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향토유적 44

당진시 향토유적 제1호_면천 군자정

당진시 향토유적 제1호_면천 군자정(沔川 君子亭) 지정일 : 1993.05.21 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성산리, 영랑효공원 시 대 : 1803년 군자정은 연못인 군자지 가운데에 위치한 정자로, 고려 충렬왕때의 지군사인 곽충령이 못을 파고 연꽃을 심어 염계의 애련설을 따라 못의 이름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 위키백과 - 면천 군자정 표지판 면천 군자정(沔川 君子亭) 고려 공민왕 2년(서기 1352년) 지군사 곽충룡이 관아 동쪽 은행나무 아래에 연못을 수축하였고 그 후 1803년 면천군수 유한재가 연못가운데 원형의 섬을 만들고 그 위에 8각정을 짓고 연못에 연꽃을 심었는데 흙에서 나왔으나 물들지 아니하고 군자와 같아서 군자정이라 하였다 한다. 군자정으로 건너는 돌다리는 자연석 네 개로 구성 되었..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_윤자운 사우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_윤자운 사우(尹子雲 祠宇) 수 량 : 1동 지정일 : 1991.12.10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웅천읍 관당리 산37-1 이 사우는 병조판서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문도공 윤회와 영의정을 지내고 무송부원군에 봉해진 문헌공 윤자운을 제향하는 사우이다. 원래 이 사우는 성종25년(1494)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홍죽리에 건립되었으나, 그 곳에 사는 윤자운의 후손들이 괴학하여 관리가 부실해짐에 따라 1725년 웅천읍 소황리 지역에 사는 윤자운의 후손들이 위패를 모셔다가 웅천 소황리에 재건립하였다. 그러니 소황리에 군사시설이 들어거면서 현 위치로 옮겨졌다. 윤자운 사우 표지판 윤자운 사우 전경 신도비. 효자비. 공적비, 사적비 좌) 茂宋府院君史蹟碑(무송부원군사적비) 우) 崇祿大夫議政府左..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2호_집성당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2호 _ 집성당(集成堂) 수 량 : 1동 지정일 : 1991.12.10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웅천읍 대천리 81-10 시 대 : 1898 1898년 윤석봉 선생이 주도하고 신섭 조진학 등 유림들이 발의하여 세운 사우이다. 주자와 송시열의 영정을 봉안하고 향사하면서 보령과 주변 지역에 화서학파의 학맥을 전하고 그 중심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조선말기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유교문풍을 진작하는 장소와 항일 유림들의 강학장고가 되었던 곳이다. 처음에는 주변에 강학 공간인 건물도 있었지만, 현재는 영졍 대신 위패를 모신 제향 건물만 남아있고, 매년 유림들이 춘추로 제사를 지내고 있다. 집성당 표지판 찾아가시는 길은 웅천 돌문화공원 입구에서 좌측으로 갑니다. 앞에 파란 지붕의 단독주택이 보입니..

