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재 26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5호_성주이씨 영정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5호 _ 성주이씨 영정 (星州李氏影幀), 이조년(李兆年, 1269~1343) 초상(肖像) 수 량 : 10종13폭 지정일 : 1989.05.29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고려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성주 이씨의 선조로서 국가에 공헌하였던 열 분의 초상화 13폭이다. 모두 원본을 옮겨 그린 것으로 국가에 공을 세운 공신의 모습이며, 의자에 앉아있는 전신좌상이다. 원래 스물두 분의 초상화가 보존되고 있었으나, 조선 선조 14년(1581) 지금의 벽진면 자산리에 영당·영정을 보관하기 위한 집을 세워 한 곳에 모아 오던 중 임진왜란 때 그 일부를 도둑맞았다. 이에 인조 10년(1680)에는 이 영당에 임금이 안산서원이라는 이름을 내리어, 유림으로 하여금 영정을 보존하고 제사를 지내도록 하..

카테고리 없음 2021.11.16

보물 제1535호_숙빈최씨 소령원도

보물 제1535호 _ 숙빈최씨 소령원도 (淑嬪崔氏 昭寧園圖), 소령원도(여산론), 소령원도(배치도) 수 량 : 4종 지정일 : 2007.12.31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18세기 이 그림은 숙빈 최씨(1670~1718)의 무덤인 양주(楊洲)의 소령원(昭寧園)을 그린 묘산도이다. 숙빈 최씨는 영조의 생모로 1718년(숙종 44)에 사망하여 양주 고령동 옹장리(현 경기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에 묻혔다. 이때는 영조가 즉위하기 전이라 묘(墓)라 하였다가 1753년(영조 29) 소령원(昭寧園)으로 봉해졌다. 은 두꺼운 종이에 먹으로 상단에 제목을 쓰고, 가운데 산도(山圖)를 그리고, 하단에는 산론(山論)을 적었다. 이 그림은 길지를 택하는 과정에서..

문화재/보물 2021.11.13

보물 제1756호_김응남 호성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

보물 제1756호 _ 김응남 호성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 (金應南 扈聖功臣敎書 및 關聯 古文書) 수 량 : 교서 1축, 교지 1점 지정일 : 2012.02.22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조선시대 김응남 호성공신교서는 임진란에 선조와 세자를 호종하고 피란할 때 시종(侍從)한 공로로 난후인 1604년에 김응남에게 내린 것이다. 호성공신은 서울에서 의주(義州)까지 시종(侍從)한 신하들을 공로에 따라 3등으로 나누어 모두 86명을 녹훈하였는데, 1등은 이항복(李恒福)등 2명, 2등은 이원익(李元翼)등 31명, 3등은 정탁(鄭琢)등 53명이다. 김응남은 2등공신의 9번째에 책록되었다. 본 교서의 구성은 김응남의 관계(官階)에 이어 선조가 몽진(蒙塵)할..

문화재/보물 2021.11.13

보물 제1597호_ 아국여지도

보물 제1597호 _ 아국여지도 (俄國輿地圖), 복제본 수 량 : 1첩 지정일 : 2008.12.22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19세기 19세기 두만강 하구의 녹둔도 일대와 주변지역을 그린 지도를 엮은 지도첩이다. 이 지도는 20면이 절첩으로, 전체를 펼치면 3m 가량 한 폭의 대형지도가 되는 형식이다. 맨 앞장에는 지도의 목록이, 지도에는 지역별, 가구수, 인구, 물산, 군사관계, 거리등이, 그리고 맨 뒤에는 김광훈(金光薰)과 신선욱(申先郁)이 쓴 「청아여지형정석의서(淸俄輿地形情釋義序)」가 딸려 있다. 고급펄프지인 洋紙에 수묵과 채색으로 그린 회화식지도로, 전통적인 關防圖형식을 따른 함경도와 러시아 동부지역 지도이다. 김광훈, 신광욱이 두만..

문화재/보물 2021.11.13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0호_최진립 전적 및 유품

최진립 전적 및 유품 표지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0호 _ 최진립전적및유품 (崔震立典籍및遺品), 홍패 수 량 : 일괄7종 207점 지정일 : 1993.02.25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 2등에 올랐던 잠와 최진립(1568∼1636) 장군의 유품이다. 최진립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동생 계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1594년 무과에 급제하여 부장으로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양하고, 후에 1607년 도총도사에 임명되자 비로소 벼슬길에 올랐다. 1636년 공주영장으로 병자호란을 만나 장렬히 싸우다 전사하였다. 유물들을 보면, 길이 1m 정도의 지휘도와 군사인수인계문서인 해유서, 장군의 휘장인 옥로잠, 옥대, 『잠와실기』목판 165매, 호패, ..

