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화재/국가등록문화재 93

국가등록문화재 제664-1호_3·1 독립선언서(2016-1)

국가등록문화재 제664-1호 _ 3·1 독립선언서(2016-1) (3·1 獨立宣言書(2016-1)) 수량/면적 : 1장/세로 20.5 × 가로 45.8㎝ 지정일 : 2016.10.2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서초동,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시 대 : 1919년 『3·1독립선언서』는 1919년 3월 1일에 있었던 3·1 독립운동에 맞추어 민족대표 33인이 조선의 독립을 선언한 글이다. 손병희, 한용운 등 민족대표 33인이 서명하였다. 처음에는 건의서 형식으로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기로 발의되었으나, 건의서는 민족자결의 의미가 없고 강력한 독립의 의지와 그 당위성을 내외에 선포할 독립선언서로 해야 한다는 최린(崔麟)의 주장을 따라 이 선언서를 작성하게 되었다고 한다. 내용은 기(..

국가 등록문화재 제714호_장효근 일기

국가등록문화재 제714호 _ 장효근 일기 (張孝根 日記) 수 량 : 27책 지정일 : 2018.05.08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 1916~1945년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인 장효근(1867~1946)이 1916년부터 1945년 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거의 하루도 빠뜨리지 않고 기록한 한문체의 일기이다. 장효근은 제국신문(帝國新聞), 만세보(萬歲報) 등의 창간과 발행을 통해 애국계몽운동에 참여하였고, 3.1운동이 추진되던 1919년 2월 27일 천도교에서 운영하던 인쇄소 보성사(普成社)에서 독립선언서 2만여 매를 인쇄하여 배포한 혐의로 5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유족들에 의해 독립기념관에 기증된 그의 일기에는 일제강점기 사회상과 국내외 정세, 독립운동..

국가등록문화재 제711호_조일관계사료집

국가등록문화재 제711호_ 조일관계사료집 (朝日關係史料集) 수 량 : 4책 지정일 : 2018.05.08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편찬한 최초이자 유일한 역사서로, 조선총독부 등에서 발간하는 일제의 선전물이 국제적으로 식민통치의 실상을 왜곡하는 것에 대응하고, 국제연맹에 우리 민족의 독립을 요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책은 한일관계사를 삼국시대부터 연대별로 다루어 일본의 침략성을 실증하고, 경술국치 이후 식민탄압의 잔혹성과 3.1운동의 원인 및 전개과정 등을 포함하여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 100질이 만들어졌으나, 현재 국내에서 완질로 전하는 것은 독립기념관 소장본이 유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조일관계사료..

국가 등록문화재 제652호_대동단결 선언문서

국가등록문화재 제652호 _ 대동단결 선언문서 (大同團結 宣言文書) 수량/면적 : 1점/세로 20.1 × 가로 14.5㎝지정일 : 2015.12.08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시    대 : 1917년 신규식 등이 통일적인 독립운동조직을 결성하려는 뜻을 가지고, 국내·외의 민족 운동가들에게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민족대회를 소집하기 위하여 작성한 국한문 혼용의 문서이다. 이 선언문은 독립운동의 이념 확립은 물론 해외 독립운동 세력의 단결과 임시정부 수립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가치가 있고, 현재 희소가치가 매우 높다. 대동단결 선언문서 (大同團結 宣言文書) 1917년 조소앙 · 박은식 · 신채호 등 14명의 독립운동가들이 임시정부의 수립을..

국가 등록문화재 제458호_진관사 소장 독립신문류

국가등록문화재 제458호 _ 진관사 소장 독립신문류 (津寬寺 所藏 獨立新聞類) 수 량 : 5종 20점 지정일 : 2010.02.2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길 73 (진관동, 진관사) 시 대 : 일제강점기 2009년 5월에 서울시 은평구 소재 진관사(津寬寺) 칠성각(七星閣) 해체 보수과정에서 내부 불단과 벽체사이에 있던 독립신문류 등 5종 20점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신문류의 발행일자가 1919년 6월~12월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동 자료는 1919년 3.1운동을 기점으로 진관사에서 활동하던 스님이 독립운동에 가담하며 확보한 자료로 추정된다. 이렇게 귀중한 독립운동과 관련된 자료가 같은 장소에서 일괄적으로 발견되었다는데 그 의미가 클 뿐만 아니라, 1919년 3.1운동 이후 6월에서 12..

