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를 만나다 26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복장물

해인사 금동지장보살상 복장물 _ 고려 1351년, 합천 해인사 해인사 금동지장보살상 복장물 , 시주물과 시주자를 적은 문서 해인사 금동지장보살상 복장물 , 다라니 다라니는 진언으로 이를 암송하면 그 신통력으로 재난을 없애고 수명을 연장해 주는 등 현실적인 효험이 있다고 믿었다. 복장물에서는 수심에서 수백 건의 다양한 다리니가 발견된다. 해인사 금동지장보살상 복장물 , 발원문과 봉지 140명의 시주자 이름을 적은 발원문으로 다음과 같은 서원이 적혀있다. '관음복장, 직접 모셔 마치 그림자처럼 관음을 따라다니며 항상 설법을 들어 중생들을 인도할 것입니다.' '임종할 때 곧장 극락왕생할 것이며, 아미타여래와 관세음보살을 직접 만나 뵙고, 나와 다른 이들이 일시에 불도를 성취하기를 바랍니다.' 해인사 금동지장보..

합천 해인사 금동지장보살상 복장물

해인사 금동관음 · 지장보살상 복장물 _ 고려 1351년, 합천 해인사 해인사 금동관음 · 지장보살좌상은 1351년 성주 법림사 대장전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한 고려시대 불상이다. 내부에서 팔엽통 발원문, 직물, 경전 등의 복장물이 확인되었다. 은제 팔엽통과 그 내부의 오보병, 심주와 양면원경은 고려시대 팔엽통의 내부 구조를 잘 보여준다. 오보병은 다라니를 오려 접은 후 각각 오색실로 묶었는데 일부에서 오곡, 오향 등이 확인되었다. 중요한 복장물은 발원문에 해당하는 원문, 제물권축, 보권문 등으로 불상의 조성 주체 및 시주 품목과 7가지의 복(福)과 지(智)를 함께 닦아 수행하자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를 통해 1336년부터 130~140명의 시주자를 모아 1351년에 완성하기까지 단계별 불상 조성 내력을..

금동여래좌상

금동여래좌상(金銅如來坐像) _ 여말선초, 부산박물관 높은 육계 위에 보주를 올려 놓았으며 항마촉지의 손 모양과 위 아래 대칭을 이루는 이중의 연화대좌가 특징이다. 이러한 형식은 티베트계 불교미술의 특징으로 죽구의 원, 명대에 유행하였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후기에 유입되어 조선 초기까지 제작되었다. 금동여래좌상(金銅如來坐像) 2022.06.03. 부산박물관_치유의 시간, 부처를 만나다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예천 용문사 화장찰해도(華藏刹海圖)

화장찰해도(華藏刹海圖) _ 조선, 1896년경, 예천 용문사, 봉화(奉華)등 3명 제작 비로자나불의 정토, 연화장세계 『대방광불화엄경 』의 내용중 비로자나불의 정토인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이다. 연화장세계는 수미산을 둘러싼 향수해(香水海)에 떠 있는 큰 연꽃 속에 111개의 세계가 시계방향으로 둥글게 펼쳐져 있는 매우 복잡하고 방대한 구조이다. 주불인 비로자나삼존불과 지권인 · 촉지인 · 설법인의 수인을 취하고 있는 여러 여래, 아난 · 가섭존자 등을 등장시켜 상징성과 회화성을 더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중국 원대 승려 보서(普瑞)의 『화엄현담회현기(華儼縣擔會玄記) 』에 수록된 변상도가 모본이며, 화승 봉화(奉華), 법현(法賢), 긍엽(亘葉) 등이 제작하였다. 삼베에 채색한 것..

남해 용문사 서방광목천왕 삼베 두르마기, 남해 용문사 사천왕상

남해 용문사 서방 광목천왕 삼베두르마기 _ 조선시대, 남해 용문사 사천왕 내부에 들어있던 복식 - 서방 광목천왕 삼베두르마기 1702년 조성된 남해 용문사 목조사천왕상 중 서방 광목천왕상과 북방 다문천왕상 내부에서 후령통, 다라니 외 북장물이 발견되었다. 복식은 모두 12점으로 광목천왕의 삼베 두루마기는 깃 부분에 태천희성(太天熙性)이라는 먹 글씨가 있다. 희성스님은 1666~1703년 이뤄진 용문사의 전각 불사에 공이 있다. 다른 복식에도 승려의 법명(法名)으로 추정되는 글자가 있다. 복장물에서 승려복식이 다수 발견된 경우는 용문사 사천왕상이 유일하다. 스님들이 불법(佛法)의 수호신인 사천왕이 되어 나라와 용문사를 지키려는 바람이 담긴 것으로 짐작된다. 남해 용문사 서방 광목천왕 및 북방 다문천왕 왼쪽..

