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운산 고운사 28

의성 고운사 <연수전 기문 현판>

_ 대한제국 1902년, 의성 고운사 연수전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현판이다. 현판에는 황태자의 상소로 시작된 고종의 기로소 입소 과정과 고종의 수복(壽福)을 축원하는 글, 고운사에 연수전이 자리하게 된 과정을 기록하였다. 기문이 만드러진 시기는 고종이 기로소에 입소한 1902년 7월이며, 찬자는 안철용(安喆瑢)이다 2022.09.13, 불교중앙박물관_등운산 고운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의성 고운사 <연수전 상량식 현판>

_ 대한제국 1903년, 의성 고운사 연수전을 중수(重修)하며 적은 상량문을 목판에 옮긴 것이다. 매행 14~19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34행이다. 글자는 해서체로 일부 먹흔이 남아있다. 현판의 내용인 상량문은 조선 말기의 문신 윤용선(尹容善)이 고종의 명을 받아 작성하였다. 연수전 상량문의 앞뒤가 잘려나가고 일부 내용만 적혀 있어 정확한 내용 파악이 어렵다. 2022.09.13, 불교중앙박물관_등운산 고운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고운사의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_ 의성 고운사 명부전, 1670 신유한의 고운사중수기(1729)에는 1670년(현종 11)에 명부전과 존상들이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지장보살상이 두 손을 낮게 두고 있는 점, 정방형의 얼굴에 기다란 귀와 매부리코로 대표되는 상호 표현 등에서 단응(端應) 스님의 특징이 보여 조각승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시기는 소영 신경(昭影神鏡) 스님이 고운사에 주석하며 불사를 관장하던 시기로 명부 존상의 조성과 신경 스님의 연관성을 살펴 볼 수 있다. 시왕상의 착의나 의습선(衣褶線) 표현이 화려하며, 의복과 의자 내부에 다양한 인물상이 표현되어 있어 독특하다. 최근 이운 과정에서 지장보살좌상 대좌 하단 좌복의 명문에 1725년(영조 1) 지장보살을 중수한 기록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2022.09.13,..

의성 고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왕비전하수제년 전패, 우순풍조만민함락 원패

의성 고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왕비전하수제년 전패, 우순풍조만민함락 원패 목조아미타불좌상(木造阿彌陀佛坐像) _ 조선 1695년, 의성 고운사 고운사 극락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의 주존(主尊)이다. 신유한의 고운사사적비(1729)에는 1695년(숙종 21)에 아미타불상을 봉안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조각승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지만 상의 형식적 특징, 팔각 대좌 내부 천인상의 표현으로 보아 탁밀(卓密) 스님의 영향을 받은 불상으로 추정된다. 소영 신경(昭影神鏡) 스님이 고운사에 주석하던 시기의 상이기 때문에 조각승의 선정 및 불사 전반에 깊이 관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왕비전하수제년 전패(王妃殿下壽齊年 殿牌) _ 조선 후기, 의성 고운사 불전 내 불단 위에 왕과 왕비, 세자의 만수무강을 빌기 ..

운수암영각상량문(雲水庵影閣上樑文)

운수암영각상량문(雲水庵影閣上樑文) _ 조선 1868년, 의성 고운사 함홍 치능 스님은 고운사 산내 암자인 운수암(雲水巖)과도 인연이 깊었다. 「함홍당집 」의 「행장(幸狀) 」에 따르면 1835년 소실됐던 운수암을 몸소 재건하여 사찰의 기강을 엄숙히 세웠다고 전한다. 또한 만년(晩年)을 보낸 만성(晩惺)이라 편액한 전각은 운암(雲庵) 옆이었다고 하였는데, 운암은 운수암으로 추정된다. 운수암영각상량문은 세로로 긴 한 장의 종이에 진한 먹으로 상량을 축원하는 글과 본암질(本菴秩) 등을 가지런하게 적어 내렸다. 1868년 3월 28일에 영가의 기둥을 세우고 4월 2일에 상량한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치능 스님이 편찬한 사실도 잘 남아있다. 2022.09.13. 불교중앙박물관_등운산 고운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

