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물/세종특별자치시 5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2호_김종서 장군 묘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2호 _ 김종서 장군 묘 (金宗瑞 將軍 墓) 수량/면적 : 1기/11,727㎡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산 45 산45번지 외 7필지 조선 단종 때의 충신인 절재(節齋) 김종서(1383∼1453) 장군의 묘소이다. 태종 5년(1405) 문과에 급제한 후 함길도 도절제사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세종 16년(1434)에 6진을 개척하여 국토 확장의 위업을 이룩하여 현재 두만강을 경계로 하는 우리나라의 국경선이 이때에 확정되었다. 또『고려사』,『고려사절요』,『세종실록』등의 편찬에 참여하여 학자적인 면모도 보여주었다. 단종이 12세로 왕위에 오르자 좌의정으로 어린 왕을 보필하다 왕위를 노리던 수양대군(뒤의 세조)에 의해 단종 1년(1453..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6호_연기향교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6호 _ 연기향교 (燕岐鄕校) 수량/면적 : 3,035㎡(지정 2,579 / 보호 456) 지정일 : 2012.12.31 소 재 지 : 세종특별자치시 교촌3길 교촌3길 13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연기향교의 창건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한 시기를 확인할 수가 없으나, 조선 초 각 지방 군·현에 향교들이 건립될 때인 1407년(태종 7)~1413년(태종 13)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의 연기향교는 1647년(인조 25)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세웠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제기고, 전사청, 내삼문, 동협문 등이 있다.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 안에는 공자를 비롯한 4성(聖)과..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7호_전의향교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7호 _ 전의향교 (全義鄕校) 면 적 : 6,810㎡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 149-1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전의향교는 언제 처음 지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초 각 지방 군·현에 향교들이 건립될 때인 1407년(태종 7)~1413년(태종 13)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처음에는 동교리에 있던 것을 지세가 협소하여 성현을 추가로 모시거나 제사를 올릴 때 법도대로 모시지 못하여 1649년 현감 이창윤(李昌胤)에 의해 현의 남쪽으로 이건되었다. 그러나 1684년(숙종 8)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을 추가로 제향하면서 건물이 협소해 다시 현재 위치로 이..

박팽년의 조부묘,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10호_전동 박안생 묘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10호 _ 전동 박안생 묘 (全東 朴安生 墓) 수량/면적 : 2기/ 292㎡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정리 4 의영고사 박안생(朴安生, ? ~ 1439)과 그의 처 안동김씨의 묘역으로 상단에 부인 안동김씨, 하단에 박안생이 자리한 상하장(상하장)이다. 박안생은 단종때 이조판서를 지낸 중림(中林)의 부(父)이며, 사육신 박팽년의 조부이다. 봉분은 기단석 위에 길이 1m 내외의 치석된 장대석으로 사면을 쌓은 후 봉토하였으며, 형식은 고려시대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해좌사향(亥坐巳向)이다. 석물로는 상석대신 사각형의 판석을 두었으며, 석축 아래에는 근래에 만든 향로석과 시대가 다른 비석이 세워져 있다. 그 앞으로는 금관조복(金冠朝服) 차림의 문인석 ..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11호_연기 척화비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11호 _ 연기 척화비 (燕岐 斥和碑) 수 량 : 1기 지정일 : 2016.02.1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교촌3길 13 (연기면, 연기향교) 척화비는 조선말 고종 때 흥선대원군이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겪은 직후인 1871년(고종 8) 4월 제국주의 열강의 조선 침략을 배격하고 쇄국을 강화하기 위한 굳은 결의를 나타내고 백성들에게 각성을 촉구하기 위해 서울과 전국의 중요한 곳에 세운 비석임. 연기 척화비는 연기향교 서쪽 담장을 따라 조성된 비석군들 사이에 있으며, 너비 80cm, 폭 53cm 크기의 비신받침에 세워져 있으나 비신받침이 땅속에 묻혀있어 전체 모습은 확인되지 않음. 척화비는 잘 보존된 편이나 원수(圓首) 우측 상단이 박락(剝落) 되어 있으며, 척화비의 원래 위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