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화재/시도무형문화재 3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78호_고창 석탄정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_ 고창 석탄정 (高敞 石灘亭) 수량/면적 : 1필지 674㎡지정일 : 2021.04.09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고창천길 174-10 시    대 : 조선후기 고창 석탄정은 1581년 석탄(石灘) 류운(柳澐)이 낙향 후 학문 강론을 위해 건립한 것을 1830년에 중건한 것이다.정자는 5량가, 정면 3칸, 측면 3칸, 홑처마 팔작지붕의 구조이다. 석탄정은 전북특별자치도 누정 중에서 창건연대가 빠르고 조선 후기 문중활동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건축물의 가구구조가 독특하여 건축학적 가치가 있다고창 석탄정 표지판 유공휘운유허비각 전경 유공휘운유허비각 및 비(柳公諱澐遺墟碑閣 및 碑) 고창 석탄정 (高敞 石灘亭) 전경 고창 석탄정(高敞 石灘亭)’은 1581년 석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1호_홍성 댕댕이장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1호 _ 홍성 댕댕이장 (洪城 댕댕이장) 분 류 : 무형문화재 지정일 : 2000.09.2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충서로335번길 20-10 댕댕이 덩굴은 한자로 용린(龍鱗)·상춘등(常春藤)·목방기(木防己)등으로 불리며 지방에 따라 경남지방에서는 장태미 또는 장드레미, 제주지방에서는 정당·정등·정동 등으로 불린다. 댕댕이 덩굴의 줄기는 내구성이 강하고 탄력성이 매우 좋으며 축축한 상태에서는 잘 구부러지는 특징이 있으며 풀공예 재료중 장점이 가장 많은 재료이다. 또 줄기의 직경이 2㎜미만이므로 공예품을 만들면 그 짜임새가 섬세하고 고운 질감을 준다. 이러한 장점으로 일찍부터 우리 선조들은 댕댕이덩굴로 삼태기·수저집·바구니·채반 등 생활기물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급..

대통령상 수상, 청명날 맑은 물로 빚은 충주 청명주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 _ 충주 청명주 (忠州 淸明酒) 분 류 : 무형문화재 지정일 : 1993.06.04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청금로 112-10 1년 24절기 가운데 하나인 청명일(양력 4월 5, 6일경)에 사용하기 위해 빚어진 민속주이다. 조선시대에 한강 상류의 돛단배 집결지인 충주지방 일대에 오가는 손님들이 즐겨 마시기 시작하여 옛 사대부들을 위한 손님 접대용은 물론 명절과 제삿날에 애용하던 술로 궁중에 올리기도 했다고 한다. 순찹쌀과 재래종 통밀로 제조한 누룩만을 사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약 100일 동안 발효 숙성시켜 빚는다. 충주 청명주는 알콜 농도가 높고, 색·향·맛이 뛰어나다. 현재 기능보유자 김영기씨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충주 청명주 표지판 충주 청명주 표지석 충주 중원당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