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규장각 4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_ 유근(柳根) 등 찬(撰), 1617년(광해군 9), 18권 18책, 목판본, 37.8×25.4cm 광해군(光海君)의 명에 의해 설치된 찬집청(撰集廳)에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와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 』의 속편으로 편찬한 유교 교화서로, 우리나라의 역대 효자 · 충신 · 열녀 1,500명 이상의 사례를 모아두었다. 1612년(광해군 4)에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순절한 사람들에게 대대적인 정문(旌門) 포상이 내려진 것을 계기로 편찬이 시작되었다. 전면에 그림을 배치하고 간략한 전기(傳記)를 한문과 언해로 달았다. 충신편에 수록된 『순신역전(舜臣力戰) 』은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戰死)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2023.02.08, 서울대학..

문화재/고문서 2023.02.16

보물 제771호_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언해)

보물 제771호 _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언해) (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諺解)) 수 량 : 1책 지정일 : 1984.05.30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호 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시 대 : 조선 세조 10년(1465) 당나라의 승려 현장(玄奘)이 한문으로 번역한 『반야바라밀다심경』에 대해 법장(法藏) 등이 주석을 붙여 만든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를 조선 세조대에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한 책이다. 『반야바라밀다심경』은 ‘반야심경’이라고도 부르는데, 불교의 여러 종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보편적인 경전이다. 본서는 효령대군(孝寧大君)과 한계희(韓繼禧)가 왕명을 받아 번역하여 1464년(세조 10)에 간경도감에서 간행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초간본(初刊本)으로, ..

문화재/보물 2023.02.08

국가 등록문화재 제525호_국한회어

국가등록문화재 제525호 _ 국한회어 (國漢會語) 수 량 : 2권 지정일 : 2012.12.24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시 대 : 1895년 1895년 이준영, 정현, 이기영, 이명선, 강진희의 다섯 사람이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 대역사전으로 서울대 규장각 소장의 필사본이다. 건책이 177장, 곤책이 187장, 모두 364장 총 25,520개의 표제항으로 되어 있다. 책의 장정은 우철(右綴)의 5침 선장본이지만 책의 서문과 본문의 필서 방식은 좌에서 우로 진행 되어 있으며, 본문도 가로쓰기로 되어있다. 또한 표제항을 가나다라 순으로 배열하였으며 표제어를 한글로 표기하고, 풀이말을 한문으로 표기하였는데, 외국과의 교류를 통한 신문화ㆍ문명의 도입에 따른 새로운 제도와 학문에 ..

서울대학교규장각_책판 冊板, 조선의 문화를 새기다 (2017.12.23)

2017 규장각 소장 책판 기획전 책판 冊板 조선의 문화를 새기다 1. 국보 제151-1호 _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정조실록, 세종실록 2. 국보 제153호 _ 일성록 3. 국보 제303호 _승정원일기 4. 보물 제1560호 _ 도성도 5. 보물 제 1592호 _ 여지도 책판 冊板 조선의 문화를 새기다 일시 : 2017.10.20(금)~2018.01.28.(일) 1. 조선후기 출판문화와 규장각 2. 규장각 책판의 현황 3. 규장각 책판의 간행처 4. 책판과 조선의 예술 5. 책판과 동아시아 문화 교류 6. 책판으로 본 조선 팔도 보물 제1560호 _ 도성도 (都城圖) , 모사품 수 량 : 1축 지정일 : 2008.04.22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

문화재/박물관 2017.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