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 문화재 15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85호_속초 김종우 가옥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85호 _ 속초 김종우 가옥 (束草 金宗友 家屋) 수 량 : 2동 지정일 : 1985.01.17 소재지 : 강원도 속초시 도문동 1190번지 이 가옥은 18세기 중엽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며, 현 소유자의 부친 때부터 이 곳에서 살아오고 있다. 안채와 행랑채 그리고 부속 창고로 이루어지며 집의 본채인 안채는 온돌 중심의 겹집에 마루가 도입된 'ㄱ'자 형태이다. 팔작지붕의 5량가 짜임새이며 평면 배치는 우측에 부엌이 있고 전열에는 마루 2칸과 사랑방이 놓이고 후열에는 안방, 뒷방, 뒷사랑이 있다. 부엌에 이어져 있는 외양간은 본채 지붕과 같은 높이로 한 칸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는 저장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자연석 쌓기 기단과 투박하게 다듬은 목재는 독특한 멋을 내고 있다. 겹집 형태이..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37호_속초 매곡오윤환선생 생가, 속초 8경 학무정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37호 _ 속초 매곡 오윤환선생 생가 수 량 : 일원 지정일 : 2006.07.28 소재지 : 강원도 속초시 도문동 195 속초지역의 유학자이셨던 매곡 오윤환(1872~1946) 선생의 생가로서, 전면 4칸, 측면 2칸의 ㄱ자 함경도형 겹집이다. 본채 전면에는 머름대가 있으며, 안채 뒤쪽으로 일자형의 방들이 이어져 있다. 뒷마당에는 증축한 곳간과 창고가 있다. 마구간 벽체는 판벽으로 짜여 있고 본채 지붕에 이어서 내림지붕으로 낮게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안방에는 할머니가, 윗방에는 시어머니가 거주하였으며, 윗방에는 튓마루가 후원 쪽으로 나와 있어 후원을 거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랑방에는 조부가, 윗사랑에는 손자가 생활하였고 뒷방에는 며느리가, 윗 뒷방에는 딸들의 공간으로 활용하..

보물 제1981호_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보물 제1981호 _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束草 新興寺 極樂寶殿) 수량/면적 : 1동/105.9㎡ 지정일 : 2018.306.04 소재지 : 강원도 속초시 설악산로 1137 (설악동, 신흥사) 시 대 : 조선시대 속초 신흥사는 외설악 동사면 기슭에 위치하는 사찰로 신라 진덕여왕 6년(652년) 자장율사(慈藏律師)가 향성사로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창건 후 소실 된 사찰을 임진왜란 이후 1644년(인조22년) 향성사 옛터에서 아래로 10리 떨어진 곳에 신흥사로 다시 세웠고, 그 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흥사 극락보전은「설악산신흥사대법당중창기」(1749년), 「신흥사극락전중수기」(1770년), 「신흥사극락보전중수상량문」(1821년) 등의 자료에 의하면 영조 25년(1749년)..

