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사 문화재 10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4호_전등사 약사전 후불탱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4호 _ 전등사 약사전 후불탱 (傳燈寺 藥師殿 後佛幀) 수 량 : 1폭 지정일 : 2002.12.23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길상면, 전등사) 시 대 : 조선 고종 21년(1884) 전등사 약사전(보물 제179호)에 보존되어 있는 후불탱인데,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지는 불화를 말한다. 조선 고종 21년(1884)에 제작된 그림으로 정사각에 가까운 화폭 중앙에 약사여래좌상과 좌우협시인 일광·월광보살을 배치하고 상하 좌우에는 사천왕을, 약사불 뒤에는 가섭과 아난을 그린 병렬식 구도를 보이고 있으며, 색채는 18세기 후반의 색 배합을 계승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전통적인 도상을 계승하고 안정된 화면 구성, 꼼꼼한 필력을 갖..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1호_전등사 대웅보전 후불탱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1호 _ 전등사 대웅보전 후불탱 (傳燈寺 大雄寶殿 後佛幀) 수 량 : 1폭 지정일 : 2002.12.23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온수리) 시 대 : 1916년 전등사 대웅보전 목조삼존불좌상의 후불탱으로,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지는 불화를 말한다. 1916년에 제작된 그림으로 한 폭에 석가와 약사, 아미타를 그린 일폭삼세불화(一幅三世佛畵)이다. 전체적으로 황토색과 진한 녹색, 밝은 벽돌색의 색 배합을 보이고 있으며, 얼굴이나 의습에는 20세기 초기에 경기도 일대에서 유행했던 서양화식 음영법이 가해진 그림이다 전등사 대웅보전 후불탱 고산(古山) 축연(竺演) 스님이 그린 전등사 대웅보전 후불탱 강화 전등사 대웅보전 글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8호_전등사 대웅보전 수미단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8호 _ 전등사 대웅보전 수미단 (傳燈寺 大雄寶殿 須彌壇) 수량/면적 : 1식 지정일 : 2002.12.23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길상면, 전등사) 시 대 : 17세기 추정 수미단은 불상을 안치한 일종의 대좌와 같은 형식으로 대웅전 내의 천개와 더불어 장엄한 불교세계를 아름답게 묘사한 것이다. 전등사 수미단은 가로 480㎝, 세로 118㎝, 폭 200㎝로 1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맨 하단 받침부 몰딩 사이에 불법(佛法) 수호신격인 도깨비와 같은 문양이 익살스럽게 조각되어 있고, 중간부분 장판에는 꽃·나무·새·당초문·보상화문·상상의 동물 등이 화려하게 투각되어 있는 등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전등사 대웅보전 수미단 표지판 전등사 대웅보전 수미..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3호_전등사 약사전 현왕탱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3호 _ 전등사 약사전 현왕탱 (傳燈寺 藥師殿 現王幀) 수 량 : 1폭 지정일 : 2002.12.23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길상면, 전등사) 시 대 : 조선 고종 21년(1884) 전등사 약사전(보물 제179호)에 보존되어 있는 현왕탱인데, 이 그림은 사람이 죽은지 3일 만에 심판하는 현왕과 그 권속을 도상화한 것이다. 조선 고종 21년(1884)에 제작된 그림으로 화면은 원형구도로서 생동감을 주고 있으며 비록 색 배합은 뛰어나지 않지만 꼼꼼한 필력이 구사된 점, 현왕도의 도상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점 등 19세기 불화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전등사 약사전 현왕탱 표지판 강화 전등사 약사전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7호_전등사 업경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7호 _ 전등사 업경대 (傳燈寺 業鏡臺), 복제품 수 량 : 1쌍 지정일 : 2002.12.23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길상면, 전등사) 시 대 : 조선 인조 5년(1627) 업경대는 망자의 죄업을 드러내 보인다고 하는 거울로 업경륜이라고도 한다. 전등사 업경대는 황색사자와 청색사자 1쌍으로 목각 사자의 몸체와 등 위에 커다란 화염문 거울이 꽂혀있다. 규모는 높이 107cm, 길이 65cm이다. 좌대 바닥에 ‘천계칠년정묘구월 십삼일 각록목화원밀영 천기 봉생(天啓七年丁卯九月 十三日 刻祿木畵員密英 天琦 奉生)’이라는 묵서 명문이 남아 있어 조선 인조 5년(1627)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등사 업경대는 조선 후기 불교 목공예품의 편년 설정·상호비교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7호_전등사 약사전 석불좌상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7호 _ 전등사 약사전 석불좌상 (傳燈寺 藥師殿 石佛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04.04.06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길상면, 전등사) 시 대 : 고려말∼조선초 이 석불좌상은 고려 말 조선 초에 제작된 것으로 신체비례로 보아 갸름한 체구에 단아한 얼굴형을 하고 있어 고려 불상 양식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전방을 향한 얼굴에 눈을 약간 아래로 내려 뜬 단아한 얼굴과 목은 정확한 삼도가 있어 길어 보이고, 벌어진 어깨선은 자연스러워 보이며 두 손을 앞으로 모아 선정인을 하였다. 그리고 약합을 들고 있어 전형적인 약사여래임을 알 수 있다. 통견의 두꺼운 가사는 길상좌를 취한 무릎 아래까지 자연스럽게 내려졌으며 옷 주름은 훤칠한 자세에 비해 약간은 형..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_전등사 대조루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7호 _ 전등사 대조루 (傳燈寺 對潮樓) 수량/면적 : 1동 (159.7㎡) 지정일 : 1995.03.02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온수리) 전등사는 아도화상이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81)에 세운 절로 정족산성 안에 자리잡고 있다. 대웅보전 앞 마당 바로 밑에 세운 대조루는 기둥을 세워 지면과 사이를 두고 지은 누각이다. 지은 시기를 알 수 없으나 1748년(영조 24) 주지 초윤(楚允)과 화주인 보학(寶學) 등이 고쳐지었다고 하며, 1841년(헌종 7)에는 화주 연홍 등이 중건했다고 『전등사본말사지』에 명기되어 있다. 그 뒤 크고 작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보물 제1786호_강화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일괄