남해 용문사 인로왕보살번도

남해 용문사 인로왕보살번도(引路王菩薩幡圖) _ 조선, 남해 용문사 영혼을 천도하는 인로왕보살 번 부처와 보살의 공덕을 나타내는 깃발 형태의 불구(佛具)를 번(幡)이라 한다. 이것은 망자의 영혼을 국락세계로 인도하는 인로왕보살의 번(幡)이다. 우리나라의 인로왕보살은 주로 조선시대 감로왕도에 번(幡)을 들고 고혼(孤魂)을 구제하는 존재로 그려졌다. 의식집에 의하면 법횔르 열 때 해탈문 밖에 영혼단을 설치하고, 중앙에는 인로왕보살번, 좌우에는 종실전과 고혼번을 안치하도록 했다고 한다. 따라서 용문사 인로왕보살번도 본래 종실번, 고혼번과 함께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태가 양호하지는 않으나 바탕천에 직조된 칠보운문이 확인되고 비단실로 수놓은 '나무대성인로왕보살(南無大聖引路王菩薩)'이라는 글자도 또렷하게 남..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1호_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1호 _ 목조아미타여래좌상 (木造阿彌陀如來坐像), 2번 수 량 : 1구 지정일 : 2015.07.1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18세기 전반) 이 불상은 결가부좌한 자세에 양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어 다리 위에서 살짝 들고 있는 아미타인을 하고 있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며, 방형의 상반신과 다리 폭이 이루는 신체비례가 좋아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작은 눈은 수평으로 가늘며, 뭉툭한 코와 입술에 드러나는 얕은 미소는 온화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얼굴에 표현된 양감과 부드럽고 온화한 인상, 방형의 상반신과 하반신이 이루는 적당한 신체비례, 그리고 다리 위에 늘어진 옷 주름 등이 특징으로, 18세기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0호_목조여래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0호 _ 목조여래좌상 (木造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5.07.1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 후기(18세기 후반) 이 불상은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하고 앉아 양손을 다리 위에서 살짝 들어 아미타인을 하고 있다. 양감이 있는 방형의 얼굴은 오뚝한 코가 큼직하며, 수평으로 그은 작은 눈, 미소를 띠는 입술 표현 등으로 온화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두꺼운 측면의 신체, 큼직한 코와 온화한 인상의 얼굴, 오른쪽 어깨에 보이는 물방울 같은 옷자락, 그리고 대좌와 일체로 조각된 하반신의 옷자락이 대좌를 덮은 裳懸座 형식 등은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 18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조각승인 상정(尙淨)의 작품들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9호_목조여래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9호 _ 목조여래좌상 (木造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5.07.1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 후기(17세기 전반) 목조여래좌상은 머리를 아래로 숙이고 결가부좌한 자세에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하여 어깨까지 들고, 왼손은 다리 위에 살짝 든 상태에서 엄지와 중지를 맞댄 說法印을 하고 있다. 아래를 내려다보는듯한 가는 눈, 부드러운 눈썹 선에서 이어지는 쭉 뻗은 코, 입술의 양끝이 올라가 얕은 미소를 보이는 얼굴은 부드럽고 차분한 인상을 준다. 특히 방형의 얼굴은 턱을 둥글게 깎았으며, 양 볼이 부푼 듯 볼록하고 측면이 납작한 것이 특징인데, 이는 17세기 최고의 조각승으로 알려져 있는 玄眞의..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7호_금동관음보살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7호 _ 금동관음보살좌상 (金銅觀音菩薩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5.07.1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8 (대연동, 부산박물관) 시 대 : 고려시대 후기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신체에 비해 머리는 큰 편이며, 어깨와 무릎은 넓어 비교적 안정적인 신체비례를 가지고 있으며, 方形의 얼굴에 양측으로 치켜 올린 눈, 뾰족하고 날렵한 코, 작고 얇은 입술 모양으로 이국적인 느낌을 준다. 이 작품은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유행한 불상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원반형 귀걸이, 臺座 표현, 이국적인 얼굴 모습 등은 元나라 때의 불상 특징과 관련된 새로운 요소이다. 특히 손에 든 정병은 1476년에 제작된 강진 무위사 목조관음보살좌상과 유사한데, 고려 후기 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