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성 역사관 문화재 5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37호_한원진 초상 일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37호 _ 한원진 초상 일괄 수 량 : 7점 지정일 : 2016.03.1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아문길 20 (홍성읍, 홍주성역사관) 한원진이 59세 되던 해인 1740년(영조 16) 5월, 그의 문인 용재(庸齋) 김근행(金謹行, 1713~1784)의 주도 아래 화원 진응회(秦應會, 1705~?)가 처음 그렸다. 하지만 당시 제작된 작품은 전하지 않으며, 현존하는 초본과 정본 초상화는 모두 후대의 이모작(移摹作)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한원진 초상’은 총 9점이며, 황강영당본과 국립중앙박물관본을 제외한 나머지 7점이 홍성의 종가 소장품이다. 9점 모두 심의복건상(深衣幅巾像)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단일 인물의 초상화로서 ‘송시열 초상’에 버금가는 수량이지만, 각각의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3호_임득의 초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3호 _ 임득의 초상 (林得義 肖像), 복제품 수 량 : 1점 지정일 : 2010.07.3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임득의(林得義, 1558-1612)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자방(子房)이고 본관은 평택이다. 1596년에 일어난 이몽학(李夢鶴)의 반란을 평정한 공으로 1604년(선조 37) 청난공신(淸難功臣) 3등에 책록되었고, 충청수우후(忠淸水虞侯)와 경상우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함. 은 가전(家傳)되어옴 임득의 초상 (林得義 肖像), 복제품 임득의(林得義, 1558~1612)의 초상. 임득의 장군은 이몽학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청난공신에 보해졌으녀, 이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왕명으로 공신상을 그렸다. 조선 중기초상화 기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임득의 초상 상반신, 복제품 임..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33호_홍성 전세진 유품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33호 _ 홍성 전세진 유품 수 량 : 19점 지정일 : 2015.12.21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아문길 20 (홍성읍, 홍주성역사관) 전세진 유품은 총19점으로 송덕산(만인산), 사명기, 용머리 가자, 함꿰와 전세진과 관련된 홍패 등 고문서 15점으로, 만인산(萬人傘)은 “예전에 고을 백성들이 비단을 일산 모양으로 만들어서 가장자리에 여러 비단 조각을 늘어뜨려 유지들의 이름을 기록하여 만든 물건”을 가리킴. 만인의 이름을 수 놓아 산개(傘盖) 형태로 만들어 수를 놓았다고 하여 수산(繡傘)이라고 하거나, 수를 놓은 고을 사람들의 숫자를 따서 ‘천인산(千人傘)’ 혹은 ‘만인산’이라고 부르거나, 산(傘)을 받는 사람의 공덕을 우러른다고 하여 송덕산(頌德傘)이라고도 부름. 전세진 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7호_전운상 영정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7호 _ 전운상 영정 (田雲祥 影幀) 수 량 : 1점 지정일 : 1995.10.07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아문길 20 (홍성읍, 홍주성역사관) 조선 후기의 무신인 전운상(1694∼1760) 선생의 초상화이다. 전운상은 숙종 43년(1717) 24세의 나이로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함경도 부사로 있을 때 어진 정치를 베풀어 왕의 표창을 받기도 하였다. 비단 바탕에 채색하여 그린 선생의 초상화는 감색 조복을 입고 의자에 앉아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전신좌상으로, 크기는 가로 88.0㎝, 세로 136.5㎝이다. 의자에는 호랑이 가죽이 덮혀 있고, 두손은 옷 소매자락 안에 공손히 모아 두었으며, 가죽신을 신고 있는 발은 팔(八)자 모양으로 벌리고 있다. 관복은 호랑이무늬가 있는 흉배를 ..

국내 유일의 석재족보를 남긴 가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4호_홍성 연산서씨석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4호 _ 홍성 연산서씨석보 (洪城 連山徐氏石譜) 수 량 : 4매 지정일 : 1997.08.05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홍주성 박물관 홍성의 연산 서씨 족보를 돌에 새긴 특이한 유물이다. 족보라는 것은 한 집안의 세계(世系)를 기록하여 가문의 형통과 맥을 후대에 책으로 만들어 보존하여 전해지는 것이 보통인데 연산 서씨는 특이하게 136년 전에 8매의 4각 오석(검은 빛이 나는 단단한 돌)에 족보를 새겨 보존하고 있다. 크기는 가로 25㎝, 세로 36㎝이며, 두께는 3㎝정도이다. 홍성 연산서씨석보 (洪城 連山徐氏石譜) 표지판 국내 제일의 석재족보를 남긴 가문, 송성의 연산서씨 연산서씨의 시조는 연성군 서준영으로 성균관 생원이었던 아들 서보가 고려멸망 후 처가인 결성현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