보물 제1786호 _ 강화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江華 傳燈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수 량 : 31구 지정일 : 2012.12.27 소재지 : 인천 강화군, 전등사 시 대 : 조선시대 강화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은 조성원문을 통하여 숭정(崇禎) 9년(1636)이라는 뚜렷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이 조각승 수연(守衍)에 의해 조성된 지 13년이 지난 뒤에 역시 수연이 수화승이 되어 제작한 상들이다. 지장보살상과 그 좌우에 무독귀왕, 도명존자, 시왕(十王)와 귀왕, 판관, 사자상, 동자상, 인왕상 등 명부전의 권속이 많다보니 조각승도 12명이나 참여하여 수연의 지휘 아래 제작을 맡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상들의 조성을 ..

문화재/보물 2019.04.04

보물 제1785호_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보물 제1785호 _ 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江華 傳燈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수 량 : 불상 3구 지정일 : 2012.12.27 소재지 : 인천 강화군, 전등사 시 대 : 조선시대 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17세기 전반에 전북, 충남 등지에서 활동하던 수연(守衍)이 수화승으로 참여하여 1623년에 조성한 불상으로 수연이 수화승(首畵僧)으로 조성한 작품들 가운데 지금까지 알려진 두 번째 불상이다. 삼불의 구성은 석가불을 본존으로 아미타불과 약사불이 좌우에 협시하는 형식으로서 조선 후기에 전국적으로 유행했던 삼세불의 도상을 보이고 있다. 불상들의 세부를 보면, 본존 석가불상은 단엄한 자세에 자비한 상호(相好)를 보이며, 좌우의 아미타불상과 약사 불상은 이목구비의 표현이나 비례 면에서 본..

문화재/보물 2019.04.04

보물 제179호_강화 전등사 약사전

보물 제179호 _ 강화 전등사 약사전 (江華 傳燈寺 藥師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전등사 (온수리) 시 대 : 조선시대 전등사는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81) 아도화상이 세웠다고 전하지만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조선 선조 38년(1605)과 광해군 6년(1614)에 큰 불이 일어나 절이 모두 타버려, 그 이듬해 다시 짓기 시작하여 광해군 13년(1621)에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고 한다. 대웅보전 서쪽에 있는 아담한 약사전은 중생의 병을 고쳐준다는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는 법당이다.『대웅전약사전개와중수기(大雄殿藥師殿改瓦重修記)』에 조선 고종 13년(1876) 대웅보전과 함께 기와를 바꾸었다는 기록이 보일 ..

문화재/보물 2019.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