국가 등록문화재 제385호_태극기 목판

국가등록문화재 제385호 _ 태극기 목판 (太極旗 木版) 수 량 : 1점 지정일 : 2008.08.12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 1919년 태극기를 찍어내기 위해 목재에 4괘와 태극문양을 새긴 목판으로 희귀할 뿐 아니라 당시 제작기법과 상황을 헤아릴 수 있는 것으로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태극기 목판 (太極旗 木版) 3 · 1운동 당시 태극기를 대량으로 찍어 내기 위한 목판으로 태극과 사괘가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2023.03.05, 독립기념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국가 등록문화재 제386호_남상락 자수 태극기

국가등록문화재 제386호 _ 남상락 자수 태극기 (南相洛 刺繡 太極旗) 수 량 : 1점 지정일 : 2008.08.12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화리 230 시 대 : 1919년 ­독립운동가 남상락(1892~1943)이 1919년 4월 4일 독립만세 운동에 사용하기 위하여 부인과 같이 만든 전체가 손바느질로 제작된 희귀한 태극기이다 남상락 자수 태극기 (南相洛 刺繡 太極旗) 표지판 _ 독립기념관소장(남선우 기증) 1919년 4월 4일 충남 당진(엣 서산)에서 만세 시위를 주도한 남상락(南相洛)의 태극기이다. 손바느질로 제작된 점이 특징인 남상락 태극기는 당진의 천의장터 만세시위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2023.03.05, 독립기념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국가 등록문화재 제525호_국한회어

국가등록문화재 제525호 _ 국한회어 (國漢會語) 수 량 : 2권 지정일 : 2012.12.24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시 대 : 1895년 1895년 이준영, 정현, 이기영, 이명선, 강진희의 다섯 사람이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 대역사전으로 서울대 규장각 소장의 필사본이다. 건책이 177장, 곤책이 187장, 모두 364장 총 25,520개의 표제항으로 되어 있다. 책의 장정은 우철(右綴)의 5침 선장본이지만 책의 서문과 본문의 필서 방식은 좌에서 우로 진행 되어 있으며, 본문도 가로쓰기로 되어있다. 또한 표제항을 가나다라 순으로 배열하였으며 표제어를 한글로 표기하고, 풀이말을 한문으로 표기하였는데, 외국과의 교류를 통한 신문화ㆍ문명의 도입에 따른 새로운 제도와 학문에 ..

국가등록문화재 제796호_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국가등록문화재 제796호 _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수 량 : 1건 1점 지정일 : 2020.10.1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895~1896년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는 안동의병 중 한사람이었던 이긍연(李兢淵, 1847∼1925)이 을미사변 이후인 1895년 12월 1일부터 1896년 10월 11일까지 직접 보고들은 내용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의병투쟁 당시의 실상, 군사력, 문중간의 이해관계나 의병에 대한 태도 등 의병 관련 기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격문·통문 등의 사항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해당 유물은 을미의병의 활동 전모를 담고 있는 대표적·상징적인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표지판 이긍연 을미..

국가등록문화재 제218호_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국가등록문화재 제218호 _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奉化 酉谷里 近代 韓屋) 수량/면적 : 1동, 1층, 연면적 130.84㎡ 지정일 : 2005.11.11 소재지 : 경북 봉화군 봉화읍 토일길 156-12 (유곡리) 시 대 : 1904년경 1904년경 건립된 것으로 보이는 전통목조 주택.가구기법 및 치목기법이 우수하고 공간 및 형태의 구성미와 조형미가 뛰어남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전경 봉화 유곡리 근대한옥은 경북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형적인 'ㅁ'자형 평면 형태의 본채 건물과 '_'자형의 문간채로 구성된 한옥이다.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문간채 문간채는 출입문 및 창고를 겸한 4칸 규모의 '_'자형 건물이다.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 본채는 정면 5칸, 측면 6칸 규모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