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04 44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한정품국>

_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이후), 조선 , 종이에 먹,색, 서울대학교박물관 국화를 품평하는 모습은 단순한 여유를 넘어 조선 시대의 이상적 삶을 상징합니다. ' 閒亭'은 고요한 정자를 ' 品菊'은 국화를 감사하하며 삶의미를 되새기는 것을 뜻합니다. 조선시대의 국화는 단순한 꽃이 아니라, 사대부의 고결한 정신과 절개를 상징했습니다. _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이후) 2025.04.04, 호암미술관_겸재 정선'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부여군 향토유적 제51호_황일호 신도비 및 황진 효자각

부여군 향토유적 제51호 _ 황일호 신도비 (黃一皓  神道碑)및 황진 효자각 (黃璡 孝子閣) 수   량 : 효자각 1동, 신도비 1기지정일 : 2001.01.03소재지 :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 58황일호 신도비 및 황진 효자각 표지석 황일호 신도비 (黃一皓  神道碑)및 황진 효자각 (黃璡 孝子閣) 황일호 신도비 (黃一皓  神道碑)충렬공(忠烈公) 황일호(黃一皓, 1588~1641)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익취(翼就), 호는 지소(芝所). 황원(黃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황대수(黃大受)이고, 아버지는 황척(黃惕)이며, 어머니는 강백룡(姜伯龍)의 딸이다. 큰아버지 황신(黃愼)에게 입양되었다. 조수륜(趙守倫)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음보로 운봉현감·전주판관·임천군수 등을 역임하고, 1635년(인조 13) 증..

충청남도 기념물 제125호_부여 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25호 _ 부여향교 (扶餘鄕校) 면    적 : 3,782㎡지정일 : 1997.12.23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44-1번지 외 1필지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부여향교는 언제 세웠는지 잘 알 수 없으나 조선 전기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원래 부여읍 구교리의 서쪽 기슭에 세웠던 것을 18세기 중엽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고,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건물의 전체적인 배치는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있고,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뒤쪽에 있어 전학후묘의 구조로 되어 있다.명륜당은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건물이다. 대성전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