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장각 보물 6

보물 제1591호_해동지도

보물 제1591호 _ 해동지도 (海東地圖) 수 량 : 6책 128장 2축2장 지정일 : 2008.12.22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시 대 : 18세기 조선 후기 전국의 군현을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를 수록한 지도첩이다. 군현 지도뿐만 아니라 조선전도, 도별도와 중국도, 황성도, 북경궁궐, 왜국지도와 함께 주요 관방의 지도도 포함되어 있다. 원래 8첩이었으나 지금은 6책으로 되어 있다. 제1책 경기도, 제2책 해서전도·관서전도, 제3책 관동전도·북관전도, 제4책 서북피아양계전도, 제5책 영남전도, 제6책 호서전도, 제7책 호남전도, 제8책 팔도총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책의 서북피아양계전도와 제8책의 팔도총도는 대형전도이다. 지도에 ..

문화재/보물 2022.03.02

보물 제1358-2호_동여도

보물 제1358-2호 _ 동여도(東輿圖) 수 량 : 23첩 지정일 : 2008.12.22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시 대 : 9세기 19세기 중엽에 김정호가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전도(全圖)로, 필사본이다.『대동여지도』와 유사하게 23층의 절첩식(絶帖式)으로 제작되었다. 또, 전체적인 한반도의 윤곽, 산계(山界)와 수계(水界), 도로망 등 대부분의 내용이『대동여지도』와 일치하며, 범례에 해당하는 「지도표(地圖標)」도『대동여지도』와 흡사하다. 『동여도』는 필사본으로 목판본보다 세밀한 기록이 가능했기 때문에『대동여지도』에 비해 약 7천여 개의 지명이 더 수록되어 있다. 특히『대동여지도』에서는 누락되어 있는 방(坊)과 면(面)의 지명이..

문화재/보물 2022.02.26

보물 제1463-3호_용비어천가 권1~2

보물 제1463-3호 _ 용비어천가 권1~2 (龍飛御天歌 卷一~二) 수 량 : 1책 지정일 : 2009.10.20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호 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시 대 : 1447년(세종29년) 조선왕조의 목조(穆祖, 태조 이성계의 고조)부터 태종(太宗)까지 조선의 건국 과정과 각종 사적(事跡), 그리고 그에 대응되는 중국 역대 제왕의 사적을 기록한 서사시이다. 조선이 천명(天命)에 의해서 세워졌다는 건국의 정당성을 알리기 위한 목적에서 편찬되었다. 『용비어천가』는 125장의 한글 가사 및 그에 해당하는 한시(漢詩)를 본문으로 하였고, 각 장마다 주해(註解)를 붙였다. 1445년(세종 27)에 권제(權踶), 정인지(鄭麟趾), 안지(安止) 등이 본문을 완성..

문화재/보물 2022.02.26

보물 제1560호_도성도

보물 제15460호 _ 도성도 (都城圖) 수 량 : 1축 지정일 : 2008.04.22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18세기 말에 제작된 한양 지도이다. 도봉산과 북한산을 배경으로 하면서 백악산(白岳山)·인왕산(仁王山)·목멱산(木覓山, 남산)·타락산(駝駱山, 낙산)의 내사산(內四山)을 중심으로 한양의 빼어난 자연 환경을 산수화처럼 그렸다. 정확한 제작 시기는 미상이지만, 1785년에 설치되었다가 1802년에 폐지된 장용영(壯勇營)이 종묘의 오른쪽에 그려져 있는 것을 통해 이 지도가 18세기 말에 제작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지도는 남쪽을 바라보며 정사(政事)를 살피는 국왕의 시각에 맞추어 남쪽이 지도 상단으로, 북쪽이 지도 하단으로 배치되..

문화재/보물 2022.02.25

보물 제850-3호_대동여지도

보물 제850-3호 _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수 량 : 22첩 지정일 : 2008.12.22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시 대 : 1864년 『대동여지도』의 여러 이본 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지도이다.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 생몰년 미상)가 1861년(철종 12)에 제작한 이 지도는 조선의 지도 발달에서 정점에 있으면서 고지도의 백미로 평가받고 있다. 전국의 남북을 22첩으로 나누어 분첩절첩식(分疊折帖式) 형태로 제작하여 모두를 아래 위로 맞추면 전국지도가 된다. 지도의 제1첩에는 방안표, 범례인 지도표와 지도유설, 경도오부지도 등과 함께 조선의 최북단인 온성(穩城), 종성(鐘城), 경원(慶源) 일대의 지도가..

문화재/보물 2022.02.24

보물 제1592호_여지도

보물 제1592호 _ 여지도 (輿地圖) 수 량 : 3책33장 지정일 : 2008.12.22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시 대 : 18세기 18세기 말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지도책이다. 총 3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채식필사본이다. 제1책에는 세계지도, 중국지도, 북경과 한양의 도성도, 전도 등 6장의 지도가 실려 있고, 제2책에는 정상기(鄭尙驥)의『동국지도(東國地圖)』유형의 조선 도별도가 수록되어 있다. 또, 제3책에는 중국 각 성(省)의 지도 16장이 실려 있는 등 일반적인 조선후기 지도책과는 내용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여지도류’ 중에서 제작 시기가 비교적 빠른 편으로 지도의 표현과 기법이 매우 뛰어나며, 역사적·학술적 측면에서 가치..

문화재/보물 2016.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