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유형문화재/경기도 114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8호_파주 보광사 목조보살입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8호 _ 파주 보광사 목조보살입상 수    량 : 2점지정일 : 2010.12.08소재지 :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 13번지 보광사 보광사 대웅보전의 정면에는 석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불과 아미타불로 이루어진 세 부처(삼세불)가 본존 부처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좌우 끝에 마치 협시보살(가운데 부처의 좌우에서 보좌하는 보살)처럼 두 보살상이 모셔져 있다. 그러나 두 보살상은 본존인 세 부처와는 조각 솜씨가 다르다. 세 부처는 1610년에 만든 여주 신륵사의 나무 석가삼존상과 비슷하다. 반면 두 보살상은 정면 오른쪽 보살상 속에서 발견된 발원문(發願文; 바라고 원하는 것을 적은 글)에 1633년(인조11) 양주 천보산 회암사에 모시기 위하여 영색(英賾), 성근(省勤) 등의 다섯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5호_남양주 봉영사 아미타불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5호 _ 남양주 봉영사 아미타불도 (阿彌陀佛圖) 수    량 : 1점지정일 : 2011.05.02소재지 :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148 아미타불도는 서방 극락세계를 주재하는 아미타부처님이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불화이다. 남양주 봉영사 아미타불도는 청련화좌(靑蓮華坐)에 가부좌를 한 채 앉아 있는 아미타부처를 중심으로 하단에는 협시보살인 관음과 대세지보살을 비롯하여 금강장(金剛杖)과 미륵보살(彌勒菩薩) 등 6대보살 및 사천왕을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였다. 상단에는 아미타부처 좌우에 아난과 가섭존자를 비롯한 십대제자, 산호가지를 받쳐 든 용왕과 복숭아가 담긴 쟁반을 받쳐 든 용녀, 사자탈을 쓴 호계대신(護戒大神)과 코끼리 탈을 머리에 쓴 복덕대신(福德大神)을 좌우대칭으로 배치하였다.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6호_남양주 봉영사 지장시왕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6호 _ 남양주 봉영사 지장시왕도 (地藏十王圖) 수    량 : 1점지정일 : 2011.05.02소재지 :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148 사후세계의 교주인 지장보살과 시왕을 한 폭의 화면에 묘사한 형식의 지장시왕도이다. 화기를 통해 1828년(순조28)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지장도보살도는 사후세계의 교주인 지장보살을 그린 그림이다. 지장보살은 관음보살과 함께 우리나라 2대 보살의 하나로, '위로는 부처의 도를 구하며,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도를 실천하며, 천인ㆍ아수라ㆍ축생ㆍ아귀ㆍ 지옥의 육도윤회(六道輪廻)에서 고통받는 중생들을 남김없이 구제하기 위해 성불(性佛)마저도 포기한 대비(大悲)의 보살이다.남양주 봉영사 지장시왕도 (地藏十王圖)  _ 신선 스님 등, 조선 18..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6호_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감로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6호 _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감로도 (坡州 普光寺 大雄寶殿 甘露圖) 수    량 : 1점지정일 : 2022.11.11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시   대 : 조선시대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감로도>는 1898년 대웅보전의 중수와 함께 이루어진 대규모 불화 불사 때에 조성된 불화로서 고혼들이 고통 받는 장면, 인간계의 각종 생활상과 고통의 모습 등 중층적인 시공간에서의 다종다양한 장면을 한 화폭에 담아낸 불화로 19세기 말 서울, 경기지역 감로도의 도상 및 시대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대웅전 서벽 기둥 사이에 형성된 중앙 칸에 꼭 맞도록 세로 197.2cm, 가로 266.5cm의 장방형 패널로 제작되었는데, 3폭의 면(왼쪽부터 81cm, 107.5cm, 78cm)을 이어 화폭을 만들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5호_남양주 불암사 감로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5호 _ 남양주 불암사 감로도 (南楊州 佛巖寺 甘露圖) 수    량 : 1점지정일 : 2023.08.22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190 (별내동, 불암사)시   대 : 조선시대 1890년 불암사 대웅전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한 불화입니다. 화면 상단의 일곱 부처님, 중단의 시식단과 그 앞에서 범패와 작법을 준비하는 스님 들의 모습,  하단의 두 쌍의 아귀와 줄타기 공연을 하는 놀이패와 같은 풍속화의 장면과 죽음의 장면으로 전체적인 구도와 도상이 흥국사 감로도와 유사합니다. 