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화재/국가등록문화재 93

국가 등록문화재 제325호_고창 조양식당

국가등록문화재 제325호 _ 고창 조양식당 (高敞 兆陽食堂) 수량/면적 : 1동2층, 연면적254.60㎡, 건축면적188.50㎡지정일 : 2007.04.30소재지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천변남로 86 (읍내리)시   대 : 1935년 이 건물은 원래 여관으로 건립하였으나, 현재는 식당으로 쓰고 있다.1층에는 부엌과 방이 있으며 방 앞에는 쪽마루를 두었다. 2층에는 전면과 후면 쪽에 복도를 두고 1층에서 출입할 수 있는 계단을 2개 설치하였으며, 복도 안쪽의 공간은 전‧후면으로 분할한 겹집 형태로 방이 8개 있다.1층 일부는 변형되기도 하였지만 목재 비늘 판벽과 목골조, 내부 공간이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고창 조양식당 표지판 고창 조양식당 전경 고창 조양식당은 1935년에 '조양관(朝陽館)'이라는 여관..

국가등록문화재 제176호_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

국가등록문화재 제176호 _ 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 (舊 高敞高等普通學校 講堂) 수량/면적 : 1동, 1층 - 건축면적 317㎡지정일 : 2005.06.18소재지 : 전북 고창군 고창읍 모양성로 50 (교촌리)시    대 : 1938년 이 건물은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으로 건립해 초기의 공간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지붕은 박공지붕 양쪽 끝 부분이 약간 꺾인 맨사드 형태로 구성하였고, 출입구의 캐노피는 마름모 형태의 붉은 벽돌 기둥으로 지지하였으며, 기둥 상부에는 벽돌을 돌출시켜 주두를 간략하게 표현하는 등 정면성을 강조하였다.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 표지판 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 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 주출입구 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 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 측면 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 부..

국가등록문화재 제177호_구 부안금융조합

국가등록문화재 제177호 _ 구 부안금융조합 (舊 扶安金融組合) 수량/면적 : 1동, 1층 - 건축면적 155.93㎡(증축부 제외) 지정일 : 2005.06.18 소재지 : 전북 부안군 부안읍 당산로 90 (동중리) 시 대 : 일제강점기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에 금융기관으로 건축한 후 부안농협을 거쳐 현재 부안군청 해양수산과 사무실로 사용하는 근대 사무소 건축물이다. 평면은 ‘ㄷ’자 모양으로 정면 중앙 현관을 통해 사무 공간으로 출입하고, 좌우측의 복도를 통해 증축부의 각 실과 연결되도록 공간을 구성하였다. 일본인들의 경제 수탈 정책을 지원하려고 설립한 소규모 금융조합 건물로, 곡창지대인 부안 지역에서 생산된 쌀을 수탈해 가는 데 선봉 노릇을 한 시설이다. 구 부안금융조합 구 부안금융조합 (舊 扶安金融組合..

장항선 마지막 간이역 보령 청소역

국가등록문화재 제305호 _ 보령 청소역 (保寧 靑所驛) 수량/면적 : 역사 1동 및 일곽, 역사건축면적 : 79.95㎡, 부지면적 : 2,900㎡, 철로길이 : 역사 좌우측 각각 150 지정일 : 2006.12.04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청소면 청소큰길 176, , 334-7외 (진죽리) 시 대 : 1961년 청소역은 1동, 1층 규모로 건축면적 79.95㎡, 철로길이 좌·우 각각 150m이다. 청소역은 장항선로의 역사이다. 장항선은 본래 사설의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에 의하여 충남선이라는 이름으로 천안~온양 사이가 1922년 6월1일에 개통되고, 1931년 8월 1일에 전구간이 개통되었으며, 1946년 5월 사설철도의 국유화정책으로 국유화되었고, 1955년 6월에 장항선이라고 개칭하였다. 청소역은 19..

국가등록문화재 제272호_홍성고등학교 강당

국가등록문화재 제272호 _ 홍성고등학교 강당 (洪城高等學校 講堂) 수량/면적 : 1동 1층 연면적 357.02㎡ 지정일 : 2006.09.19 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 343-3번지 시 대 : 1943년 ­1943년에 건립되어 당시 홍성공립중학교의 강당으로 쓰인 건물. 단상 위 가운데에 남아있는 벽감은 매우 드문 사례 홍성고등학교 강당 표지판 국가등록문화재 제272호 홍성고등학교 강당 동표지판 홍성고등학교 강당 홍성고등학교 강당 출입문 현재는 카페, 홍여울로 사용하고 있다. 홍성고등학교 강당 부출입문 홍성고등학교 강당 홍성고등학교 강당 홍성고등학교 강당 홍성고등학교 강당 홍성고등학교 강당 홍성고등학교 강당 홍성고등학교 강당 주출입문 홍성고등학교 강당 홍성고등학교 강당 내부 * 찾아가는길 홍..

