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군 문화재자료 4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8호_지현리 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8호 _ 지현리 삼층석탑 (芝峴里 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18번지 지방 관아의 뜰에 남아 있던 것으로 전하는 3층 석탑이다. 탑신(塔身)의 1층 몸돌 남쪽면에 새긴 기록에는 고려 성종 10년(991) 한산지방의 호족이 나라를 지키기 위한 뜻을 담아 이 탑을 세웠다고 적고 있다. 지현리삼층석탑 표지판 지현리 삼층석탑 (芝峴里 三層石塔) 서천군에 있는 5기의 석탑 1. 보물 제224호_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2.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8호_지현리 삼층석탑 3.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9호_수암리 삼층석탑 4.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0호_봉남리 삼층석탑 5.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1호_지석리 삼층석탑 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7호_이색 신도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7호 _ 이색 신도비 (李穡 神道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서천군 기산면 건지산길 89-20 (영모리) 신도비란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비석에 기록하여 그의 묘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목은(牧隱) 이색 선생을 기리고 있다. 이색(1328∼1396)은 고려 후기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를 따르지 않고 충절을 지켰던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공민왕 때에는 전제의 개혁, 국방계획, 교육의 진흥, 불교의 억제 등 여러 개혁정책에 관한 건의문을 올리기도 하였다. 또한 중국의 원·명교체기에 있어서는 친명정책을 지지하였으며, 고려 후기 유교가 들어오면서 불교를 배척하자는 의견이 대두되자, 유교의 입장에서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0호_봉남리 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0호 _ 봉남리삼층석탑 (峰南里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산57-2 시 대 : 고려시대 봉남리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 기단(基壇)과 탑신(塔身)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고, 특히 1층 몸돌에는 문모양과 문고리를 조각해 두었다. 고려시대에 만든 탑으로 짐작되며, 전해오는 말에는 탑의 뒷편에 사찰이 있었다 하나 지금은 절터만 남아있다. 탑 속에서 발견된 귀금속은 일제 시대 때 일본군이 훔쳐가 남아있지 않다. 봉남리 삼층석탑 표지판 이곳에서 우측으로~ 좌측은 길이 없습니다. 이 곳에서 50m에 위치해 있습니다. 올라가서 오른쪽에 봉남리 삼층석탑이 위치해 있습니다. 약수물 봉남리 삼층석탑 (峰南里 三層石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1호_지석리 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_ 지석리 삼층석탑 (支石里 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서천군 종천면 지석길39-24(지석리) 시 대 : 고려시대로 추정 지석리에 있는 3층 석탑으로, 원래 마을 뒷산에 있었는데 일제시대 때 일본인들이 가져가려고 이곳까지 운반해 왔다가 주민들의 반발로 가져가지 못하여 이곳에 자리잡게 되었다. 형태는 바닥돌 위에 1층 기단(基壇)을 세우고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에는 3개의 안상(眼象)을 얕게 조각하였고,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을 본 뜬 조각을 두었다. 탑신의 1층 몸돌에 비해 2층 이상의 몸돌이 급격히 줄어들어 지붕돌보다도 높이가 낮아졌다. 기단에 새긴 안상조각이나 간략해진 탑의 구성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