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4

보물 제2000호_김홍도 필 삼공불환도

보물 제2000호 _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 (金弘道 筆 三公不換圖) 수 량 : 1좌(8폭) 지정일 : 2018.10.04 소재지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 삼성미술관리움 시 대 : 조선 1801년(순조 1)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는 조선 후기 산수화․인물화․풍속화 등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기량을 발휘한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이후)가 57세인 1801년(순조 1)에 그린 8폭 병풍 그림이다. ‘삼공불환(三公不換)’은 전원의 즐거움을 삼공(三公)의 높은 벼슬과 바꾸지 않겠다는 의미로, 송나라 시인 대복고(戴復古)의 시「조대(釣臺)」에 나오는 구절이다. 이 그림은 1801년 순조임금의 천연두 완쾌를 기념하여 유후(留後)라는 호를 쓰고 한씨(韓氏) 성을 가진 인물이 만든 4점의 ..

문화재/보물 2020.08.05

보물 제1971호_김홍도 고사인물도

1. 무이귀도 2, 황정환아 3. 융봉취하 4. 동상휴기 5. 동강조어 6. 화외소거 7. 오류귀장 8. 서호방학 보물 제1971호 _ 김홍도 필 고사인물도 (金弘道 筆 故事人物圖) , 무이귀도, 황정환아, 용봉취하 수 량 : 8폭 지정일 : 2018.02.22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 시 대 : 18세기 말~19세기 초 ‘김홍도 필 고사인물도’는 김홍도가 주희(朱熹), 광무제(光武帝), 왕희지(王羲之), 도연명(陶淵明) 등 중국의 역대 인물들의 일화를 그린 고사도(故事圖)이다. 원래는 병풍형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비교적 상태가 양호하다. 조선시대 그림의 주제로 자주 차용된 중국의 고전적인 소재를 김홍도가 개성적인 화풍을 망라하여 구현한 작품으로, 산수배경과 인물에 있어 한국적 정취가 ..

문화재/보물 2020.08.01

보물 제1971호_김홍도 필 고사인물도(무이귀도)

1. 무이귀도 2, 황정환아 3. 융봉취하 4. 동상휴기 5. 동강조어 6. 화외소거 7. 오류귀장 8. 서호방학 보물 제1971호 _ 김홍도 필 고사인물도(무이귀도) (金弘道 筆 故事人物圖) 수 량 : 8폭 지정일 : 2018.02.22 소재지 :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시 대 : 조선시대 ‘김홍도 필 고사인물도’는 김홍도가 주희(朱熹), 광무제(光武帝), 왕희지(王羲之), 도연명(陶淵明) 등 중국의 역대 인물들의 일화를 그린 고사도(故事圖)이다. 원래는 병풍형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비교적 상태가 양호하다. 조선시대 그림의 주제로 자주 차용된 중국의 고전적인 소재를 김홍도가 개성적인 화풍을 망라하여 구현한 작품으로, 산수배경과 인물에 있어 한국적 정취가 실감나게 표현되었다. 중국의 역대 은일자(隱逸..

문화재/보물 2018.09.04

보물 제1970호_김홍도 필 마상청앵도

보물 제1970호 _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 (金弘道 筆 馬上聽鶯圖) 수 량 : 1폭 지정일 : 2018.02.22 소재지 :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시 대 : 18세기 말~19세기 초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는 조선 후기에 활약하며 최고의 화가로 높은 평가를 받았던 김홍도(1745~1806 이후)가 조선의 풍속을 소재로 삼아 자연과 교감하는 인간의 세심한 모습을 서정성 깊게 표현한 작품이다. 시동(侍童)을 대동한 선비가 말을 타고 길을 가던 중 꾀꼬리 한 쌍이 노니는 소리에 말을 멈추고 시선을 돌려 버드나무 위의 꾀꼬리를 무심히 바라보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인물 묘사에 사용된 섬세한 필선, 말과 마구에 사용된 부드러운 필법, 선비의 시선과 표정, 대담한 공간감 등이 잘 어우러져 김홍도가 추구한 한국적인..

문화재/보물 2018.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