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작품 4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강상한취도>

_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 조선 18세기 , 종이에 수묵, 경기도박물관 강가의 한가로운 풍경 단원 김홍도는 조선 최고의 화원으로 어린 시절 안산에 머물면서 강세황에게 그림을 배웠다. 그림 가운데에 큰 소나무를 비스듬하게 배치하고, 구불구불한 필선으로 나무 둥치와 가지의 윤곽선을 표현한 것은 김홍도 특유의 기법이다. 오른쪽 나무와 절벽을, 왼쪽에는 넓은 공간을 대비시켜 작은 화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였다. _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 2021.06.25, 경기도박물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김홍도(金弘道)의 <낭원투도(閬苑偸挑)>

_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지본담채, 102.3×49.8cm, 간송미술관 낭원에서 복숭아를 훔치다. 단원 김홍도는 보통 도석화로 분류하는 신선도(神仙圖)와 선승도(禪僧圖)를 특히 많이 그리고 잘 그려서 우리 회화사상 도석화의 제일인자하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작품은 선도(仙挑)을 세 번이나 훔쳐 먹어 3천갑자(1갑자는 60년이니 18만 년)를 살았다는 동방삭(東方朔)이란 신선이 서왕모(西王母)의 낭원(閬苑)에서 복숭아를 훔쳐오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동방삭의 얼굴을 중국풍 신선의 기형적 모습이 아닌 우리 주변의 평범한 얼굴로 묘사하여 독자성을 드러냈다. 단원의 도석화 중 백미(白眉)로 꼽히는 작품이다. 간송미술관_보화수보(간송의 보물 다시 만나다)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

국보 제139호_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국보 제139호 _ 김홍도 필 군선도 병풍 (金弘道 筆 群仙圖 屛風) 수 량 : 8연폭 지정일 : 1971.12.21 소재지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시 대 : 조선시대(1776년) 조선 후기 화가인 단원 김홍도(1745∼?)가 그린 도석인물화이다. 도석인물화란 불교나 도교에 관계된 초자연적인 인물상을 표현한 그림이다. 이 그림은 원래는 8폭의 연결된 병풍그림이었으나 지금은 8폭이 3개의 족자로 분리되어 있다. 이 그림은 모두 연결한 상태에서 가로 575.8㎝, 세로 132.8㎝의 크기이며, 그것이 분리된 3개의 족자는 가로 48.8㎝, 세로 28㎝ 내외이다. 종이 바탕에 먹을 주로 사용하고 청색, 갈색, 주홍색 등을 곁들여 채색하였다. 여기서 묘사된 신선들의 ..

문화재/국보 2021.10.13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 보물 제1393호_김홍도필 추성부도

보물 제1393호 _ 김홍도 필 추성부도 (金弘道 筆 秋聲賦圖) 수량/면적 : 1폭 지정일 : 2003.12.3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1805년) 김홍도필 는 중국 송대(宋代) 구양수(歐陽修, 1007∼1072)가 지은 ‘추성부(秋聲賦)’를 단원 김홍도(1745∼1806?)가 그림으로 그려낸 시의도(詩意圖)이다. 화면의 왼쪽에는 백문타원인(白文楕圓印)으로 기우유자(騎牛游子)라 찍혀 있으며 추성부 전문이 김홍도의 자필로 쓰여져 있는데, 끝 부분에 ‘을축년동지후삼일(乙丑年冬至後三日) 단구사(丹邱寫)’라 하였으므로 이 그림은 1805년 즉, 단원의 나이 61세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해는 단원이 죽기 바로 전 해로 추..

문화재/보물 2021.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