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315호 _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지정일 : 2010.01.04
시 대 : 통일신라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봉암사 (원북리)
크기나 귀부와 이수의 조각수법 등이 통일신라 말기를 대표하는 전형적인 양식과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비문에는 신라의 불교사를 3시기로 나누어 약술하고 도신(道信)-법랑(法朗)-신행(愼行)-준범(遵範)-혜은(慧隱)-도헌(道憲)으로 이어지는 도헌국사의 법계(法系)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어서 신라하대의 불교사 특히 선종사(禪宗史) 연구의 중요한 1차 사료가 된다. 이 비는 당대의 대학자이며 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비문을 지은 것으로 그가 비문을 지은 대숭복사비(大崇福寺碑),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국보 제8호),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국보 제47호)와 함께 4산비문의 하나로 일컬어지는 탑비로서, 그 학술적 가치가 일찍부터 높이 평가되어온 것이다. 이 비에는 탑비를 세운 연대가 밝혀져 있을뿐 아니라, 비문을 쓰고 각자(刻字)한 사람이 분황사의 승려 혜강(慧江)임이 밝혀져 있어서 한국 서예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저자 최치원은 여타 전기자료와는 달리 지증대사의 일생 행적을 여섯 가지의 신이(神異)한 사실〔육이(六異)〕과 여섯 가지의 훌륭한 행적〔육시(六是)〕으로 정리하고, 예를 들어가며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다른 비문에서는 볼 수 없는 전기 서술의 한 특징이다.
한편, 이 비문에는 신라 하대의 인명, 지명, 관명, 사찰명, 제도, 풍속 등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신라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특히 신라의 왕토사상(王土思想) 및 사원에 토지를 기진(寄進)하는 절차를 알려주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신라 말 선종 산문의 개창이 지방 유력자의 후원에 힘입어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명확한 기록이 비문 중에 밝혀져 있고 비 건립의 후원자 또한 명확하게 밝혀진 것도 이 비가 갖는 의의를 높여 준다. 또 사원 운영의 주체인 사직(寺職)의 구체적인 모습이 확인되는 신라 유일의 비라는 점도 의의가 크다. 뿐만 아니라 이 비문에는 백제의 소도(蘇塗)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이는 백제 소도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국내 유일의 기록이다.
이상에서 열거한 바와 같이 이 탑비는 고비(古碑)로, 지증대사의 전기자료적 가치는 물론이고, 한국고대사 특히 신라선종사·서예사·한문학사 등 한국고대문화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갖는 탑비로 평가된다
국보 제315호 _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좌측
석가탄신일만 일반인에게 출입을 허용하는 문경 봉암사!
3년전인 2015.05.25.석가탄신일날 문경 봉암사 문화재답사하러 왔을 때 보수 공사로 인하여 국보 제315호_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과 보물 제137호_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2개의 문화재를 보지 못해서 3년만에 다시 찾아 영상에 담아 갑니다.
국보 제315호 _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국보 제315호 _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비는 봉암사를 찬건한 지증대사의 공적을 찬양한 부도탑비로 신라 경애왕 원년(서기 924년)에 세운 것으로 귀부와 이수를 완전히 갖춘 석비이다.
귀두는 한개의 뿔을 장식한 용머리 형으로 얽히어 싸우듯 장식한 매우 섬세하고 다양한 이수를 비신위에 갖추고 있는 통일신라 최전성기의 석비이다.
비문은 신라시대 대문호인 "고운 최치원"이 글을 짓고 분황사의 83세 혜강 노스님이 글을 쓰고 새겼다. 비의 높이는 2.73m이고 너비는 1.64m이다.
국보 제315호 _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국보 제315호 _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국보 제315호 _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국보 제315호 _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출처 문화재청, 봉암사 홈페이지
'문화재 >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205호_충주 고구려비(2014.10.05.일요일) (0) | 2018.06.09 |
---|---|
국보 제321호_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2015.05.24.일요일) (0) | 2018.05.25 |
국보 제197호_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0) | 2018.05.11 |
국보 제63호_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0) | 2018.05.02 |
국보 제190호_천마총 금제 허리띠 (0) | 2018.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