보물 제1672-1호_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

보물 제1672-1호 _ 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 (宋浚吉 行草 同春堂筆跡) 수 량 : 1첩 지정일 : 2010.10.25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1666년(현종 7, 송준길 61세) 이후 『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宋浚吉 行草 同春堂筆跡)』은 송준길(1606~1672)이 남송 주희의 「학고재명」과 장인 우복 정경세의 「우곡잡영 20절」을 필사한 것이다. 앞쪽에 가지런한 행서로 쓴 은 퇴계 이황의 서풍을 수용한 면모를 보여주며, 뒤쪽의 은 송준길의 전형적인 행초 서풍을 보여준다. 특히 송준길이 율곡 이이 이래로 김장생ㆍ김집 등의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맥을 이으면서도 영남학파 학자였던 장인 정경세를 통해 퇴계 이황의 학문을 수용하고 글씨까지 따..

문화재/보물 2021.11.12

보물 제1632-3호_정조어필-시국제입장제생

보물 제1632-3호 _ 정조어필 - 시국제입장제생 (正祖御筆 - 示菊製入場諸生) 수 량 : 1점 지정일 : 2010.01.04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1798년(정조 22) 「정조어필-시국제입장제생(正祖御筆-示菊製入場諸生)」은 1798년 9월 9일 성균관에서의 국제(菊製)에서 정조가 낸 어제(御題)의 뜻을 유생들이 이해하지 못해 백지와 거친 답안이 나오자, 정조가 여러 유생에게 내보였던 초고의 별유(別諭)이다. 이에 관한 내용은 「승정원일기」, 「정조실록」, 「홍재전서」에서 모두 확인 된다. 닥종이 3장을 이어붙인 큰 폭으로 글자 사이에 더 써넣거나 적절치 않은 글자를 먹으로 뭉개고 다시 쓰기도 했다. 별유 앞쪽에 “대다수 선비의 실력이 ..

문화재/보물 2021.11.12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0호_박동량 호성신교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0호 _ 박동량 호성공신교서 (朴東亮 扈聖功臣敎書) 수 량 : 1권 지정일 : 2011.303.08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조선시대 1604년 문신 박동량을 호성공신 2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선조는 1604년(선조 37) 6월에 임진왜란 때 공헌이 있는 신하에게 호성공신(扈聖功臣)·선무공신·청난공신 등 세 종류의 공신을 녹훈하고, 같은 해 10월에 이르러 공신으로 녹훈된 이들에게 교서를 발급하였다. 이 중 호성공신은 임진왜란 당시 선조가 피난 갈 때 임금과 세자를 호종한 신하에게 내린 칭호이며, 이들에게 공훈에 따라 등급한 사실을 문건으로 내린 것이 교서이다. 호성공신은 1등에 이항복(李恒福) 등 2인, 2등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9호_만력기축 사마박몽

경기도 유형문화재 _ 만력기축 사마방목 (萬曆己丑 司馬榜目) 수 량 : 1책 지정일 : 2011.03.08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조선시대 사마방목은 조선시대 과거시험에 합격한 생원과 진사의 명부로, 문과 방목과 동일한 형식으로 편찬되었다. 만력 기축년에 실시된 과거시험은 조선 건국 이후 태조 이성계의 가계에 대한 명나라 측의 오류를 바로잡은 이른바 ‘종계변무(宗系辨誣)’에 관한 문제가 1588년(선조 21)에 이르러 원만히 해결되자, 이를 기념하기 위해 그 이듬해 시행되었다. 이때 과거에 응시하여 합격한 호성공신 박동량에게 반사한 방목이다. 이 방목은 박동량에게 반사한 원본이 망실되어 후대에 다시 정서(淨書)하여 만든 전사본 1책이다. 1..

보물 제1631-2호_영조어필-숙빈최씨소령묘갈원

보물 제1631-2호 _ 영조어필 - 숙빈최씨소령묘갈문원고 (英祖御筆 - 淑嬪崔氏昭寧墓碣文原稿) 수 량 : 1점 지정일 : 2010.01.04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1744년 (영조 20) 「영조어필-숙빈최씨소령묘갈문원고(英祖御筆-淑嬪崔氏昭寧墓碣文原稿)」는 영조가 51살 때인 1744년(영조 20) 7월에 사친 숙빈최씨의 소령묘의 묘갈문을 짓기 위해 쓴 초안 원고이다. 이 원고에는 어머니 조상의 이름과 추증 연월, 어머니가 궁에 들어간 나이 등이 비어 있는데, 현재 숙빈최씨의 무덤 소령원(昭寧園)에 세워진 묘갈문에는 모두 채워져 있으며 내용도 일부 추가되었다. 또 원고에서는 영조가 전면대자(前面大字)를 쓰고 서평군(西平君) 이요(李橈)가 ..

문화재/보물 2021.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