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리여웜 4

보물 제973호_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4, 7, 8

보물 제973호 _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4, 7, 8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 卷四, 七, 八) 수 량 : 3권 3책 지정일 : 1988.12.28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5, 서울역사박물관 (신문로2가,서울역사박물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또는 ‘능엄경’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말씀을 머리 속으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경험하여 얻을 것을 중요사상으로 한다. 송나라 계환(戒環)이 쉽게 풀이한 것을 세종 31년(1449)에 수양대군(뒤의 세조)이 세종의 명에 따라 번역을 시작하여 세조 7년(1461)에 완성한 것이다. 3권이 2책으로 이루어졌으며, 크기는 세로 36.9㎝, 가로 25㎝이다. 한..

문화재/보물 2021.12.29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3호, 제2-4호_돌하르방(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입구)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3호 _ 돌하르방(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입구 서쪽)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08.26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성로 40,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입구 시 대 : 기타 *특이사항 -동쪽 : 오른손을 가슴위에 올려놓고 있다. -서쪽 : 왼손을 가슴위에 올려놓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3호, 제2-4호 표지판 _ 돌하르방 돌하르방(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입구 서쪽) 우석목·무석목·벅수머리 등으로 불리우는 이 석상은 제주목·정의현· 대정현의 성문 입구에 세워졌던 것이나, 현재는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대학·제주시청·제주국제공항· 삼성혈·관덕정 등에 산재하여 있으며 제주시내에 21기, 성읍에 12기, 대정의 인성·안성·보성에 12기 도합 45기가 있다. 석..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0호_선암사 팔상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0호 _ 선암사팔상전 (仙岩寺八相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76.09.30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죽학리) 조계산에 위치한 선암사는 통일신라 헌강왕 5년(875)에 도선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사찰이다. 절의 서쪽에 높이가 10여 장(丈)이나 되고 면이 평평한 돌이 있는데 신선들이 바둑을 두던 곳이라고 하며, 절의 이름도 이곳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정유재란(1597) 때 대부분 불타 없어진 것을 숙종 24년(1698)에 약휴대사가 다시 지은 후, 순조 24년(1824) 해봉대사·눌암대사 등이 다시 지었는데 팔상전도 이때 지은 것이다. 선암사 팔상전은 석가여래의 생애를 묘사한 그림인 팔상도를 모시고 있는 법당이다.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이며,지붕 옆..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6호_기성병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6호 _ 기성도병 (箕城圖屛) 수 량 : 병풍한틀(8帖) 지정일 : 2003.12.30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9세기후반 8첩 병풍에 평양성(平壤城)과 대동강(大洞江)의 전경 및 평양감사(平壤監司)의 대동강(大洞江)에서의 선유(船遊)광경을 가로로 길게 담은 성읍풍속도(城邑風俗圖)이다. 제 1첩은 평양성 밖, 제 2-5첩은 내성(內城), 제 6첩은 중성(中城), 제 7-8첩은 외성(外城)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각종 지형과 시설물, 공해(公廨,관청)등에는 묵서(墨書)로 해당 명칭을 표기하였는데 매우 상세한 편이다. 평양성의 우측에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 시점이 일관되어 평행 사선 방향으로 늘어선 건물들의 모습과 지세의 원근(遠近)및 고저(高低)도 자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