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화재/고문서 67

<소요대사집>

<소요대사집(逍遙大師詩集)> _ 조선 1800년, 종이에 인쇄,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중앙도서관 소요 태능(逍遙 太能, 1562~1649) 스님의 시 200여수를 모아 엮은 문집이다. 수록된 시는 선의 세계를 음미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며, 가까운 스님 및 선비들과 주고받은 시도 일부 실려 있다. 태능 스님의 사상과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저서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소요대사집(逍遙大師詩集)> 2023.10.07, 불교중앙박물관_백암산 백양사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고문서 2025.03.26

<백암사전장수>

_ 조선, 종이에 먹, 백양사성보박물관 백양사에서 소유하고 있던 사찰 재산을 여러 항목으로 나누어 기록한 책이다. 조선 전기 백양사의 규모와 재산 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로써 백양사의 역사를 파악하는데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2023.10.07, 불교중앙박물관_백암산 백양사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고문서 2025.03.23

<백양사 사명일천령전망록>

_ 조선 1725년, 종이에 먹, 백양사성보박물관  명절에 백양사에서 지낸 천도재(薦度齋) 대상 명단을 기록한 책이다. 임진왜란 당시 전사한 군관, 의병장, 승병 등의 명단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이순신(李舜臣, 1545~1598)과 당시 승병장인 기허 영규(騎虛 靈圭, ? ~ 1592) 스님, 희묵(希默) 스님, 인진(印眞) 스님의 법명도 함께 남아 있다.  2023.10.07, 불교중앙박물관_백암산 백양사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고문서 2025.03.22

<여주목복재수종사위내수사환속전답개타량성책>

<여주목복재수종사위내수사환속전답개타량성책(驪州牧伏在水鍾寺位內需司還屬田沓改打量成冊)>_ 조선 1750년, 종이에 먹,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수종사에 하사된 왕실 제사 관련 토지 기록 1950년 여주목에 위치한 수종사 소속 사위전답(寺位田沓)을 내수사로 환속시킬 때 진행하였던 토지 측량 결과를 정리한 대장입니다. '어람(御覽)' 이라는 글귀는 왕에게 보고하기 위해서 작성하였음을 보여줍니다. 마지막 장에 책임자인 여주목사, 내수사 별제(別提)의 성과 착명을 기록하였으며, 각 책장에는 '여주목사지인( 驪州牧使之印)'을 날인하였습니다.<여주목복재수종사위내수사환속전답개타량성책(驪州牧伏在水鍾寺位內需司還屬田沓改打量成冊)>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 본찰 봉선사전시자료▼보시..

문화재/고문서 2025.03.21

<선문염송집설화 권3>

禪門拈頌集說話 卷3) > _ 조선 1889년, 종이에 인쇄,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봉인사 부도암에서 간행한 선문염송집설화 『선문염송 』과 『염송 설화 』를 합하여 목활자로 간행한 책입니다. 끝부분에는 당시 간행 불사에 참여한 시주자의 명단을 나열하였는데, 당시 세자빈이었던 순명효황후가 등장하여 왕실과의 관련성을 알 수 있습니다禪門拈頌集說話 卷3) >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 본찰 봉선사전시자료▼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고문서 2025.03.18

<봉선본말사지>

_ 석연 스님, 일제강점기 1927년, 종이에 인쇄,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봉선사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한 책 일제강점기 봉선사와 소속 말사 23개의 역사를 소개한 책입니다.책의 편찬은 당시 주지인 월초 스님의 원력으로 시작되었으며, 봉선사의 강사였던 석연 스니미 편찬하였습니다. 사지에는 봉선사와 각 말사의 연혁, 인물, 보물, 재산 등 사찰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하였습니다.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 본찰 봉선사 전시자료▼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고문서 2025.03.04

<내수사급각궁방전답총결여노비총구도안>

_ 조선 1787년, 종이에 먹,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봉선사에 내려진 토지에 대한 기록 왕실의 사유재산인 내탕금(內帑金)을 관리하는 내수사(內需司) 및 각 궁방(宮房)에 속한 토지와 노비를 정리한 대장입니다. 대장에는 사찰에 부여한 여러 토지가 적혀 있으며 봉선사에 베속된 토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 본찰 봉선사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고문서 2025.02.22

이건희컬렉션, <회헌선생 실기>

_ 조선 후기, 5권 3책, 28.0×20.5cm, 종이에 먹, 목판본(木版本). 이건희 컬렉션 안향(安珦)의 사상을 살필 수 있는 책 고려에 성리학을 처음 들여온 유학자 관료 안향(安珦, 1243~1306)과 관련된 글을 모은 책이다. 전체 5권으로 구성되었는데, 권1에는 안향이 직접 쓴 시(詩)와 문장을 실었고, 권2부터는 여러 기록에서 안향 관련한 부분을 발췌하거나, 후대 인물들이 안향에 대해 쓴 글, 안향을 배향한 소수서원(紹修書院) 관련 기록을 모은 것이다.  내용 중 특히 「유국자제생문(諭國子諸生文 」이라는 글이 주목된다. 성균관 학생들에게 보이기 위해 쓴 것인데, 여기에서 안향은 불교를 비판하며 성리학에 힘쓸 것을 권장하고 있다. 불교계의 폐단을 지적하는 한편 새로운 시대정신으로서 성리학을 ..

문화재/고문서 2025.01.04

<백암사전장수>

_ 조선, 종이에 먹, 백양사성보박물관 백양사에서 소유하고 있던 사찰 재산을 여러 항목으로 나누어 기록한 책이다. 조선 전기 백양사의 규모와 재산 운용을 팡악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로써 백양사의 역사를 파악하는데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2023.10.07, 불교중앙박물관_백암산 백양사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고문서 2024.12.30

<선무원종공신녹권>

_ 1605년(선조 38), 21×35cm,  전주역사박물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선무원종공신들을 기록해 놓은 책이다. 1604년 선무공신에 들지 못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1605년(선조 38)에 9,060인을 선무원종공신으로 녹훈하였다. 원종공신이란 정공신(正功臣) 아래 공신 등급을 말한다. 2024.07.10, 전주역사박물관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고문서 2024.12.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