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 문화재자료 11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6호_충주 한남군 사당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6호 _ 한남군 사당 (忠州 漢南君 祠堂) 수 량 : 1동 지정일 : 2020.10.08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용관동 258-4 시 대 : 일제강점기(1933) 한남군 사당은 단종 복위운동을 펼친 여섯명의 종친(六宗英, 안평대군 이용 · 금성대군 이유 · 화의군 이영 · 한남군 이어 · 영풍군 이천 · 하령군 이양) 가운데 한남군 이어를 기리는 건물이다. 사당에는 한남군의 어머니 혜빈양씨, 한남군과 군부인 안동권씨의 위패가 모셔져 있고 주변에 있는 충주 박팽년 사당(도 기념물 제27호)과 더불어 단종 복위운동이라는 동일한 역사적 사건으로 연결된 충절의 문화재이다 世宗王子漢南君祠堂史錄(세종왕자한남군사당사록) 표지판 한남군 사당 전경 한남군 사당은 단종 복위운동을 펼친 여섯명의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48호_충주 문주리 석조여래좌상, 오층석탑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48호 _ 충주 문주리 석조여래좌상 (忠州 文周里 石造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05.05.06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문주리 487-2 머리는 나발이며 육계는 표현되지 않았다. 얼굴에 비해 코는 크고 입은 작으며 눈은 반개한 모습이다. 양귀는 짧고 어깨는 다소 약간 위로 치켜진 모습이며 삼도가 표현되었다. 법의는 우견편단이며 수인은 항마인을 결하고 있다. 대좌는 8각의 하대석과 중대석만 남아 있으며 불상 근처에 광배가 놓여 있다. 충주 문주리 석조여래좌상 표지판 이 도로에서 우측으로 20m가면 문주리 석조여래좌상을 볼 수 있습니다. 문주리 오층석탑과 석조여래좌상 보호각 문주리 오층석탑과 석조여래좌상 보호각 좌 · 우측면 문주리 오층석탑과 석조여래좌상 보호..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3호_충주 강천리 석조여래입상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3호 _ 충주 강천리 석조여래입상 (忠州 江泉里 石造如來立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06.03.03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강천리 산 2-1 시 대 : 고려후기- 조선초기 전체적으로 팔과 손은 몸체에 비하여 작게 표현되고 옷주름의소략화된 표현 등이 보이나 풍만한 상호와 눈두덩을 도독하게 표현하였다. 어깨가 약간 왜소해졌으나 당당함이 남아있고 비교적 단아한 모습이며 手印과 衣紋의 표현이 단정하고 깔끔하게 조각된 불상이다 충주 강천리 석조여래입상 표지판 이 도로에서 200m 직진해서 가면 강천리 석조여래입상 볼 수 있습니다. 파란색 지붕 건물이 서음경로당 입니다. 경로당 뒤쪽에 강천리 석조여래입상이 위치해 있습니다. 충주 강천리 석조여래입상 전경 충주 강천리 석조여..

정종의 9번째 아들 석보군 묘소,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4호_충주 석보군 묘소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4호 _ 충주 석보군 묘소 (忠州 石保君 墓所) 수량/면적 : 1곽 지정일 : 2011.03.04 소 재 지 : 충청북도 충주시 다래월2길 20 (소태면) 石保君(李福生) 墓는 1447(세종 29)년 경기도 양주군 미아리에 조성하였으나 시가지 확장으로 인하여 1958년 2월25일 충주시 소태면 양촌리 산46번지로 이장하였다. 1872년에 제작된 長明燈과 墓表를 함께 이전하였다. 묘역 입구에 神道碑가 있으며 石碑(2점), 望柱石, 魂遊石, 床石, 香爐石, 長明燈(2점), 童子石, 文人石, 羊石 등을 갖추고 있다. 墓表 음기에 “崇禎後五壬申 九月 日改立”이라는 기록이 있어 이 비의 건립이 1872년 9월임을 알 수 있다. 신도비는 1990년 건립하였으며 귀부와 이수를 갖추고 있다. 墓..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46호_충주 연안이씨 쌍효각

