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 62

서해로 외적 침입시 방어를 위한 남포 읍성

충청남도 기념물 제10호 _ 남포읍성 (藍浦邑城) 면 적 : 86,528㎡ 지정일 : 1976.01.08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읍내리 378-1 시 대 : 고려시대 공양왕 2년(1390년) 추정 ◦ 남포현의 치소(治所)는 웅천읍 수부리에 있었으나, 조선 세종 때, 지금의 남포읍성으로 옮기면서 세종 28년(1446)에 주민통치와 외적 침입 시 방어를 위해 돌로 성을 쌓았고, 현재 성(城)의 길이는 790m 정도임. ◦ 축성 초기에는 왜구 방어를 위한 군사 기지적 성격이 강했으나, 점차 왜구의 침입이 줄어들면서 행정치소로 기능하였음. ◦ 조선시대 여러 차례 보수하고 개축하여 오늘날 형태가 비교적 잘 남아있는데, 축성 양식은 아래 부분은 큰 돌로 쌓고, 점차 올라가면서 작은 돌로 쌓아 가고, 내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1호_용암 영당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1호 _ 용암 영당 (龍岩 影堂)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보령호로 819 (미산면, 이제헌선생사당) 시 대 : 조선 ◦ 용암영당(三思堂이라고도 함)은 조선 영조16년(1740) 보령지역에 사는 경주이씨(慶州李氏)들이 자신들의 조상인 익재 이제현을 추모하며, 제사하기 위하여 세웠음. ◦ 1800년에는 웅천의 학자이자 이제현(益齋 李濟賢)의 17대손인 이예환(李禮煥)등이 중심이 되어 이제현의 영정을 봉안하고 향사하였음. ◦ 그 후 여러 번 고쳐오다가 최근 보령댐 수몰로 인하여 현재의 위치에 이전하였고, 매년 유림과 경주이씨 후손들이 제사를 지냄. ◦ 이 사당에 모셔진 익재 이제현은 고려 충렬왕 27년(1301) 나이 15세에 문과에 ..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_윤자운 사우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_윤자운 사우(尹子雲 祠宇) 수 량 : 1동 지정일 : 1991.12.10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웅천읍 관당리 산37-1 이 사우는 병조판서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문도공 윤회와 영의정을 지내고 무송부원군에 봉해진 문헌공 윤자운을 제향하는 사우이다. 원래 이 사우는 성종25년(1494)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홍죽리에 건립되었으나, 그 곳에 사는 윤자운의 후손들이 괴학하여 관리가 부실해짐에 따라 1725년 웅천읍 소황리 지역에 사는 윤자운의 후손들이 위패를 모셔다가 웅천 소황리에 재건립하였다. 그러니 소황리에 군사시설이 들어거면서 현 위치로 옮겨졌다. 윤자운 사우 표지판 윤자운 사우 전경 신도비. 효자비. 공적비, 사적비 좌) 茂宋府院君史蹟碑(무송부원군사적비) 우) 崇祿大夫議政府左..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2호_집성당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2호 _ 집성당(集成堂) 수 량 : 1동 지정일 : 1991.12.10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웅천읍 대천리 81-10 시 대 : 1898 1898년 윤석봉 선생이 주도하고 신섭 조진학 등 유림들이 발의하여 세운 사우이다. 주자와 송시열의 영정을 봉안하고 향사하면서 보령과 주변 지역에 화서학파의 학맥을 전하고 그 중심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조선말기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유교문풍을 진작하는 장소와 항일 유림들의 강학장고가 되었던 곳이다. 처음에는 주변에 강학 공간인 건물도 있었지만, 현재는 영졍 대신 위패를 모신 제향 건물만 남아있고, 매년 유림들이 춘추로 제사를 지내고 있다. 집성당 표지판 찾아가시는 길은 웅천 돌문화공원 입구에서 좌측으로 갑니다. 앞에 파란 지붕의 단독주택이 보입니..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2호_보령 죽청리 고인돌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2호 _ 보령 죽청리 고인돌 (保寧 竹淸里 고인돌) 수 량 : 12기 지정일 : 2000.09.20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웅천읍 죽청리 362번지 ◦ 웅천읍 죽청리 장터마을(기현부락)에 있는 12기의 고인돌임. ◦ 이곳은 장터마을의 중앙으로 많은 고인돌이 집중적으로 분포함. 장터마을에는 이곳 외에도 많은 고인돌이 있었으나 이곳을 제외하고 대부분이 훼손되었음. ◦ 대부분의 고인돌은 편마암인데, 동북쪽 산지에는 많은 편마암 노두가 있어 이곳에서 옮겨다 만들었을 것으로 생각됨. 보령 죽청리 고인돌 표지판 보령 죽청리 고인돌 보령 죽청리 고인돌 보령 죽청리 고인돌 보령 죽청리 고인돌 보령 죽청리 고인돌 보령 죽청리 고인돌 보령 죽청리 고인돌 보령 죽청리 고인돌 보령 죽청리 고인돌 보령..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6호_보령 독산리 독살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6호 _ 보령 독산리 독살 (保寧獨山里독살) 수량/면적 : 1식 지정일 : 2000.09.20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독산리 758-1 공유수면 ◦ 보령지방의 해안은 조석간만의 차가 커서 예부터 갯벌에 살을 매어 고기를 잡는 전통 어로가 많이 행해졌음. 그중 갯벌에 돌로 담을 쌓아 만든 살을 독살이라하며, 독산리에는 10곳의 독살이 있었는데 모두 훼손되고 이 곳 독살만이 형체를 유지하고 있음. ◦ 원래 2개였던 독살이 하나로 통합된 형태로 북쪽 날개의 길이는 70m 정도이고 남쪽의 날개는 100여m 정도임 보령 독산리 독살 표지판 보령 독산리 독살 (保寧獨山里독살) 보령 독산리 독살 (保寧獨山里독살) 보령 독산리 독살 (保寧獨山里독살) 보령 독산리 독살 (保寧獨山里독살)..

보물 제1127호_천노해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1127호 _ 천노해 금강반야바라밀경 (川老解 金剛般若波羅蜜經) 수 량 : 1권 1책 지정일 : 1992.04.2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 고려 우왕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줄여서 ‘금강경‘이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 조계종의 근본경전이다. 금강석과 같은 지혜로 모든 고통의 고리를 철저하게 끊어야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하게 된다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반야심경 다음으로 많이 읽히는 불교경전이다. 이 책은 송나라의 천노가 뜻을 풀이하고 운문 형식의 칭송하는 글을 붙인 것이다. 나무에 새겨서 닥종이에 찍었으며, 크기는 세로 26.6㎝, 가로 15.5㎝이다. 불상 속에서 나온 듯 얼룩진 자국이 있고, 책의 가장자리를 쥐가 갉아먹어 일부 파..

문화재/보물 2024.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