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물/충청남도

충청남도 기념물 제125호_부여 향교

기리여원 2025. 4. 11. 17:37
728x90

충청남도 기념물 제125호 _ 부여향교 (扶餘鄕校)

 

면    적 : 3,782㎡

지정일 : 1997.12.23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44-1번지 외 1필지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부여향교는 언제 세웠는지 잘 알 수 없으나 조선 전기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원래 부여읍 구교리의 서쪽 기슭에 세웠던 것을 18세기 중엽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고,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의 전체적인 배치는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있고,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뒤쪽에 있어 전학후묘의 구조로 되어 있다.

명륜당은 앞면 5·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 건물이다. 대성전은 앞면 3·옆면 3칸 규모로, 천장의 뼈대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연등천장으로 되어 있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성현들과 우리나라 선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이외의 건물로 공부방인 수선재와 내삼문, 외삼문 등이 있다. 대성전 앞에는 다른 내삼문과는 달리 세 곳으로 나누고 협문을 두어 이를 대신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학생을 많이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교육 기능은 사라지고 지금은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부여향교 (扶餘鄕校) 표지판

 

부여향교 (扶餘鄕校) 홍살문

 

하마비(下馬碑)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말을 비롯한 탈 것에서 모두 내리라.

외삼문(外三門)

 

건물 배치는 앞쪽에 교육 공간으로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어 전학후묘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관리사무실

 

공부방인 수선재(首善齋)

 

강학공간인 명륜당(明倫堂)

 

명륜당의 건물규모는 앞면 5·옆면 2칸 규모로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 건물이다

명륜당(明倫堂) 후면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東齋)

 

동재(東齋)만 있고 서재(西齋)는 없다.

동재(東齋) 좌 · 우측면

 

동재의 건물규모는 앞면 3칸 · 옆면 2칸으로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건축물이다.

내삼문(內三門)인 3곳의 협문

 

대성전 앞에는 다른 내삼문과는 달리 세 곳으로 나누고 협문을 두어 이를 대신하고 있다.

중앙 협문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대성전(大成殿) 현판

 

대성전(大成殿) 좌 · 우측면

 

대성전의 건물규모는  앞면 3·옆면 3칸 규모로, 천장의 뼈대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연등천장으로 되어 있고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건축물이다. 

 

2025.04.07,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부여 향교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