수월당대선사영민진영

수월당대선사영민진영(水月堂大禪師永旻眞影) _ 근대, 비단에 채색, 의성 고운사 수월 영민(水月永旻, 1817~1893) 스님의 진영이다. 수월 영민스님은 깨달음의 상징적 결정체인 사리가 생전에 출현한 것으로 유명하다. 스님은 1833년 17세에 의성 고운사로 출가하였다. 10년 동안 면벽(面壁) 수도를 수행했고, 여러 사찰을 돌아다니며 스승들을 찾아 정진하였다. 끝없는 수행으로 약 64과의 사리가 출현했으며 1893년 세납 71세, 법랍(法臘) 61세로 입적하였다. 수월당대선사영민진영(水月堂大禪師永旻眞影) 수월(水月) 영민(永旻) 스님 수월 영민(1817~1893) 스님은 함홍 치능 스님과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고운사의 고승이다. 영민 스님은 편양 언기 스님의 4세손인 기성 쾌선(箕城 快善, 1693~1..

함홍당집(涵弘堂集)

함홍당집(涵弘堂集) _ 조선 1897년,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함홍당집 」은 함홍 치능(涵弘 致能) 스님의 시문(詩文)을 엮은 문집이다. 문집에 수록된 「행장 」에 따르면, 스님은 안동에서 태어나 13세에 고운사에 주석하던 숙부이자 환성 지안(喚醒志安)스님의 8세손인 송암 의탄(松庵義坦) 스님에게 출가하였다. 스님은 출가 이후에도 유학자에게 경사자집(經史子集)을 수학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증명하듯 문집에는 사대부와도 두루 교유하며 주고받은 서정적인 내용의 시가 다수 남아있는데, 유불(儒佛)에 통달하였던 스님의 넓은 견문을 짐작할 수 있다. 함홍당집(涵弘堂集) 함홍 치능(涵弘 致能) 스님 함홍 치능(1805~1878) 스님은 환성 지안 스님과 포월 초민 스님의 법맥을 계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세..

경북오본산고금기요

경북오본산고금기요(慶北五本山古今記要) _ 일제감점기 1937년,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경북오본산고금기요 」는 1937년 경북불교협회에서 발행한 책으로, 경상북도 5개본산(本山)인 의성 고운사, 영천 은해사, 대구 동화사, 문경 김룡사, 경주 기림사의 주요사건을 수록하였다. 각 사찰의 연표 · 문서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개 본산의 창건과 중수, 각 사찰에서 입적한 고승들의 비문, 탑, 불화, 불상의 조성을 시간순으로 기록하였다. 특히 고운사 목에는 사찰의 창건부터 조선 후기까지의 역사 자료를 집성하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고운사의 연혁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된다. 경북오본산고금기요(慶北五本山古今記要) 2022.09.13, 불교중앙박물관_등운산 고운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청천집 권5

청천집 권5(靑泉集 券五) _ 조선 1770년,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고운사의 내력을 기록한 문집 조선 후기의 문인인 청천(靑泉) 신유한(申維翰, 1681~1752)의 문집이다. 「청천집 」에 는 1729년 고운사의 역사를 최초로 정리한 고운사사적비(孤雲寺事蹟碑)의 비명이 기록되어 있다. 비문에는 851년 의상대사가 고운사를 창건한 내용으로 시작하여, 고려 초 운주화상과 천우조사의 중수, 1668년 가허루(駕虛樓, 현재의 가운루)의 중수, 1670년 명부전 건립, 1695년 극락전 보수 등의 내용이 있어 고운사의 내력을 파악할 수 있다. 청천집 권5(靑泉集 券五) 2022.09.13, 불교중앙박물관_등운산 고운사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