보령시 향토문화유적 제6호_김성우장군 묘비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6호 _ 김성우장군 묘비(金成雨將軍 墓碑) 수 량 : 1기 지정일 : 2016.08.05 소재지 : 보령시 청라면 나원리 산 1-1번지 김성우 장군은 고려 말의 무장으로 보령 광산 김씨의 입향조이다. 김성우 장군의 후손 번창을 알려주는 묘비는 그의 사후 200여년 후인 1607년 후손 김경지가 짓고 김섭이 써서 묘전에 세웠다. 주로 자손 번창에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크기는 높이 142cm 폭 55cm 두께12cm이며 석질은 대리석이다. 현재는 해마다 묘소와 묘비 앞에서 후손과 보령문화원 주관으로 추모 제향이 거행된다. 김성우장군 묘비 표지판 김성우장군 묘 전경 高麗忠臣都萬戶將軍光山金公成雨倭寇掃湯碑(고려충신도만호장군광산김공성우왜구소탕비) 김성우장군 묘 전경 김성우장군 묘로 오르는 돌..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4호_한산이씨 과암공 이무묘비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4호 _ 한산이씨 과암공 이무묘비( 韓山李氏 果庵公 李袤墓碑) 수 량 : 1기 지정일 : 2012.09.13 소재지 : 충남 보령시 대천동 387-17, 대천 근린공원 이무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 호는 과암 조부는 이산해, 아버지는 이경전이다. 1629년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 해미현감, 지평, 서천군수, 대사헌, 대사간,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이무의 묘비는 1804년 5대손 이수하가 짓고 후손들이 세웠다. 석질은 화강암이고 크기는 높이 133cm 폭 54cm 두께21cm이다. 붕당정치가 격화된 시기 남인계의 중심 인물로 활동한 인물의 묘비이다 한산이씨 과암공 이무묘비 표지판 공원 부지 기증비 이곳 대천 근린공원과 읍내리 공원 일부는 보령시 갈머리(관촌)에서 성장한..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5호_경순왕 영모전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5호_경순왕 영모전(敬順王 敬慕殿) 수 량 : 1동 지정일 : 2016.08.05 소재지 : 충남 보령시 남포면 창동리 산14-3 조선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것으로 추정되는 경순왕 영모전은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능기(陵基)와 영사(靈祠)가 있었다고 전해지는 옥마산정의 서쪽 산록에 자리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마을 사람들이 경순왕을 추모하여 '湖西玉馬山金傅大王之旗(호서 옥마산 김부대왕지기)'를 봉안하여 놓고 안녕과 대동단결을 위한 제를 지낸온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경주김씨 문중에서 영모제(永慕祭)를 지낸다. 사당은 한식 맞배지붕으로 1980년대 문중에서 중수한 것이다. 경순왕 영모전 표지판 이 곳에서 좌측 화살표 방향으로 대략 100m 올라가면 경순왕 영모전을 만날 수 있습니다..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9호_보령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9호_보령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保寧 忠靖公 李時肪 神道碑) 지정일 : 2019.05.10 소재지 : 보령시 오천면 영보리 53-2 외 1필지 이시방 신도비는 이시방의 묘소 인근에 세운 비석으로, 조선 중기 양반가 신도비의 전형적인 형식을 반영하고 있는 자료이다. 우암 송시열이 비문을 짓고 송준길이 세우려고 비신까지 마련하였으나, 정치적으로 몰락하여 세우지 못하고 묘지 인근에 묻힌 것이 1953년 폭우로 비석이 드러나 이곳에 다시 세웠다. 글은 송자대전이 있는 내용을 새겼으며, 비문 3,000여자에 대동법실시 · 정묘호란 · 병자호란 등이 기록되어 있어 조선 중기의 사회성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충정공(忠靖公 ) 이시방( 李時肪, 1594~1660)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8호_보령 요산군 이기 사당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8호 _ 보령 요산군 이기 사당(保寧 遼山君 李夔 祠堂) 수 량 : 1동 지정일 : 2019.05.10 소재지 : 보령시 청소면 죽하길 165-15 요산군 이기 사당은 조선 중기의 인물인 요산군 (遼山君) 이기( 李夔, 1478? ~ 1547)를 모시는 사당으로 퇴칸(사당)과 솟을문으로 이루어졌으며, 퇴칸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지어졌다. 기록에 의하면 1547년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3차례 수리되었지만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조선 중기 건축물의 구조 및 형식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요산군 이기는 조선 중기 인물로 예산현감, 광주목사를 지냈고 중종반정 당시 공신으로 생전에 불천지위*를 하사 받았으며, 만년에 보령 청소면 진죽리 죽하마을로 낙향하였다. 현재에도 후손들..

화성 향토유적 제4호 _홍담 효자각

화성 향토유적 제4호 _홍담 효자각(洪曇 孝子閣) 지정일 : 1986.05.20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홍법리 산32번지 홍담(1509 ~ 1576)은 조선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태허, 본관은 남양으로 언광의 아들이다. 중종 34년(1539) 별시문과에 급제한 뒤 정자.교리.응교.이조정랑.도승지등을 역임하고, 명종 10년(1555) 한성부좌윤으로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대사헌. 병조참판. 한성부판윤. 함경도관찰사등을 역임하고, 선조때 지의금부사. 우참찬. 예조와 호조의 판서를 거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훈구파의 거두로서 김개와 함께 정등 사림파와 대립했다. 시호는 정효(貞孝)이다. 특히 그는 관직에 있는 동안에도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한 바 있어 별세한 뒤 고향인 이곳에 효자 ..

시흥시 안성부원군 이숙번 묘

시흥시 향토유적 제18호 _ 이숙번 묘(李叔番 墓) 지정일 : 2006.11.30 소재지 : 경기도 시흥시 금화로 353(산현동 산71) 시 대 : 조선 15세기 중반 이숙번(李叔番, 1373~1440)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성(安城)이며 경(坰)의 아들이다. 1393년(태조 2)문과에 급제한 뒤 1398년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로 있으면서 방원(芳遠 : 뒤의 태종)을 도와 사병을 출동시켜 제1차 왕장의 난에 공을 세웠다. 그 공로로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에 책록되었고 우부승지(右副承旨)에 임영되었으며 안성군(安城君)에 봉해졌다. 태종이 즉위하자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한 공로로 1401년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이 되었으며,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 1412년 말에는 종1품 숭정대부(崇政大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