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824호 청룡사 대웅전
청룡사 대웅전
위치 :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28
서운산에 있는 청룡사는 고려 원종 6년(1265) 명본대산(明本大師)가 창건하여 공민왕 13년 (1364)승려 나옹(懶翁)에 의해 중창된 유서 깊은 사찰로 조선 초기까지도 왕실의 원찰이었던 곳이다. 대웅전의 중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선조 34년(1601)에 중수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17세기 이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숙종 46년(1720), 순조 21년(1821), 헌종 15년(1849), 칠종14년(1863)에도 중수되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4칸의 규모로 자연석으로 쌓은 기단에 초석을 놓고 둥근 기둥을 세운 다포계 팔작집이다. 지붕가구는 7량으로 구성되었고, 내부 천장은 일반적인 불전과 달리 반자 없이 연등천장으로 구성하였다. 내부에는 중앙에 불단을 만들어 석가삼존불을 봉안하였고 그 위에 부처를 보호, 장식하기 위해 닫집을 달아 장엄하다. 이 건물에서 주목할 부분은 원래의 생김새대로 다등어 사용한 부재들의 치목 수법이다.
특히 전면 기둥은 비교적 가지런하지만 양 측면과 후면에 사용된 기둥은 휘거나 아래는 두껍고 위는 가는 것 등 여러 형태의 기둥이 사용되었고 지붕가구에도 휘어진 대들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것은 이 불전의 중수 당시에 목재가 부족했던 형편을 반영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부재를 사용하여 집을 짓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자연주의 미학과 비정형의 부재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목수의 기량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 닫집 : 궁전 안의 옥좌 위, 또는 법당의 불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의 모형.
※ 반자 : 방이나 마루의 천장을 편평하게 만드는 시설.
※ 연등천장 : 서까래 사이에 흙을 발라서 정리한 경사진 천장
출처 - 안성시청 문화관광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청룡사 사적비
청룡사의 건대연립, 변천과정, 기타 사항에 관한 사항 등을 알려주는 사적비이다.
청룡사 사천왕문
청룡사 사천왕문
보물 제824호 청룡사 대웅전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4칸의 규모로 자연석으로 쌓은 기단에 초석을 놓고 둥근 기둥을 세운 다포계 팔작집
내부에서 본 사천왕문
보물 제824호 청룡사 대웅전
보물 제824호 청룡사 대웅전
보물 제824호 청룡사 대웅전
보물 제824호 청룡사 대웅전
보물 제824호 청룡사 대웅전
보물 제824호 청룡사 대웅전
경기도 문화재자료59호 청룡사 삼층석탑
청룡사 앞뜰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네모난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은 4장의 판돌을 세워 4면을 이루게 한 뒤, 판돌을 얹어 마무리하였는데,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과 지붕돌이 교대로 올려진 탑신부는 몸돌의 모서리에 기단에서와 같은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다. 몸돌의 크기는 2층에서부터 급격히 줄어들었는데 이로 인해 전체에 흐르던 비례감이 약간 흐트러지고 있다. 급한 경사를 이루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에서 살짝 위로 들려 가벼움을 실었으며, 윗면의 네 모서리선이 뚜렷하게 표현되었다.
기단과 지붕돌 모서리의 일부가 깨져 나가고,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없어지긴 하였으나,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있는 탑으로, 고려시대의 석탑양식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59호 청룡사 삼층석탑
청룡사 대웅전 편액
후박나무
청룡사 사찰내에 있는 이 한그루의 후박나무에는 사연이 있은 즉 뱀이 후박나무를 감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부처님이 염불을 하고 있는 형상
층층나무 가운데에 뱀이 꿈틀 거리고 있는 형상
후박나무 중간에 뱀의 머리와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사천왕문에서 본 대웅전의 전경
여기까지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화재 >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백련사 (2014.10.26), 보물 제994호_강화 백련사 철조아미타여래좌상 (0) | 2014.10.28 |
---|---|
여주 신고달사 (2014.08.24.일요일) (0) | 2014.08.29 |
영각사 (2013.12.29.일요일) (0) | 2013.12.31 |
여주 신륵사 (2013.12.08.일) (0) | 2013.12.09 |
서산 개심사(2013.11.10.일요일) (0) | 201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