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관광 47

성읍마을 동문 앞 돌하르방,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22~25호_돌하르방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22호 _ 돌하르방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08.26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표선면 성읍리 동문 : 북우 도내에 있는 돌하르방은 장승의 일종으로서, ‘우석목’, ‘무석목’ 등으로 불려지다가 1970년대부터 제주어로 ‘돌하르방’이라 불려지기 시작하였다. 제주목(濟州牧)·정의현(旌義縣)·대정현(大靜縣)의 성문(城門) 입구에 세워졌던 것이나, 현재는 제주대학·시청·삼성혈·관덕정 등에 산재하여 있으며 제주시내에 21기, 성읍(城邑)에 12기, 대정의 인성·안성·보성에 12기 등 도합 45기가 있다. 석상의 형태는 대체로 벙거지형 모자, 부리부리한 왕방울눈, 큼지막한 주먹코, 꼭 다문 입과 두손은 배 위에 아래로 위엄 있게 얹은 모습을 하고 있다. 돌하르방의 크기는 평균..

카테고리 없음 2021.12.10

국가민속문화재 제70호_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70호 _ 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 (濟州 城邑마을 高昌煥 古宅) 수량/면적 : 2필지/787㎡ 지정일 : 1979.01.26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서문로 4-7 (성읍리) 시 대 : 19세기초 예전 정의(성읍) 고을에서 여인숙으로 사용하였던 곳이다. 19세기초에 세운 것으로 보이며 정의향교와 이웃해 있다. 안채(안거리)와 헛간채를 둔 단촐한 구성의 집으로 지금도 주민들 사이에서는 '여관집'으로 불린다. 문을 들어서면 왼쪽 곁으로 헛간채, 그 앞 마당을 가로질러 안채가 있다. 안채 뒤편에는 넓은 텃밭과 수목들이 우거져 집 주변과 안의 경치를 조화롭게 꾸미고 있다. 안채는 한라산 산남지역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3칸 집이다. 앞에서 볼 때 왼쪽부터 부엌, 대청, 안방으로 ..

대정읍 돌하르방 12기,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34~45호_돌하르방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34호 _ 돌하르방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08.26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 신편간 도로변 우석목·무석목·벅수머리 등으로 불리우는 이 석상은 제주목·정의현· 대정현의 성문 입구에 세워졌던 것이나, 현재는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대학·제주시청·제주국제공항· 삼성혈·관덕정 등에 산재하여 있으며 제주시내에 21기, 성읍에 12기, 대정의 인성·안성·보성에 12기 도합 45기가 있다. 석상의 형태는 대체로 벙거지형 모자, 부리부리한 왕방울 눈, 큼지막한 주먹코, 꼭다문 입술 두손은 배위 아래로 위엄있게 얹은 모습을 하고 있다. 돌하르방의 크기는 평균 신장이 제주 187Cm, 성읍 141Cm, 대정 134Cm 이며 제작 연대는 영조 30년(1754) ..

평화와 치유의 섬 '제주 불교의 중심', 제주 관음사

제주 관음사에 있는 지정문화재 1.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6호 _ 관음사 목조관음보살좌상 2.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51호 _ 관음사의 왕벚나무자생지 관음사 대웅전 관음사(觀音寺) 대한불교조계종 제23교구의 본사이다. 창건자 및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숙종 때 제주목사였던 이형상(李衡祥)이 제주에 잡신이 많다 하여 많은 사당과 함께 사찰 500동을 폐사시켰을 때 폐허가 되었다. 현재의 관음사는 1909년 봄 비구니 봉려관(蓬廬觀)이 창건한 것이다. 봉려관은 제주도 사람으로 1901년 비양도(飛揚島)로 가는 길에 우연히 풍랑을 만나 사경에 이르렀을 때 관음보살의 신력으로 살아나게 되자, 1907년 비구니가 되었다. 1908년 제주도로 돌아와 4월 경찬재(慶讚齋)를 열었다. 이후 주민들이 반대하여..

