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보물 제1319호_경진년대통력 (2019.02.03)

기리여원 2019. 2. 3. 20:24

 

보물 제1319호 _ 경진년대통력 (庚辰年大統曆)

 

수   량 : 1책

지정일 : 2001.08.03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삼청로 37, 국립민속박물관 (세종로,국립민속박물관)

 

대통력은 명나라의 역법(曆法)으로, 고려말인 공민왕 19년(1370)에 수입되어 조선 효종 4년(1653)에 시헌력을 채용할 때까지 근 300년간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역법이다.

조선은 태조의 즉위교서에서 명나라의 형률인 대명률의 사용을 천명한 이래로 형률은 대명률을 사용하고 역서는 대통력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지역적 차이로 시각과 절기가 중국과 잘 맞지 않고 역서가 도착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걸려 때맞춰 널리 알릴 수 없으므로 실제로는 독자적인 책력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이 경진년 대통력은 모두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첫 장은 정월에서 12월까지 윤4월을 포함한 13개월의 24절기에 관한 내용과 연신방위지도이고, 제2장∼제14장은 책력의 본체인 1월에서 12월까지의 월력이다. 달력에는 날짜별로 일상생활에서 그날그날 하기에 좋은 일과 해서는 좋지 않은 일을 기록하고 있다. 마지막 제15장은 부록격으로, 간지별로 피해야 할 일들을 열거한 부분과 이 책력의 편찬·인쇄에 관여한 사람들의 이름이 적힌 목록이다.

이 책력이 만들어진 때는 조선 선조 13년(1580)이나 대개 역서를 편찬하고 인쇄하는 것은 새해가 시작되는 전년도의 동지이므로 이 대통력을 인쇄한 것은 선조 12년(1579)으로 추정된다.

경진년 대통력은 관상감에서 활자로 찍은 임진왜란 이전의 역서로는 유일한 것이다. 또한 관상감 인력자(印曆字)로 찍어낸 책 중 가장 앞선 것으로서, 조선시대의 활자연구와 서지학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보물 제1319호 _ 경진년대통력 (庚辰年大統曆)

 

 

보물 제1319호 _ 경진년대통력 (庚辰年大統曆)

 

글 문화재청, 국립민속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