국가등록문화제 제676호_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

국가등록문화재 제676호 _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 (大韓聖公會 서울主敎座聖堂 모자이크 祭壇畫) 수량/면적 : 1점/전체 높이 : 8.6m(제단화 높이 : 5.4m, 기단 부분 높이 : 3.2m), 곡면 길이 : 약 8m 지정일 : 2017.02.1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15 (정동, 대한성공회서울대성당) 소유자(소유단체) : 대한성공회유지재단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는 조지 잭(George Jack, 1855-1932)의 디자인에 따라 1927년에서 1938년에 걸쳐 제작되었다. 예수가 들고 있는 책에는 ‘나는 세상의 빛이다(Ego Sum Lux Mundi)’라는 문구가 적혀 있고, 중앙의 예수 아래에는 성모마리아를 중심으로 왼편으로 성사도요한과 성스테파노, 오른편..

국가등록문화재 제532호_초동(初冬)

국가등록문화재 제532호 _ 초동 (初冬) 수 량 : 1점 지정일 : 2013.02.21 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시 대 : 1926년 청전(靑田) 이상범(1897~1972)은 자신의 독자적 화풍인 ‘청전 산수’를 수립하여 중국식 화풍과 차별성을 보인 작가이다. 초동은 삼각형의 산봉우리 하나를 화면 상부에 배치하고 그 아래 농가와 전답을 그려 넣어 추수가 끝난 이른 겨울의 평화로운 시골 마을을 서정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제5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하여 입선한 작품이다. 작품의 좌측 하단에 ‘靑田’이라는 글씨가 세로로 쓰여 있고 그 아래로 낙관이 있다. 전통 관념산수화풍에서 사생풍 산수화풍으로 이행한 이후 제작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이상범의 조선미술전람회 수상작 중에서 가장 제작연대가 이른 작품..

국가 민속문화재 제125호_화성 정수영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125호 _ 화성 정수영 고택 (華城 鄭壽永 古宅) 수량/면적 : 1필지/1,141㎡ 지정일 : 1984.01.14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서신면 오얏리길 56 (궁평리) 시 대 : 19세기말 1800년대 말에 지은 초가집이다. 'ㄱ'자형 안채와 '一'자형 사랑채·행랑채가 모여 경기도의 전형적인 튼 'ㅁ'자형의 평면구조를 보이고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안마당이며, 대문의 왼쪽에 사랑채가 있고 오른쪽에 행랑채가 세로로 길게 자리잡고 있다. 안채는 사랑채가 마주보이는 곳에 대청과 건넌방을 두고, 꺾이는 왼쪽 아래로 찻방·안방·부엌을 두었다. 대청의 뒷벽에는 왼쪽으로 뒷창을 내고 오른쪽으로 벽장을 만들어서 조상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사당을 따로 두지 않는 민가에서..

국가등록문화재 제817호_한국광복군 기관지 광복(光復)

국가등록문화재 제817호 _ 한국광복군 기관지 광복(光復) 수 량 : 1건 6점 지정일 : 2021.10.13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 1941년 ~ 1942년 ‘한국광복군 기관지 광복(光復)’은 한국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국광복군의 대일항전을 선전하여 항일 독립사상을 널리 전파하기 위해 1941년부터 1942년까지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정훈처에서 발행한 기관지다.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의 독립운동 취지 및 활동 상황을 군사, 외교, 국제정치, 경제, 일본의 조선 식민 통치 및 대외팽창정책 등 다양한 측면에서 조명하고 있어 독립운동사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기관지 제목인 ‘光復(광복)’의 글씨를 한국광복군 총사령 이청천(또는 지청천..

국가등록문화재 제815호_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서명문

국가등록문화재 제815호 _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서명문 수 량 : 1건 1점 지정일 : 2021.10.13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 1940년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서명문’은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의 가릉빈관에서 임시정부 주석이자 광복군창설위원회 위원장인 김구 주관하에 거행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관련 유물이다. 서명문은 전례식에 참석한 중국 측 인사 및 서방 외교사절, 신문사 대표들이 서명한 원본 방명록으로, 충칭 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의 독립운동과 외교 활동 및 언론 창구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서명문 2023.03.05, 독립기념관 글 문화재청 ▼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