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보물 4

보물 제803호_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보물 제803호 _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高敞 禪雲寺 懺堂庵 大雄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11.30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도솔길 194-77, 선운사 (삼인리) 시 대 : 조선 영조 22년(1746) 선운사에 속해 있는 암자인 창당암의 대웅전이다. 선운사는 신라 진흥왕이 절을 세웠다는 설과 백제 위덕왕 24년(577) 고승 검단선사가 지었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조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모든 건물이 불에 탄 것을 다시 세우기 시작하여 광해군 11년(1619)에 끝을 맺었는데 그 뒤로도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선운사에는 원래 많은 암자가 있었으나 지금은 동운암·석상암·참당암·도솔암만 남아 있다.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은 의문화상이..

문화재/보물 2023.11.11

보물 제279호_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79호 _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高敞 禪雲寺 金銅地藏菩薩坐像), 복제품 수 량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선운사 (삼인리) 시 대 : 조선시대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高敞 禪雲寺 金銅地藏菩薩坐像)은 신라 진흥왕대에 창건하고 광해군 5년(1613)에 재건한 선운사에 있는 불상으로 청동 표면에 도금한 것이다. 머리에 두건(頭巾)을 쓰고 있으며, 이마에 두른 굵은 띠는 귀를 덮고 배에까지 내려오고 있다. 선운사 도솔암에 있는 선운사지장보살좌상(보물)과 같은 형태의 불상이다. 넓적하고 살찐 얼굴에 눈·코·입이 작게 묘사되었다. 굵게 주름진 삼도(三道)가 표현된 목은 짧아서 움츠린 듯한 느낌을 준다. 가슴은 당당한 모습이지만 두꺼..

문화재/보물 2023.11.09

보물 제2031호_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031호_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高敞 禪雲寺 懺堂庵 石造地藏菩薩坐像) 수 량 : 상 1구, 대좌 1기 지정일 : 2019.06.26 소재지 :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로 250 (아산면) 선운사 시 대 : 고려 말~조선 초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은 고려 말~조선 초에 유행한 두건을 쓴 지장보살좌상으로, 특히 불교회화에서 많이 그려진 도상이다. 온화한 표정과 불룩한 입술, 양쪽에서 드리워져서 여의두(如意頭) 형태로 마무리 진 띠 장식, 둥근 보주(寶珠)를 든 모습, 그리고 가슴에 들려진 띠 매듭 등은 고려 말기 보살상 양식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 지장보살좌상은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비례와 띠로 묶어 주름잡은 섬세한 두건의 표현 등이 조형적으로 우수할 뿐만 아니..

문화재/보물 2023.11.08

보물 제1918호_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보물 제1918호 _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高敞 文殊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수 량 : 3구 지정일 : 2016.11.16 소재지 : 전라북도 고창군 칠성길 135 (고수면, 문수사) 시 대 : 조선시대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중앙에 석가여래를 본존으로 좌우에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가 배치된 삼불형식이다. 석가여래좌상과 아미타여래좌상에서 발견된 발원문과 1756년의 「文殊寺創建記」현판, 1843년의 「高敞懸鷲領山文殊寺寒山殿重刱記」현판을 통하여 1654년에 彫刻僧 海心, 性守, 勝秋, 敏機, 道均, 妙寬, 勝照, 勝悅, 智文, 信日, 明照, 景性, 一安, 處仁, 元辨 등 15인의 조각승에 의해 조성된 불상으로서,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의 중요한 기준자료이다. 석가여래와 약사여래, ..

문화재/보물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