청북도 문화재자료 제46호 _충주 연안이씨 쌍효각 (忠州 延安李氏 雙孝閣) 수량/면적 : 1원 지정일 : 2005.03.11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대전리1길 25 (동량면) 부모님에게 지극한 효성을 다한 李時熙와 李時杰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조선 경종 2년(1722)에 명정된 정려이다. 현재의 연안이씨 쌍효각은 충주시 동량면 대전리의 국도 제19호선변에 있다. 쌍효각 내용에 따르면 이시희(李時熙), 이시걸(李時杰) 형제는 연안 이씨 문강공인 이석현의 4세손으로 부친과 모친의 상을 당하자 형제가 함께 정성을 다해 시묘하였고, 임진왜란이 발생한 당시에서도 시묘를 이어갔다고 전해진다. 이 둘의 효성을 참작해 조선 경종 2년(1722)에 이 두 형제가 살고 있던 자리인 충주시 살미면 신당리에 명정된 정려..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66호_충주 이시진 효자각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66호 _ 충주 이시진 효자각 (忠州 李時振 孝子閣) 수 량 : 1동 지정일 : 2009.05.08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대전리1길 149 (동량면) 이시진(1578~1633)은 조선중기 때 효자로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슬퍼함이 극진하여 난리(임진왜란)를 만나서도 상복을 벗지 않았다. 또 어머니의 병환이 심해지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마시게 하여 소생케 하였으며 돌아가시자 3년간 시묘를 하여 몸이 야위어 거의 죽을 번하였다고 한다. 고을에 소문이 퍼져 사람들이 관찰사에게 보고하고 임금에게까지 알려져 1608년(선조 41) 정려를 명하여 세워진 효자문이다. ‘完山李時振之閭 萬曆 戊申春 命旌󰡑이라 편액 되어 있다. 남향으로 배치된 정려각의 규모는 정면1칸, 측면 1칸으로 구획하여 사면..

충청북도 기념물 제136호_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충청북도 기념물 제136호 _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忠州 富興寺 方壇積石遺構) 수 량 : 1기 지정일 : 2005.10.21 소재지 :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 산4-1 시 대 : 고려말 조선초로 추정 원래 방단식 이형 탑으로 추정되며 축조에 사용된 돌은 적돌크기보다 작은 장방형의 돌을 한 켜씩 쌓아올렸다. 탑의 앞면 하단부에는 감실이 조성되어 있고 감실 안에는 '富興山神位'라 새겨진 석비가 자리하고 있다.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표지판 고 최봉출 탑(故 崔奉出 塔)이라고 쓰인 석비(石碑) 고 최봉출님께서 48년간을 쌓은 석비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전경 부흥사 뒤쪽에 네모난 형태의 기단에 돌을 쌓은 구조물인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부흥산 신위(富興山 神位)'라 새겨진 석비가 안치되어 있는 감실..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0호_ 충주 신흥사 석조나한상군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0호 _ 충주 신흥사 석조나한상군 (忠州 新興寺 石造羅漢像群) 수 량 : 4구 지정일 : 2005.09.16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족동2길 197 (엄정면) 조선시대로 추정되는 신흥사석조나한상들은 특이하게 머리에 두건을 쓴 모습들이 일반적인 나한상과 구분되는 독특한 양식이며 상반신부터 하반신까지 이목구비, 삼도, 의문 등의 표현이 섬세하게 드러난 나한상으로 불상양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충주 신흥사 석조나한상군 표지판 충주 신흥사 석조나한상군 2023.01.08, 충주시 엄정면, 신흥사 대웅보전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78호_충주 고불선원 소조여래좌상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78호 _ 충주 고불선원 소조여래좌상 (忠州 古佛禪院 塑造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0.11.05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신내면 성당리 401 시 대 : 고려시대 추정 신니면 선당리 고불선원(古佛禪院)에 단독으로 모셔져 있는 이 불상은 소조불(塑造佛) 로서 양손을 일부 보수한 것을 제외하면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인데 얼굴에 철분을 칠하였다. 상호는 몸에 비하여 크게 표현하여 비례가 잘 맞지 않는 느낌이다. 얼굴은 네모진 모습이며 통통하게 살이 오르고 머리카락은 나발(螺髮)에 계주(髻珠)를 표현하였다. 이마에는 백호가 표현되었는데 보주는 최근에 삽입하였다고 한다. 몸통은 얼굴에 비하여 작게 표현되었는데 손가락 부분은 보수된 관계로 정확한 수인을 알 수 없으나 왼손은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2호_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2호 _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忠州 智堂里 石造如來立像) 수 량: 1구 지정일 : 2006.03.03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지당리 180 머리는 소발에 육계는 표현되지 않았으며 얼굴은 풍만상이다.입술은 두터우며 눈은 마멸이 심해 잘 알 수 없으나일직선으로 보인다.양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하여 밑으로 내렸는데 왼손은 약지와 소지를 구부리고 있다. 목부분은 부수되었는데 삼도가 확인되며 배면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다.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 표지판 원불사 전경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옆면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2022.10.23. 충주시 앙성면 지당리, 원불사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