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쌍수암 영산회상도(雙修庵 靈山會上圖) _ 조선 1887년, 비단에 채색, 의성 고운사
쌍수암 영산회상도는 기존 영산회상도와는 다르게 난간을 두룬 넓은 육각형의 단 안에 사각형 대좌를 넣고 석가모니불과 보살, 십육나한을 비롯한 여러 존상들을 배치하였다. 난간 아래에는 연꽃이 활짝 핀 연못을 표현하였다. 화면 전체적으로 적색과 군청색 계통의 강렬한 색체를 사용하였다.
화기의 기록을 통해 하은 응상(霞隱應祥) 스님을 비롯하여 한규(翰奎), 법임(法任), 서휘(瑞輝), 소현(小賢), 봉화(奉化) 스님이 함께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사불산화파(四佛山畵派)의 일원으로 활동한 응상 스님의 화풍을 엿볼 수 있다.
쌍수암 영산회상도(雙修庵 靈山會上圖)
쌍수암 영산회상도(雙修庵 靈山會上圖)
2022.09.13, 불교중앙박물관_등운산 고운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문화재 > 비지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곡사 소조십육나한상 (1) | 2022.10.15 |
---|---|
고운사 불영패(佛影牌) (0) | 2022.10.13 |
임인진연의궤(壬寅進宴儀軌) , 임인진연도병 (0) | 2022.10.04 |
기로소선생안(耆老所先生案) (2) | 2022.10.01 |
안동 용담사 감로도 (1) | 2022.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