문화재/보물 2021.06.06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6호_속초 신흥사 명부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6호 _ 속초 신흥사 명부전 (束草 新興寺 冥府殿) 수 량 : 1동 지정일 : 2011.12.16 소재지 :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170번지(신흥사 내) 시 대 : 18세기 18세기에 건축된 속초 신흥사 명부전은 전면 창호의 조형과 구성에서 보이는 독특함과 전체적인 통일성 등을 볼 때 조선후기 사찰 건축의 전형적인 특징인 간략화와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어 조선후기 사찰건축의 양식적 특징 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는 점에서 지정 보존가치가 있다. 속초 신흥사 명부전 표지판 속초 신흥사 명부전 명부전의 건물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맞배지붕이며, 주심포양식인 목조건축물입니다. 속초 신흥사 명부전 속초 신흥사 명부전 좌측면 속초 신흥사 명부전 명부전 정면 2짝 우측문 명부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4호_신흥사 보제루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4호 _ 신흥사 보제루 (神興寺 普濟樓) 수 량 : 1동 지정일 : 1985.09.13 소재지 ; 강원도 속초시 설악산로 1137(설악동, 신흥사) 설악산 동쪽 기슭에 있는 신흥사에 있으며, 조선 영조 46년(1770)에 세워진 것으로, 장대석으로 2단 쌓은 기단 위에 정면 7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이 건물은 극락보전을 중심으로 운하당과 적묵당이 있는 마당을 둘러싸 사찰 중심 영역의 공간성을 확보해 준다. 건물의 하부는 기둥으로만 구성된 열려 있는 공간으로 극락보전으로 가는 통로가 된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규모가 커진 모습을 보여주는 보제루 내에는 법고와 목어, 대종, 경판이 보관되어 있고 몇몇의 현판과 중수기가 걸려 있다. 이 중에는 이 사찰이 왕실의 원찰..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5호_속초 신흥사 안양암 아미타회상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5호 _ 속초 신흥사 안양암 아미타회상도 (束草 新興寺 安養庵 阿彌陀會上圖) 수 량 : 1점 지정일 : 2011.08.12 소재지 :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170번지 신흥사 시 대 : 1874년 이 불화(佛畵) 화기(畵記) 통하여 조성연대(1874년)와 제작자를 알 수 있는 수준 높은 작품으로, 조선후기 강원도 지역 불교회화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지정 보존가치가 있다. 속초 신흥사 안양암 아미타회상도 표지판 속초 신흥사 안양암 아미타회상도 2021.05.30. 신흥사 유물전시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51호_속초 신흥사 칠성도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51호 _ 속초 신흥사 칠성도 (束草 新興寺 七星圖) 수 량 : 1폭 지정일 : 2011.08.12 소재지 : 강원도 속초시 설악산로 1137 (설악동, 신흥사) 시 대 : 1901년 이 칠성도는 보존상태가 양호할 뿐 아니라 화기(畵記)를 통해서 조성연대(1901년), 제작자, 신흥사 봉안 경위 등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등 강원도 지역에서는 희소성 있는 칠성도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속초 신흥사 칠성도 표지판 속초 신흥사 칠성도 (束草 新興寺 七星圖) 칠성도는 북극성을 상징하는 치성광여래를 주불로 일광, 월광보살과 주변에 북두칠성인 일곱 분의 여래가 구성된 불화이다. 칠성신앙은 북두칠성과 황도 28수 등 밤하늘의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한 우리나라 고유의 성수신앙이 불교와 합쳐진 것..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3호_속초 보광사 현왕도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3호 _ 속초 보광사 현왕도 (束草 普光寺 現王圖) 수 량 : 1점 지정일 : 2018.10.26 소재지 : 강원도 속초시 영랑호반길 69-2(동명동) 시 대 : 1863년 보광사 현왕도는 비단바탕에 진채색으로 현왕을 중심으로 권속이 좌우대칭의 원형으로 화면을 구성하였다. 현왕도는 사람이 죽은 뒤 3일 만에 죄를 심판하는 현왕과 그 권속을 그린 불화이다. 현왕의 좌우로는 천녀와 동자가 있다. 화면 중간부분에는 대륜성왕과 전륜성왕을 배치하였고, 그 아래 판관과 녹사를 배치하였다. 적색과 녹색, 청색, 백색 안료를 사용하여 채색하였다. 현왕도는 전체적으로 얇은 먹선으로 매우 세밀하게 그려졌으며 중간색을 거의 사용하지 않아서 절제된 모습이 엿보인다. 보광사 현왕도에는 불화의 연기를 확인..

보물 제1749호_속초 신흥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보물 제1749호 _ 속초 신흥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束草 新興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수 량 : 3구 지정일 : 2012.02.22 소재지 : 강원도 속초시 설악산로 1137-0(설악동, 신흥사) 시 대 : 1651년(효종 2) 속초 신흥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은 복장에서 발견된 축원문을 통해 1651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시기와 제작자 그리고 제작에 참여한 제작 주체를 분명히 하고 있어 17세기 중엽 경 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이 되는 자료이다. 특히 불상제작에 있어 조성화원(造成畵員)과 화성화원(畵成畵員), 즉 불상의 제작과 개금·개체를 분리해서 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당시 불상의 제작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불상을 만든 무염은 대화사 현진, 청헌 등과 함께 17세기 전·중엽 경을 대표하..

문화재/보물 2021.06.04

보물 제1721호_속초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보물 제1721호 _ 속초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束草 新興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수 량 : 3구 지정일 : 2011.09.05 소재지 : 강우너도 속초시 설악동 170 신흥사 극락보전내 시 대 : 1651년 속초 신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복장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1651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시기와 제작자, 그리고 제작에 참여한 제작주체를 분명히 알고 있어 17세기 중엽경 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이 되는 자료이다. 이 불상을 조각한 무염은 대화사 현진과 함께 17세기 전·중엽 경을 대표하는 화사로 이 작품은 조각승 무염의 작품세계를 시기적으로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이 삼존불상은 안정적으로 자리 잡은 무릎, 당당한 어깨, 알맞은 허리 등 안정된 비례와 조화로운 형..

문화재/보물 2021.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