 제괴원성회도기후(題槐園盛會圖記後), 한상린(韓祥麟)이 쓴 괴원승회도설(槐園勝會圖說)이 차례로 수록되어 있다.이어서 괴원만회념운공부(槐園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8호_계미동경소진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8호 _ 계미동경소진첩 (癸未同庚小眞帖) 수 량 : 1첩지정일 : 2010.06.17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1-16 고려대 중앙도서관 1703년(숙종 29) 계미년(癸未年)에 태어난 7명의 동갑들이 만든 동경계첩(同庚契帖)이다. 화첩을 펼치면 오른쪽 면은 비어 있고 왼쪽 면에 참판 이익진(李翼鎭, 1703~), 판서 조영진(趙榮鎭, 1703~1775), 참판 이규채(李奎采, 1703~), 영의정 한익모(韓翼謨, 1703~), 부사 송진흠(宋晉欽, 1703~), 영의정 신만(申晩, 1703~1765), 유언술(兪彦述, 1703~1773) 일곱 명의 반신 초상화가 차례로 각각 그려져 있다.이어서 이들이 69세이던 1771년(영조 47) 10월 상순에 유언술이 쓴..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7호_왕세자입학도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7호 _ 왕세자입학도첩 (王世子入學圖帖) 분 류 : 유물 / 일반회화 / 기록화 / 계회도수량/면적 : 1첩지정(등록)일 : 2010.06.17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1-16 고려대 중앙도서관소유자(소유단체) : (학)고려중앙학원관리자(관리단체) : (학)고려중앙학원 은 1817년(순조 17) 3월 11일 성균관에서 치러진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 뒤에 익종(翼宗)으로 추존]의 입학례를 기념한 화첩이다. 입학례의 과정을 다섯 장면으로 구성하고, 이튿날(3월 12일)에 있었던 진하례 장면을 마지막에 그려넣었다. 표지에는 ‘왕세자출궁도(王世子出宮圖)’라고 쓰인 표제가 붙어 있으나 이 표제는 왕세자 입학례 절차 중에서 세자가 성균관으로 가기 위해 궁..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41호_자수 '상궁청신녀'명 연화봉황문 방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41호 _ 자수 '상궁청신녀'명 연화봉황문 방석 (刺繡 ‘상궁청신녀’銘 蓮花鳳凰文 方席)수 량 : 1점지정일 : 2019.02.14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 ‘상궁청신녀 임인생 리씨정희행 생전무병소원 사후왕생극락발원’ 명문에 의해, 임인생(1842년 경) 상궁이 무병장수와 영생극락을 기원하여 제작한 것을 알 수 있음.자수의 솜씨나 바느질이 소박한 편이나, 방석의 형식이나 문양의 소재가 복온공주의 길례용 궁중 양식의 방식과 유사하게 궁중의 수방나인이 제작한 것으로 여겨지는 등 공예사적으로 의미를 지님.자수 '상궁청신녀'명 연화봉황문 방석 (刺繡 ‘상궁청신녀’銘 蓮花鳳凰文 方席) 표지판 _ 19세기, 비단에 자수, 서울공예박물관 연꽃과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40호_자수 연지봉황문 방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40호 _ 자수 연지봉황문 방석 (刺繡 蓮池鳳凰文 方席) 수 량 : 1점지정일 : 2019.02.14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시 대 : 조선시대 전통적인 자릿수와 자련수로 수놓았으며, 방석 위의 봉황무늬가 치밀하고 정교함. 한말 궁중의 수방 나인이 제작한 최고 수준의 자수유물로, 공예사적인 가치를 지니는 유물임.자수 연지봉황문 방석 (刺繡 蓮池鳳凰文 方席) 표지판 _ 19세기, 비단에 자수,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주홍색 운보 무늬 비단과 초록색 연꽃 무늬 비단에 새와 꽃을 수놓은 방식입니다. 가운데 연꽃을 중심으로 모란, 매화, 봉황, 백로, 꾀꼬리, 원앙, 나비를 배치하였습니다. 가장자리의 마름모 무늬는 실을 작은 고리로 만들어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05호_청룡사 가사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05호 _ 청룡사 가사도 (靑龍寺 袈裟圖) 수 량 : 1幅지정일 : 2005.12.29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룡사 가사도는 1902년에 조성된 가사탱(袈裟幀)으로 수가사(繡袈裟) 형태를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 화면은 붉은 바탕 위에 세로로 27칸의 복전문(福田文)을 그리고, 좌우 2칸을 제외한 25칸에는 각 칸마다 위부터 4줄까지는 불(佛), 보살상, 그 다음 2줄은 호화로운 책갑(冊匣)에 들어있는 각종 불경, 맨 아랫줄에는 비구상(比丘像)을 그려 넣어 불상 50구, 보살 50구, 비구상 25구 등 총 125구에 달하는 많은 존상을 묘사하였다.