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시왕도 9

한산사 지장시왕도

_ 조선 1724년, 삼베에 채색, 여수 한산사(화엄사 성보박물관) 여수 한산사는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좌우로 시립하고 있으며 그 주위로는 시왕과 판관 등이 등이 둘러싸고 있다. 지장보살과 좌우 협시인 도명존자, 무귀도왕을 지장삼존 형태 구도로 조성하였는데, 권속이 본존을 향해 사선으로 배치되어 있어 화면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지장보살에게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2024.04.27, 불교중앙박물관 수교회향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곡성 관음사 지장시왕도

곡성 관음사 지장시왕도(谷城 觀音寺 地藏十王圖) _ 조선 1873년 조성, 도난일 미상 관음사 지장시왕도는 화기를 통해 동치(同治) 12년(1873) 풍곡 덕인(豊谷 德麟), 월허 준언(月虛 浚彦)이 조성하여 대은암 응진전 중단에 봉안하였음이 확인된다. 덕인과 준언은 동시대에 구례 화엄사 각황전 삼세불도(약사불), 화엄사 명부전 지장도, 김제 금산사 명부전 지장도 조성에 함께했다. 이 불화는 화면 하단에서부터 높게 솟아오른 연꽃대좌의 표현이 특징적이다. 연꽃대좌에 밝은 색감의 청색 안료를 과감하게 사용하고 있다. 적색을 기본으로 하면서 녹색보다는 청색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19세기 불화의 채색안료 연구에 자료가 된다. 곡성 관음사 지장시왕도(谷城 觀音寺 地藏十王圖) 2022.05.22, 불교중앙박물..

영천 은해사 운무암 지장시왕도

영천 은해사 운부암 지장시왕도(永川 銀海寺 地藏十王圖) _ 조선 1747년 조성, 도난일 미상 중앙의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도명존자, 무독귀왕, 시왕과 여섯 보살, 판관, 사자, 옥졸 등 다양한 지옥의 존상들이 함께 그려진 지장시왕도이다.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와 존상의 구성이 유사하나 상단의 여섯 보살이 화면 좌우측으로 이동되어 작게 그려졌다. 전반적으로 팔공산 화파의 화픙이 보이는 18세기 중엽의 지장시왕도이다. 유출된 이후 불화를 자르고 액자로 변형하는 과정에서 화기 아랫부분이 절취되어 조성시기를 제외한 원 봉안처와 화승 등의 정보를 알 수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관련 연구서에 기록이 남아 있어 자환(自還)이 조성하여 은해사 운부암 원통전에 봉안한 불화임을 알 수 있다. 영천 은해사 운부암 지장시왕도..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醴泉 寒天寺 地藏十王圖) _ 조선 1748년 조성, 도난일 미상 중앙의 지장보살과 좌우 협시인 도명존자, 무독귀왕, 좌우로 10명의 시왕과 상단의 여섯 보살이 함께 그려진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이다. 상단의 여섯 보살과 중 · 하단의 지장보살 및 권속은 구름으로 구획을 나누어 존격을 표현하고 있다. 지장보살 상단으로는 늙은 비구로 추정되는 인물이 표현되었는데 다른 지장시왕도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도상이다. 지장시왕도 조성이 유행하기 시작하던 18세기 초반 도상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 불화의 장황은 원형이 몇 차례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족자 형태로 표구되었다. 화기가 일부 잘려나가고, 사찰명과 조성시기 등 일부 기록이 훼손되어 원 소장처를 알아 볼 수 없다. 하지만 사..

창원 성흥사 지장시왕도

창원 성흥사 지장시왕도(昌原 聖興寺 地藏十王圖) _ 조선 1746년 조성, 도난일 미상 성흥사 지장시왕도는 은해사 대웅전 삼장보살도와 통도사 팔상도(도솔내의상)를 조성한 수화승 상오(尙悟)를 중심으로 각혜(覺惠), 서도(瑞庩), 해청(海淸)이 함께 건륭(乾隆) 11년(1746)에 조성하여 성흥사 명부전에 봉안하였다. 화기의 하단이 조금 잘려나가 있어 도난 당시에 훼손된 것으로 보인다. 이 불화의 중앙에는 주존인 지장보살이 스님의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명부시왕이 있다. 지장보살은 오른손에 보주를 들고 왼손에는 육환장을 지물로 들고 있으며, 얼굴에 비해 눈코입을 작게 표현하였다. 주색과 녹색, 청색이 주를 이루고 있어 전형적인 18세기 불화의 색채를 보인다..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醴泉 寒天寺 地藏十王圖) _ 조선 1748년 조성, 도난일 미상 중앙의 지장보살과 좌우 협시인 도명존자, 무독귀왕, 좌우로 10명의 시왕과 상단의 여섯 보살이 함께 그려진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이다. 상단의 여섯 보살과 중 · 하단의 지장보살 및 권속은 구름으로 구획을 나누어 존격을 표현하고 있다. 지장보살 상단으로는 늙은 비구로 추정되는 인물이 표현되었는데 다른 지장시왕도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도상이다. 지장시왕도 조성이 유행하기 시작하던 18세기 초반 도상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 불화의 장황은 원형이 몇 차례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족자 형태로 표구되었다. 화기가 일부 잘려나가고, 사찰명과 조성시기 등 일부 기록이 훼손되어 원 소장처를 알아 볼 수 없다. 하지만 사..

양주 석천암 지장시왕도

양주 석천암 지장시왕도(楊州 石泉庵 地藏十王圖) _ 조선 1848년 조성, 도난일 미상 지장보살과 무독귀왕, 도명존자, 시왕과 그 권속들을 그린 지장시왕도이다. 사찰에서 유출된 이후 유럽으로 이동하여 서구식 액자로 장황이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화기를 통해 도광(道光) 28년(1848) 부처님오신날 양주 석천암(石泉庵)에 봉안하였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화승 법총(法聰)이 불화를 그렸으며 시주자 중에는 왕실 상궁들의 이름이 있어 당시 석천암과 왕실과의 연관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사찰에서 유출된 경위는 알 수 없으며 2015년 독일 경매를 통해 국내로 돌아왔다. 유럽은 미국과 달리 근대에 자국으로 유입된 문화재가 많기 때문에 불법적인 문화재 반출 경위를 명확하게 입증하지 못하면 현 소유자의 소유권을 ..

보물 제1994호_지장시왕도

보물 제1994호 _ 지장시왕도 (地藏十王圖) 수 량 : 1폭 지정일 : 2018.06.27 소재지 :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시 대 : 1580년(선조 13) 추정 ‘지장시왕도’는 화기(畵記)에 의해 1580년(선조 13)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화로 대시주자(大施主者) 한 명의 시주로 조성되었다. 주존(主尊)인 지장보살과 무독귀왕, 도명존자의 지장삼존을 중심으로 명계(冥界)를 다스리며 망자(亡者)의 생전의 죄업을 판단하는 열 명의 시왕, 판결과 형벌 집행을 보좌하는 권속을 한 화폭에 배치하였다. 화면은 다소 어두운 감이 있으나 색감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신체와 각종 의장물(儀仗物)의 묘사가 매우 세밀하면서도 뛰어난 묘사력을 갖추었다. 현존하는 조선 16세기 불화는 ..

문화재/보물 2020.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