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마미술관 116

우산(又山) 황용엽(黃用燁)의 <인간>

_ 우산(又山) 황용엽(黃用燁, 1931~, 평남 평양 출생), 1974, 캔버스에 유채, 41×32cm, 작가 소장 내가 왜 일그러진 인간을 그리는지 알 수가 없었다. 나도 모르게 그렇게 되었다는 것이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내 그림이 나온 시기가 전쟁과 이산 등 모든 것이 희망 없는 암울한 시대였다는 점이다..(중략).. 내가 태어나 자란 곳이 북한이라는 움직일 수 없는 숙명 하나만으로 폐쇄된 공산사회에서 교육을 받을 수밖에 없었고, 독재사회의 틀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비인간의 굴레 속에서 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황용엽, 인간의 한계상황을 형상화. 「삶을 그리다 . 황용엽 自傳」, (주)씨앤에이컴퍼니, 2015 _ 우산(又山) 황용엽(黃用燁, 1931~, 평남 평양 출생..

우성(又誠) 김종영(金鍾瑛)의 <작품75-9>

<작품75 - 9> _ 우성(又誠) 김종영(金鍾瑛, 1915~1982, 경남 창원), 1975, 돌, 80(h)×31×28cm, 김종영미술관 옛 사람들이 불각(不刻)의 미(美)를 최고로 삼는 것은 형제보다도 뜻을 중히 여겼던 탓이다. 현대 조형이념이 형체의 모델보다도 작가의 정신적 태도를 더욱 중시하고 있는 것은 동양사상의 불각의 미와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중략).. 절대적인 미를 나는 아직 본 일도 없고 그런 것이 있다고 믿지도 않는다. 다만 정직하고 순수하게 삶을 기록할 따름이다. 그것이 희망이고 기쁨이기를 바라다. - 김종영, 초월과 창조를 위하여, 「흔적 : 김종영 자서전」, 책과 나무, 2017 2023. 04.18, 소마미술관_다시보다:한국근현대미술전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

이성자(李聖子)의 <어제와 내일>

_ 이성자(李聖子, 1918~2009, 전남 광양시), 1962, 캔버스에 유채, 145×114cm,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당시 파리에서 미술을 하는 한국인이라곤 이성자가 유일하다. 1955년이 되어서야 박영선, 남관, 김흥수 등이, 이듬해에는 권옥연, 이응노, 함대정, 김환기 등이 파리에 와서 터를 잡았다. .(중략).. 이성자는 그들과 달리 처음부터 파리에서 공부하게 된 특이한 경우였다. - 황 인, 예술가의 한끼, 중앙SUNDAY, 2022년 12월 31일자 _ 이성자(李聖子, 1918~2009, 전남 광양시) 2023. 04.18, 소마미술관_다시보다:한국근현대미술전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