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화재/보물 1654

보물 제2216-1호_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2023-1), 정희왕후가상존호 옥보

보물 제2216-1호 _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2023-1) (朝鮮王朝 御寶・御冊・敎命(2023-1)), 정희왕후가상존호 옥보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수   량 : 어보312과 어책288첩 교명28축지정일 : 2023.06.20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시   대 : 1420년~1910년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조선이 건국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 이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1910년까지 왕비・왕세자・왕세자빈 등을 책봉하거나 국왕・왕비・상왕(上王)・왕대비・대왕대비 등에게 존호(尊號), 시호(諡號), 묘호(廟號), 휘호(徽號)등을 올릴 때 그 호칭을 새겨 수여하는 의례용 인장과 의례용 책문을 말한다. 어보(御寶)란 국왕・왕세자・..

문화재/보물 2024.12.23

보물 제2216-2호_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2023-2)

보물 제2216-2호 _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2023-2) (朝鮮王朝 御寶・御冊・敎命(2023-2)), 순종 황태자 책봉 금책/1897년/1첩 수   량 : 어보4과, 어책2첩, 교명1축지정일 : 2023.06.20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   대 : 1698년~1908년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조선이 건국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 이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1910년까지 왕비・왕세자・왕세자빈 등을 책봉하거나 국왕・왕비・상왕(上王)・왕대비・대왕대비 등에게 존호(尊號), 시호(諡號), 묘호(廟號), 휘호(徽號)등을 올릴 때 그 호칭을 새겨 수여하는 의례용 인장과 의례용 책문을 말한다. 어보(御寶)란 국왕・왕세자・왕세제・왕세손..

문화재/보물 2024.12.22

보물 제1027호_청자 구룡형뚜껑 향로

보물 제1027호 _ 청자 구룡형뚜껑 향로 (靑磁 龜龍形蓋 香爐) 수    량 : 1점지정일 : 1990.05.21소재지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시    대 : 고려시대 입 주위 넓은 테인 전이 달리고 향을 사르는 몸체 위에 구룡(龜龍)이 장식된 뚜껑이 있는 향로로 총 높이 20.4㎝, 향로 높이 10.2㎝, 입지름 10.2㎝이다.머리를 쳐들고 앉아 있는 구룡은 거북 모양의 몸에 용의 머리를 지닌 신령스런 동물로 조각이 정교하고 생동감이 넘친다. 얼굴의 갈기와 목의 비늘 등이 가는 음각선으로 자세히 묘사되었으며, 거북 등무늬 안에 ‘王’자가 새겨져 있다. 거북이 앉아 있는 형태의 뚜껑은 몸통이 뚫려 있어, 밑짝에서 향을 피우면 몸통을 통해 벌린 입으로 향이 피..

문화재/보물 2024.12.19

보물 제1798호_남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

보물 제1798호 _ 남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 (南楊州 興國寺 塑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十六羅漢像 一括) 수    량 : 23구지정일 : 2013.02.28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58 (별내동, 흥국사)시    대 : 1650년 중수 ‘남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南楊州 興國寺 塑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十六羅漢像一括)’은 조선전기 불상의 양식계보를 계승하면서도, 아직 16세기 후반의 양식으로 이행되기 바로 전단계의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상들의 초창시기를 알려주는 발원문은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1650년에 세 번째 중수된 기록과 중수 시 참여한 화원의 이름이 발견되어, 적어도 이 보다는 훨씬 앞선 시기에 조성되었음을 알..

문화재/보물 2024.11.30

보물 제569-9호_안중근의사 유묵 - 오노봉위필삼상작연지청천일장지사아복중시

보물 제569-9호 _ 안중근의사 유묵 - 오노봉위필삼상작연지청천일장지사아복중시 (安重根義士 遺墨 - 五老峰爲筆三湘作硯池靑天一丈紙寫我腹中詩) 수    량 : 1점지정일 : 1972.08.16 소재지 : 서울 마포구 와우산로 94 (상수동,홍익대학교)시   대 : 1910년 「안중근의사유묵-오노봉위필삼상작연지청천일장지사아복중시(安重根義士遺墨-五老峰爲筆三湘作硯池靑天一丈紙寫我腹中詩)」는 안중근(安重根:1879∼1910) 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뒤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1910년 3월 26일 사망하기 전까지 옥중에서 휘호한 유묵을 일괄ㆍ지정한 것 중의 하나이다. 일괄 지정된 이 작품들은 1910년 2월과 3월에 쓴 것으로 글씨 좌..