이러한 가사탱은 조선 말기 왕실에서 유행하던 장식화인 책거리병풍 형식을 따른 것으로 현재 유례가 매우 드믄데, 붉은 가사의 각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호_성공회 서울성당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호 _ 성공회 서울성당 (聖公會 서울聖堂) 수량/면적 : 건물 1棟(증축부분포함), 토지 1,254.9㎡ 지정일 : 1978.12.18 소 재 지 : 서울 중구 세종대로21길 15 (정동) 로마네스크 양식의 3층 교회건물이다. 조선 고종 27년(1890)에 우리나라에 온 성공회 1대 주교인 코프의 전도활동으로 성공회의 기초가 잡히게 되자, 3대 주교인 마크 트롤로프가 건립하였다. 영국인 딕슨의 설계로 감독관 브로크가 1922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26년 5월에 완공하였다. 十자형의 평면구조를 갖고 있는 이 교회는 기초부와 뒷면의 일부는 화강석을 사용하고 나머지 벽체는 붉은 벽돌을 사용하여 지었다. 건물 전체에 공간상의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율동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종탑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_개운사 목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 _ 개운사 목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 (開運寺 木 阿彌陀佛坐像 腹藏一括) 수 량 : 16건 33점 지정일 : 2009.11.03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불교중앙박물관 개운사 목 아미타불좌상은 현재 개운사 미타전에 봉안된 불상으로, 조성원문에 의하면 원래 충청남도 아산 축봉사에서 13세기에 조성된 아미타불상이다. 이 불상과 함께 발견된 복장유물은 조성 및 개금기 3점을 비롯해 모두 41건 58점에 달한다. 그 중 조성 및 개금기 3건과 대방광불화엄경 사경 7건, 대방광불화엄경 인본 15건 등 총 25건은 불상과 함께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신청하였고, 나머지 16건은 절첩본인경(折帖本印經) 1건, 선장본인경(線裝本印經) 4건, 목판인경(木版印經) 2건, 다라니인본(陀羅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4호_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4호 _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 영인본 수 량 : 1축 지정일 : 2010.06.17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77-1 육군사관학교 박물관 조선 중기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장양공(壯襄公) 이일(李鎰, 1538~1601)이 함경도 지역을 침략하던 여진족 시전부락을 정벌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라고 쓴 전서체의 제목과 그림, 좌목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계축 형식이다. 맨 아랫단 좌목의 말미에는 8세손 1849년 윤하(閏夏) 일자의 이재관(李在寬) 글이 있어 여진족 시전 부락을 토벌하게 된 경위와 그림의 제작 경위를 알 수 있다. 제목과 그림, 좌목을 붉은 선으로 구획하고 좌목에도 붉은 선으로 인찰하였다. 좌..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8호_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8호 _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수 량 : 1책 지정일 : 2011.09.08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483년(성종14) 이 책은 수륙무차평등재(일명 수륙재), 곧 물과 땅에서 죽은 고혼(孤魂)들을 달래기 위해 평등하게 공양하며 재를 올릴 때의 의식절차를 요약한 불교의 예서로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와 “수륙재의소방문첩절요(水陸齋儀疏榜文牒節要)”로 구성되어있다. 성화 19년(성종14,1483) 계묘년 3월에 전라도 진안의 성수산(聖壽山)에 있던 중대사(中臺寺)에서 간행한 판본으로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의 간본 중에서 15세기의 간본은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표지판 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