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화재/국가등록문화재 94

국가등록문화재 제218호_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국가등록문화재 제218호 _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奉化 酉谷里 近代 韓屋) 수량/면적 : 1동, 1층, 연면적 130.84㎡ 지정일 : 2005.11.11 소재지 : 경북 봉화군 봉화읍 토일길 156-12 (유곡리) 시 대 : 1904년경 1904년경 건립된 것으로 보이는 전통목조 주택.가구기법 및 치목기법이 우수하고 공간 및 형태의 구성미와 조형미가 뛰어남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전경 봉화 유곡리 근대한옥은 경북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형적인 'ㅁ'자형 평면 형태의 본채 건물과 '_'자형의 문간채로 구성된 한옥이다.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문간채 문간채는 출입문 및 창고를 겸한 4칸 규모의 '_'자형 건물이다.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본채는 정면 5칸, 측면 6칸 규모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04호_태안 동문리 근대한옥

국가등록문화재 제704호 _ 태안 동문리 근대한옥 (泰安 東門里 近代韓屋) 면 적 : 안채 152㎡, 사랑채 164㎡, 대문간채 85㎡, 창고 겸 화장실 19㎡ 지정일 : 2017.12.05 소재지 : 충청남도 태안군 경이정5길 51 (태안읍) 시 대 : 1930년 과거 태안읍성의 중심부에 1930년 건축된 근대한옥으로 지역에서 드물게 현존하는 근대문화유산이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총 4채의 건물(안채, 사랑채, 대문간채, 창고 겸 화장실)로 구성되었으며, 전통주택 양식을 기반으로 근대적 생활양식과 주거기능의 수용에 따라 평면 및 실 구성, 공간구조가 변화되었던 근대한옥의 건축기법을 예시하고 있다. 태안 동문리 근대한옥 표지판 태안 동문리 근대한옥 배치도 태안 동문리 근대한옥 태안 동문리 근대한옥 태안 ..

국가등록문화재 제257호_봉화 척곡교회

국가등록문화재 제257호 _ 봉화 척곡교회 (奉化 尺谷敎會) 수량/면적 : 2동, 1층 ,예배당 72.78㎡ ,명동서숙 40.6㎡ 지정일 : 2006.06.19 소재지 : 경북 봉화군 법전면 건문골길 186-42, 외 1필지 (척곡리) 시 대 : 1910년 이 교회는 구한말 탁지부 관리를 지낸 김종숙(1872~1956)이 건립하였다. 예배당은 원래 정면 3간, 측면 3간의 정방형 건물이었으나, 1990년에 앞쪽에 현관을 만들면서 붉은 벽돌로 증축되었다. 내부의 강단과 아치형 나무 장식은 원형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다. 예배당과 함께 지어진 명동서숙은 종교 교육과 함께 국어, 수학, 한문 등 신자들을 교육하던 건물이다. 이 교회는 선교사나 단체가 아니라 교인의 선구적인 의지로 설립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32호_주미조선공사관 관련 이상재 기록

국가등록문화재 제832호 _ 주미조선공사관 관련 이상재 기록 수 량 : 2건 2점 지정일 : 2022.05.11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 시 대 : 1887~1889 「주미조선공사관 관련 이상재 기록」은 1888년 주미조선공사관에서 초대 공사 박정양을 수행했던 서기관 이상재(李商在, 1850-1927)가 기록한 주요 외교문서의 필사본과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로 구성된다. 먼저『미국공사왕복수록(美國公使往復隨錄)』은 미국정부와 직접 주고받은 문서, 외교활동 참고사항을 담고 있다. 그리고 『미국서간(美國書簡)』은 이상재가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를 묶은 것으로 집안일에 관련된 내용이지만, ‘미국 상황(민주주의, 물가)’, ‘공관의 임대료’, ‘청나라로 인한 업무 수행의 어..

국가등록문화재 제8호_대한성공회 진천성당

국가등록문화재 제8호 _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大韓聖公會 鎭川聖堂) 수량/면적 : 1동 연면적 205㎡ 지정일 : 2002.02.28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 63-10번지 시 대 : 1923 1923년 건립된 이 건물은 충북 지역 선교의 거점 역할을 목적으로 세워진 성당으로 성공회 성당의 특징인 한옥 성당의 모습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정면 4간, 측면 8간 규모로 동쪽에 출입구, 서쪽에 제단을 두었으며, 내부는 두 개의 열주에 의해 신랑(身廊, Nave)과 측랑(側廊, Aisle)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전형적인 바실리카식 공간으로 이루어졌다. 목조 한옥의 구조를 성당 건축에 적용한 예이며, 충북 지역 최초의 성공회 건축물이자 이후 성공회 성당 건축물의 본보기가 되고 있다.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국가등록문화재 제58호_진천 덕산양조장

