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 기념물 12

충청북도 기념물 제67호_충주 임경업 묘소

충청북도 기념물 제67호 _ 충주 임경업 묘소 (忠州 林慶業 墓所) 수량/면적 : 1곽 지정일 : 1984.12.31 소재지 : 충북 충주시 풍동 산45-1번지 소유자(소유단체) : 평택임씨종중 병자호란 때의 명장 임경업(1594∼1646) 장군의 묘소이다. 광해군 10년(1618) 무과에 급제한 후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데 참여하여 큰 공을 세웠다. 병자호란 때에는 의주부윤으로 있으면서 백마산성에서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등 나라를 지키는 일에 주력하였다. 청을 반대하던 장군은 병자호란이 끝난 뒤 반대파에 의한 모함으로 희생되었다. 숙종 23년(1697) 다시 좌찬성의 관직이 내려지고 충렬사에서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묘는 부인 전주 이씨와의 합장묘로 큰 편이며 봉분 아랫부분에는 화강..

충청북도 기념물 제129호_충주 팔봉서원

충청북도 기념물 제129호 _ 충주 팔봉서원 (忠州 八峰書院)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2003.06.13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팔봉안길 11-6 (대소원면) 시 대 : 조선 선조 15년(1582) 창건 충주 팔봉서원은 조선시대 명현(名賢)인 이자·이연경·김세필·노수신 등 4현을 모신 서원으로 후생교육을 담당하던 곳이었다. 팔봉서원은 조선 선조 15년(1582)에 건립되었고, 현종 13년(1672)에 나라에서 ‘팔봉서원(八峰書院)’이라는 현판을 내려 사액서원이 되었다. 고종 8년(1871) 전국적으로 내려진 서원 철폐령에 의해 폐원되었다가 터만 남아 있던 것을 1998년 전통양식으로 복원하였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충청북도 기념물 제126호_충주 조동리 유적, 조동리선사유적박물관

충청북도 기념물 제126호 _ 충주 조동리 유적 (忠州 早洞里 遺蹟) 수량/면적 : 일원(8,811㎡) 지정일 : 2002.10.25 소재지 : 충북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1368-2번지 충주 조동리유적은 1990년 9월 이 지역에 내린 집중 호우로 유적의 퇴적 층위가 깎이어 나가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유물이 지표에 노출·수습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1996년 조동제축조공사시 구제발굴을 실시하여 신석기∼청동기문화층이 잘 발달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1997년도에는 청동기시대 집터·불땐자리·움 등 생활유구가 조사되었으며, 2000년도에도 조사되었다. 신석기시대 문화층과 청동기시대 문화층이 잘 보존되어 있는 유적으로 신석기시대 문화층에서는 빗살무늬토기가 다량 출토되었으며 지금까지 충북지방에서 확인된 가장 오..

카테고리 없음 2023.02.15

충청북도 기념물 제81호_충주 문주리 요지

충청북도 기념물 제81호 _ 충주 문주리 요지 (忠州 文周里 窯址) 수량/면적 : 1원 지정일 : 1988.09.30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문주리 50-1 시 대 : 조선시대 요지는 자기나 기와, 그릇들을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문주리 가마는 조선시대의 기와가마로 남북 12m, 폭 1.8m의 작은 굴가마이다. 1582년 설립된 팔봉서원에 소속된 기와가마로서 서원의 건립과 낡거나 부서진 곳을 고치기 위하여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서는 조선시대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파도무늬가 찍히고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기와가 출토되었다. 이는 수화(水火)사상에서 연유한 것으로 나무로 만들어진 건물은 불에 약하므로 파도무늬를 찍어 불기운을 물기운으로 누른다는 생각에서 였던 것으로 보인다. 충주 ..

충청북도 기념물 제149호_이시진 묘소, 이시진 효자각

충청북도 기념물 제149호 _ 충주 이시진 묘소 (忠州 李時振 墓所) 수량/면적 : 1원(묘역 3,200㎡) 지정일 : 2010.12.10 소 재 지 : 충주시 동량면 대전리 산17-1 이시진(1578∼1633)은 조선시대 「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 기록된 효자로서 국가로부터 정려를 받은 인물이다. 이시진 묘소(李時振 墓所)는 17세기 전반부터 20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전주이씨 임영대군 효자공파 6세손인 이시진 묘부터 13세손인 이명규 묘까지 조성되어 있다. 墓域은 구릉의 능선을 따라 李時振 墓, 李晩栽(이시진의 장자) 墓, 李世彦(이만재의 장자) 墓, 李億齡(이세언의 장자) 墓, 李顯昌(이억령의 장자) 墓, 5대에 걸친 직계 장손들의 묘소가 차례로 조성되어 있다. 李鶴齡(이세언의 차자) 墓, 李濟弘 墓,..

