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광흥사 문화재 4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93호_안동 광흥사 응진전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93호 _ 안동 광흥사 응진전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 (安東 廣興寺 應眞殿 塑造釋迦如來五尊像 및 16羅漢像 一括) 수 량 : 42구 지정일 : 2016.04.28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 813 광흥사의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가여래 오존불과 16나한상 등 총 42구의 불상이다. 일반적인 사례에 비해 불전에 봉안된 상의 수가 많고 배치가 특이하다. 중앙 불단의 삼세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봉안되어 있고, 벽면의 불단에는 16나한상 및 나한상 사이사이에 16구의 동자상이 있다. 이 밖에도 인왕상 2구와 사자상 2구 제석천상 1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존상들은 제작시기가 임진왜란 이전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 16세기 불상의 특징을 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5호_안동 광흥사 응진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5호 _ 안동 광흥사 응진전 (安東 廣興寺 應眞殿) 수 량 : 1동 지정일 : 2012.10.22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광흥사길 105 (서후면) 광흥사는 의상대사가 세웠다고 전하는 절로 안동에서 가장 큰 절 가운데 하나였으나,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이 거의 없어 부속 건물이었던 응진전을 중심 법당으로 쓰고 있다.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건물 안쪽에는 석가모니불을 모시고 있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 표지판 안동 광흥사 응진전 표지석 안동 광흥사 응진전 학가산(鶴駕山) 남쪽 기슭에 위치한 광흥사는 신라시대 때 의상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94호_안동 광흥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94호 _ 안동 광흥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安東 廣興寺 冥府殿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수 량 : 21구 지정일 : 2016.04.28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 813 소유자(소유단체) : 광흥사 안동 광흥사의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등은 총 21구의 불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의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삼존을 이루고, 좌우로 시왕, 판관, 사자, 귀왕, 인왕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불상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에 의하면, 수조각승 단응(端應)을 비롯한 15명의 조각승들에 의해 1692년(강희 31)에 완성된 것으로 확인되며 동자상을 제외한 완결된 구성을 보여 준다. 기록이 남아 있을 뿐만..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34호_안동 광흥사 아미타극락회상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34호 _ 안동 광흥사 아미타극락회상도 (安東 廣興寺 阿媚他極樂會上圖) 수 량 : 1폭 지정일 : 2015.12.28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광흥사길 105 광흥사의 아미타극락회상도는 비단 6폭을 엮어 마련한 바탕화면에 채색을 베푼 불화이다. 아미타삼존과 일부 권속이 배치된 간략한 도상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중대형의 규모로 전각의 상단탱으로 조성되었다. 화면 하단 양쪽에 주색 바탕에 먹선으로 화기(畵記)란을 마련하고 그 안에 묵서(墨書)로 기술하였다. 화기에 의하면, 1886년(光緖12)에 수화승 하은당 응상(應祥)을 비롯하여 7인이 관여하여 제작한 불화임을 알 수 있다. 이 불화는 명확한 제작시기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19세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원형 내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