국가등록문화재 제58호 _ 진천 덕산양조장 (鎭川 德山釀造場) 수량/면적 : 1동 연면적 347.1㎡ 지정일 : 2003.06.30 소재지 : 충북 진천군 덕산면 초금로 712, 외 1필지 (용몽리) 시 대 : 1930 이 건물은 양조장의 전형을 알 수 있는 단층의 합각 함석지붕 목조건축물로, 지붕 목조트러스 가운데 목부재에 쓰여진 기록을 통해 1930년에 목수 성조운(成造運)이 건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양조장의 환기를 위해 높은 창을 두고 보온을 위해 벽체와 천장에 왕겨를 채웠으며, 외부 마감은 목재 널판을 사용하는 등 목조 건축물로서 독특한 형식을 갖추고 있다. 진천 덕산양조장 표지판 진천 덕산양조장 좌측은 등록문화재이며, 우측은 진천 덕산막걸리를 생산하는 양조장입니다. 진천군의 국가등록문화재는 1..

국가등록문화재 제679호_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토마스홀

국가등록문화재 제679호 _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토마스홀 (서울 梨花女子大學校 토마스홀) 수량/면적 : 1동/ 실측면적 542㎡ 지정일 : 2017.04.2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시 대 : 일제강점기 1935년 감리교 부인선교부의 한국 사업간사 토머스(Mrs. Thomas)여사의 업적을 기념하며 세워진 건물로, 미국인 선교사로 일본에서 건축가로 활동한 윌리암보리스(William Merrell Vorries, 1881-1964)의 설계로 지어졌다. 최초에는 체육관으로 건축되었으나, 현재는 무용과에서 사용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신축 당시의 모습을 온전하게 갖추고 있으며 관리 상태도 매우 양호하다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토마스홀 표지판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토마..

국가등록문화재 제14호_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국가등록문화재 제14호 _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서울 梨花女子大學校 파이퍼 홀) 수량/면적 : 본관 1동 연면적 4,281.3㎡ 지정(등록)일 : 2002.05.31 소재지 :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대현동) 시 대 : 1935 본 건물은 지상 3층 석조.철근콘크리트조 고딕양식으로 우리나라 여성고등교육기관의 대표적 건물이다. 1935년 신촌에 새 교사를 신축하면서 본관으로 지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한국전쟁중 부분적 파손이 있었으나 원래 모습으로 복구하였다.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표지판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본관은 본교 캠퍼스에서 가장 먼저 지어진 건물이다. 지하1층,지상 3층 규모로 화강암을 완자무늬로 쌓아 올린 고딕양식으로 건축했다. 건물 전면 위편에 십자가 조..

국가등록문화재 제354호_괴산중학교 구 본관

국가등록문화재 제354호 _ 괴산중학교 구 본관 (槐山中學校 舊 本館) 수량/면적 : 1동 1층 건축면적/연면적 725.06㎡ 지정일 : 2007.09.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괴산읍 괴산로 3527 (대사리) 시 대 : 1949년 1949년 건립 이 건물은 1946년에 개교한 괴산중학교의 본관으로 광복 직후 우리나라 기술진이 건축한 충북 도내 유일의 석조 교사이다. 길이가 77m에 이르며, 이 지역에서 채석한 화강석으로 외벽을 마감하여 교육 시설로서의 장중함을 보여주고 있다 괴산중학교 구 본관 표지판 괴산군에 있는 등록문화재 1. 국가등록문화재 제144호 _ 괴산군수 막사 2. 국가등록문화재 제354호 _ 괴산중학교 구 본관 이상 2곳 괴산중학교 구 본관 주출입구 전경 괴산중학교 구 본관 주출입구 ..

국가등록문화재 제144호_괴산군수 관사

국가등록문화재 제144호 _ 괴산군수 관사 (槐山郡守 官舍) 수량/면적 : 동, 1층, 연면적 : 안채(85㎡), 사랑채(39㎡), 행랑채 및 부속채(49㎡) 지정일 : 2004.12.3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 551번지 시 대 : 1914 또는 1918추정 1919년 무렵 건립 이 건물은 이 지역 유지인 최부자가 1950년에 기증한 것으로, 현재에도 괴산 군수 관사로 사용되고 있다. 근대기에 세워진 현존하는 관사들은 대부분 외래 양식 건축물이지만, 괴산 군수 관사는 전통 한옥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중앙에 솟을대문을 두고 있는 대문간채, ‘ㅡ’자형의 사랑채, ‘ㄱ’자형의 안채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평면의 실 구성 및 배치는 변화하는 생활 방식에 따라 많은 부분이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