문화재/사찰 2021.12.02

최남단 섬 마라도, 천연기념물 제423호_마라도 천연보호구역

천연기념물 제423호 _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馬羅島 天然保護區域) 면 적 : 5,745,202㎡ 지정일 : 2000.07.18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580 등 마라도는 우리나라의 가장 남쪽에 있는 섬으로 동서가 짧고 남북이 긴 타원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 마라도는 바다 속에서 독립적으로 화산이 분화하여 이루어진 섬으로 생각되나 분화구는 볼 수 없다.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섬의 돌출부를 제외한 전 해안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서해안과 동해안 및 남해안은 높이 20m의 절벽으로 되어 있고 파도 침식에 의하여 생긴 동굴이 많이 발견된다. 육상식물은 모두 파괴되어 경작지나 초지로 변했으며, 섬의 중앙부에 해송이 심어진 숲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해산식물은 매우 풍부하..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18호_돌하르방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18호 _ 돌하르방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08.26 소재지 : 연동 KBS 현관 * 특이 사항 -kbs 정문 (남) : 왼손을 가슴위에 올려놓고 있다. -kbs 정문 (북) : 왼손을 가슴위에 올려놓고 있다. 기단은 원래 없었으나 후에 만들어 세웠다. 돌하르방 표지판 돌하르방 표지석 좌측) 제2-17호- 돌하르방, 우측) 제2-18호_돌하르방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18호 _ 돌하르방 돌하르방은 현재 관덕정, 삼성혈, 제주시청, 제주대학교 박물관, 제주 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 KBS 등 제주시내에 21기, 서귀포시 표선읍 성읍리에 12기, 서귀포시 대정읍 인성리, 안성리, 보성리에 12기 등 모두 45기가 남아 있다. 돌하르방 돌하르방 돌하르방 2021..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17호_돌하르방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17호 _ 돌하르방 수 량 : 1기 지정일 : 1971.08.26 소재지 : 연동 KBS 제주 방송구 입구 * 특이사항 - KBS 정문 (남) : 왼손을 가슴위에 올려놓고 있다. - KBS 정문 (여) : 왼손을 가슴위에 올려놓고 있다. 기단은 원래 없었으나 후에 만들어 세웠다. 돌하르방 표지판 돌하르방 표지석 좌측) 제2-17호- 돌하르방, 우측) 제2-18호_돌하르방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17호 _ 돌하르방 돌하르방은 현재 관덕정, 삼성혈, 제주시청, 제주대학교 박물관, 제주 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 KBS 등 제주시내에 21기, 서귀포시 표선읍 성읍리에 12기, 서귀포시 대정읍 인성리, 안성리, 보성리에 12기 등 모두 45기가 남아 있다. 돌하르방 돌하르방 돌..

가장 편하게 걷고 쉬기 좋은 아름다운 오조리 염습지 및 식산봉,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47호_식산봉의 황근자생지 및 상록활엽수림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47호 _ 식산봉의 황근자생지및 상록활엽수림 수량/면적 : 13필지43,728㎡ 지정일 : 1995.08.26 소 재 지 :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313번지 외 12필지 남제주군 성산읍 오조리에 위치한 식산봉은 화산의 분출에 의해 형성된 비교적 작은 규모의 오름(분화구)으로 해발 66m이다. 면적은 약 80.000㎡이고, 긴지름이 약 813m, 짧은 지름이 230m이다. 식산봉은 과거 제주도 동부 저지대의 원식생이 자생하고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이곳에서 조사된 식물은 50과 91속 108종류로 이것 중 중요한 종은 칠면박나무·참식나무·까마귀쪽나무·돈나무·송악·자금우·광나무·마삭줄 등 11종이다. 참식나무가 주종을 이루는 현재의 식생은 식산봉의 기후적 요인으로 인해 동백나무..

기념물/제주도 2021.11.26

제주 3대폭포(정방, 천지연, 천제연폭포)

정방폭포 정방폭포 정방폭포 ▼천지연폭포입니다. 천지연폭포 천지연폭포 천지연폭포 ▼천제연폭포입니다. 천제연 제1폭포 천제연 제1폭포 ▼ 천제연 제2폭포입니다. 천제연 제2폭포 상단 천제연 제2폭포 천제연 제2폭포 ▼천제연 제3폭포입니다. 천제연 제3폭포 천제연 제3폭포 2021.09.24. 제주 서귀포시 정방, 천지연, 천제연폭포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사적 제416호_제주 삼양동 유적

사적 제516호 _ 제주 삼양동 유적 (濟州 三陽洞 遺蹟) 면 적 : 18,363㎡ 지정일 : 1999.11.16 소재지 : 제주 제주시 선사로2길 13, 외 (삼양일동) 제주 삼양동 유적은 제주시 삼양동 일대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진행되던 당시에 발견된 선사시대 유적이다. 1997년 4월부터 1999년 7월에 걸쳐 제주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동기-초기철기시대를 전후한 시기의 집터 200여 곳을 비롯하여 돌을 쌓아 만든 담장, 쓰레기를 버리던 폐기장, 마을의 외곽을 두르고 있던 도랑 자리가 있는 큰 규모의 마을 유적이 확인되었다. 집터 내부에서는 토기류(구멍띠토기, 덧띠무늬토기[점토대토기]), 적갈색항아리 등)와 석기류(돌도끼, 대패, 갈돌, 숯돌 등), 철기류(철제도끼, 손칼), 청동..

문화재/사적 2021.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