불화의 제작은 긍법 스님이 주도하였습니다. 긍법 스님은 19세기 흥국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스님들과 함께 작업하면서 초본을 공유하였으며 이들은 유사한 불화를 조성하였습니다.남양주 불암사 감로도 (南楊州 佛..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96호_의정부 원효사 묘법연화경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96호 - 의정부 원효사 묘법연화경 (議政府元曉寺妙法蓮華經) 수    량 : 1지정일 : 2004.11.29소재지 : 경기도 의정부시 망월로28번길 356 (호원동, 원효사) 원효사는 신라 진덕여왕때 원효대사가 안거하며 수도 정진해 붙여진 이름이다.조선 인조 4년(1626년)에 한글로 필사된 묘법연화경은 2책 1권으로 만들어 졌는데. 글씨가 모범적이고 바르며 보존상태도 양호한 상태로 17세기초 유교적 규범이 엄격한 궁중상궁에 의해 작성한 공덕경이란점에서 귀중한 자료일 뿐 아니라 한글 표음법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의정부 원효사 묘법연화경 표지판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 본찰 봉선사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12호_남양주 흥국사 지장보살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12호 _ 남양주 흥국사 지장보살도 (南楊州 興國寺 地藏菩薩圖) 수   량 : 불화 1점, 복장낭 2점지정일 : 2024.04.30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시    대 : 조선시대 상궁 최씨가 왕실의 장수를 발원한 불화 1792년 왕실 발원으로 , 와 함께 조성하였으며 현재 흥국사 시왕전에 봉안되어 있습니다. 지장보살님을 중심으로 협시인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그리고 육대보살님 등을 양옆으로 배치하였습니다. 화기가 일부 소실되었으나, 동시에 제작한 다른 불화의 화기를 통해 상궁 최씨가 정조와 효의왕후 등 왕실 일원의 장수를 위해 발원하였으며 제작에는 연홍 스님과 3명의 스님이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남양주 흥국사 지장보살도 (南楊州 興國寺 地藏菩薩圖)  _ 연홍 스님등, 조선 17..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4호_남양주 불암사 신중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4호 _ 남양주 불암사 신중도 (南楊州 佛巖寺 神衆圖) 수    량 : 1점지정일 : 2023.08.22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190 (별내동, 불암사)시    대 : 조선시대 대한제국 황실이 발원한 신중도 1907년 긍법 스님과 13명이 스님이 함께 조성한 불화입니다. 화면은 날개깃 투구를 쓴 위태천을 중심으로 그 위로 범천과 제석천을 배치하여 역삼각형 구도를 이루고 주변에는 여러 신중을 배치하였습니다. 화기에 의하면 강재희가 대한제국 황실의 지원을 받아 고종과 순종, 의친왕 등 황실의 안녕을 위해 발원하였습니다.남양주 불암사 신중도 (南楊州 佛巖寺 神衆圖)  _ 긍법 스님등, 대한제국 1907년, 면에 채색, 불암사 대웅전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98호_현등사 수월관음도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제198호_ 현등사 수월관음도 (懸燈寺 水月觀音圖) 수    량 : 1기지정일 : 2004.11.29소재지 : 경기도 가평군 현등사길 34 (조종면, 현등사)  보광전 내 후불도로 봉안된 수월관음도(數月觀音圖)는 1850년에 조성된 것으로 특이하게 검은바탕에 금은니로 그린 것이다. 달을 배경으로 중앙에 원형의 두광 안에 관음보살은 기암괴석 위에 유희자 자세로 앉아있고 좌우로 정병과 버드나무, 대나무가 묘사되었는데, 이러한 형식은 고려후기의 수월관음도의형식에서 빌려온 것이다.하단에는 여의주를 든 용왕과 선재동자(善財童子), 홀을 들고 원유관을 쓴 제왕이 있고, 하늘과 물을 경계짓는 곳에 중단에는 구름을 수평으로 구획하고 사천왕상을 배치하였다. 상단에는 분신화한 관음보살들이 유연한 자세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2호_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경기도 유형문화유재 제252호 _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수    량 : 3구지정일 : 2011.03.08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58 (별내동, 흥국사) 가운데 석가불을 중심으로 그 왼쪽에 문수보살이, 오른쪽에 보현보살이 보좌하는 석가삼존불 좌상이다. 이 목조삼존불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커다란 광배이다. 나무 광배는 각각 3, 4장의 판목을 덧대어 못으로 고정시켜 틀에 끼운 것으로, 안쪽에는 서로 다른 모습의 연꽃 여섯 송이를, 가장자리에는 이글거리며 상승하는 불꽃무늬를 둘렀다. 광배의 꼭대기에는 따로 조각하여 끼운 입체감 있는 화불(化佛. 부처의 변신)을 배치하여 위엄 있고 엄숙한 분위기가 가득하다. 석가불 광배에는 화불 3구를 새겼지만, 문수보살의 광배에는 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