충청북도 기념물 제153호_충주 양능길 · 양여공 묘소

충청북도 기념물 제153호 _ 충주 양능길·양여공 묘소 (忠州 梁能吉·梁汝恭 墓所), 양능길 묘소 수량/면적 : 1곽 지정일 : 2012.01.06 소재지 : 충주시 엄정면 신만리 산58 시 대 :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양능길은 고려 개국공신으로 충주양씨 문중에서 시조로 삼고 있고, 묘소는 형태가 팔각형의 죽절형(竹節形) 모서리 기둥을 새긴 호석(護石)을 두른 특이한 양식이다. 일부 풍화되고 결실된 부분을 보수한 흔적이 있으나, 고려시대 분묘 유적으로 그 유례가 희귀하다. 양능길의 15대손 양여공(梁汝恭)은 조선시대 초기의 인물로 급제 후 예조정랑까지 오른 효자로 이름난 인물이다. 양능길과 양여공은 충주지역의 인물사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묘소가 원위치에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어 하나로 묶어 보호할 필요..

충청북도 기념물 제141호_충주 우천석 · 우팽 묘소

충청북도 기념물 제140호 _ 충주 우천석·우팽 묘소 (忠州 禹天錫·禹伻 墓所) 수 량 : 2기 지정일 : 2007.03.09 소재지 : 산척면 송강리 산105-1 조선시대 조성된 묘소로 정확한 조성연대는 미상이나 우천석이 1280년(충렬왕 6) 문하시중에 올랐으며, 충주에 장지(장지)를 정한 이래 후손들의 세거지(세거지)가 되었다. 묘표는 1919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우팽은 우천석의 차자로 우천석 묘소 뒤편에 있는데 조성시기는 조선시대이며 묘표와 문관석은 조성 당시의 것이고 묘비는 1980년에 세웠다. 우천석 묘소는 약160㎡정도의 방형분으로 4~5단 쌓아 호석을 두르고 있으며호석의 높이는 90㎝이다. 방형의 전면은 263㎝, 측면은 550㎝이고 상석과 문인석이 있으며 좌측으로는 구묘표가 있으..

충무공 이수일 묘소

충청북도 기념물 제21호 _ 충주 이수일 묘소 (忠州 李守一 墓所) 수량/면적 : 1원 지정일 : 1978.02.22 소 재 지 : 충북 충주시 금가면 오석리 202-1번지 조선 중기의 무신인 은암(隱庵) 이수일(1554∼1632) 장군의 묘소이다. 선조 16년(1583) 무과에 급제한 후 훈련원의 벼슬을 거쳐 선전관이 되었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장기현감으로 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웠다. 그후 밀양목사와 경상좌도 수군절도사를 맡았으며, 정유재란 때에는 성주목사로서 왜적을 격퇴하였다. 인조 2년(1624)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에는 평안도 병마절도사 겸 부원수가 되어 반란군을 대파하였다.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오석리에 위치한 그의 묘는 부인 전주 이씨와 합장한 것으로 화강암으로 봉분의 아래부분..

신라의 명필 김생이 창건한 사찰터, 충주 김생사지

충청북도 기념물 제114호 _ 충주 김생사지 (忠州 金生寺址) 수량/면적 : 1곽 지정일 : 2000.12.22 소재지 : 충북 충주시 금가면 김생로 325 (유송리) 김생사지는 신라의 명필인 김생(711∼791)이 만년에 창건한 사찰터이다. 김생은 성덕왕 10년(711)에 가난하고 미천한 가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글씨에 능하였고 원성왕 7년(791) 80세까지 붓잡기를 쉬지 않았다. 이 사지는 주변에 장대석이 많고 석탑재와 기와조각, 도자기조각이 산재해 있어 이곳을 ‘와당밭’이라고 일컫을 정도로 와전류(瓦塼類)가 많이 출토되었다. 김생사지는 『수산집』의 김생사중수기(金生寺重修記)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을 통하여 북진애(北津崖)-예성(蘂城)의 북쪽나루- 즉 현 위치의 김생사에서 두타행(頭陀行)을 ..

충청북도 기념물 제137호_충주 견학리 토성

충청북도 기념물 제137호 _ 충주 견학리 토성 (忠州 見鶴里 土城) 수량/면적 : 1기 지정일 : 2006.01.06 소재지 : 충주시 신니면 견학리 441 시 대 : 철기시대-통일신라 구릉 선단부에 축조한 규모가 작은 토성으로 서쪽성벽은 유실되었으나 나머지 부분은 온전하다. 전체 둘레는 200미터가 약간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성벽의 높이는 대략 5미터 정도로 보인다. 발굴조사시 출토된 유물로는 목부분에 물결무늬가 시문된 것과 편병,어골문 기와 등이며 출토유물 대부분은 9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것으로 통일신라 하대 호족과 관련있는 유적으로 보이며 2차레에 걸치 판축 혹은 수축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충주 견학리 토성 표지판 충주 견학리 토성 충주 견학리 토성 충주 견학리 토성 충주 견학리 토성 충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