문화재/보물 2024.10.31

보물 제569-10호_안중근의사 유묵 - 세한연후지송백지부조

보물 제569-10호 _ 안중근의사 유묵 - 세한연후지송백지부조 (安重根義士 遺墨 - 歲寒然後知松栢之不彫) 수    량 : 1점지정일 : 1972.08.16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로 30 (탄현면,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관)시    대 : 1910년 안중근의사유묵-세한연후지송백지부조(安重根義士遺墨-歲寒然後知松栢之不彫)」는 안중근(安重根:1879∼1910) 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뒤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1910년 3월 26일 사망하기 전까지 옥중에서 휘호한 유묵을 일괄ㆍ지정한 것 중의 하나이다. 일괄 지정된 이 작품들은 1910년 2월과 3월에 쓴 것으로 글씨 좌측에 “경술이(삼)월, 어여순옥중, 대한국인안중근서(庚戌二..

문화재/보물 2024.10.31

보물 제569-25호_안중근의사 유묵 - 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

보물 제569-25호 _ 안중근의사 유묵 - 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 (安重根義士 遺墨 - 言忠信行篤敬蠻邦可行) 수   량 : 1점지정일 : 2003.04.14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로 30 (탄현면, 국립민속박물관)시   대 :1910년 「안중근의사유묵-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安重根義士遺墨-言忠信行篤敬蠻邦可行)」은 안중근(1879∼1910) 의사가 남긴 유묵 중의 하나로 그의 서예이다.안중근은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16세가 되던 1894년 아버지가 감사의 요청으로 산포군을 조직하여 동학군을 진압하려고 나서자 이에 참가하였다. 1906년 삼흥학교를 설립하고, 돈의학교를 인수하여 학교경영에 전념하기도 했다. 항일무장투쟁을 시작한 후 일본군 정찰대를 공격, 격파했으며, 1909년 10월 26일 이토 히로부..

문화재/보물 2024.10.30

보물 제569-30호_안중근의사 유묵 - 지사인인살신성인

보물 제569-30호 _ 안중근의사 유묵 - 지사인인살신성인 (安重根義士遺墨 - 志士仁人殺身成仁) 수    량 : 1쪽지정일 : 2022.06.23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로 30 (탄현면)시    대 : 1910년 3월 ‘안중근의사 유묵 - 지사인인살신성인’은 안중근의사(1879∼1910)가 중국의 여순감옥(旅順監獄)에 투옥 중이던 1910년 3월에 쓴 글씨이다. 글씨는 중앙에 ‘지사인인살신성인(志士仁人殺身成仁)’이라는 여덟 글자를 1행의 해서에 가까운 서체로 썼고, 왼쪽에 작은 글씨로 1행의 ‘경술년(1910) 3월 여순 감옥에서 대한국인 안중근 쓰다(庚戌三月 於旅順獄中 大韓國人 安重根 書)’라고 방서(傍書)한 다음 아래에는 손바닥 도장인 장인(掌印)을 찍었다. 보존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이 ..

문화재/보물 2024.10.30

보물 제569-21호_안중근의사 유묵 - 욕보동양선개정략시과실기추회하급

보물 제569-21호 _  안중근의사 유묵 - 욕보동양선개정략시과실기추회하급 (安重根義士 遺墨 - 欲保東洋先改政略時過失機追悔何及) 수    량 : 1점지정일 : 1991.07.12소재지 : 경기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 석주선기념박물관 (죽전동,현대홈타운4차3단지)시    대 : 1910년 3월 안중근은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16세가 되던 1894년 아버지가 감사의 요청으로 산포군을 조직하여 동학군을 진압하려고 나서자 이에 참가하였다. 1906년 삼흥학교를 설립하고, 돈의학교를 인수하여 학교경영에 전념하기도 했다. 항일무장투쟁을 시작한 후 일본군 정찰대를 공격, 격파했으며, 1909년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를 태운 열차가 하얼빈에 도착하여 그가 러시아 장교단을 사열하고 군중 쪽으로 발길을 ..

문화재/보물 2024.10.29

보물 제569-24호_안중근의사 유묵 - 천여불수반수기앙이

보물 제569-24호 _ 안중근의사 유묵 - 천여불수반수기앙이 (安重根義士 遺墨 - 天與不受反受其殃耳) 수    량 : 1점지정일 : 1999.12.15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시   대 : 1910년 「안중근의사유묵-천여불수반수기앙이(安重根義士遺墨-天與不受反受其殃耳)」는 안중근 의사가 만주 여순(旅順) 감옥에서 휘호(揮毫)한 것 중 하나로 "天與不受反受其殃耳(하늘이 주는 것을 받지 않으면, 도리어 그 재앙을 받을 뿐이다)" 9자를 행서체(行書體)로 중앙에 종서(縱書)하고 "庚戌二月 於 旅順獄中大韓國人 安重根書"라 쓴 왼쪽 아래편에 안중근 의사의 수장인 (手掌印)이 찍혀 있다. 안중근 의사가 순국하기 전인 1910년(庚戌) 2월에 쓴 것으로 안중근 의사의 의지가 돋보이는 작품이다.안중근의사 유묵 -..

문화재/보물 2024.10.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