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보물 제1039호 _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 (靑磁 象嵌牡丹文 鉢盂 및 楪匙)
수 량 : 4점
지정일 : 1990.05.21
소재지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한남동)
시 대 : 고려시대
고려시대 만들어진 높이 4.4∼7.3㎝, 아가리 지름 16.1∼18.9㎝, 밑지름 5.9∼6.1㎝의 발우 3점과 높이 12.9㎝, 아가리 지름 14㎝, 밑지름 5.7㎝의 전접시 1점이다.
발우는 불교에서 사용하던 식기를 일컫는 말로, 크기가 점점 작아져 포개어 넣을 수 있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전접시는 아가리 부분이 밖으로 수평에 가깝게 꺾인 형태의 접시로, 발우 3점과 같이 1세트를 이룬다.
무늬를 보면 발우는 안쪽 밑바닥에 국화가 상감되어 있고, 옆면에는 모란 3송이가 자연스러운 형태로 세밀한 부분까지 묘사되어 있다. 바깥쪽은 입술 부분에 번개무늬가 백상감 되었고, 옆면 전체에 꽃모양 덩굴무늬가 백상감 되어 있다.
전접시는 안쪽 밑바닥에 국화문이 있고, 옆면에 모란을 4송이 그렸다. 그 외에는 발우와 비슷하다.
4점 모두 같은 질과 문양, 형식이어서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 표지판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청자 상감모란문 접시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2018.12.09, 국립중앙박물관_대고려전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048호_지장시왕도(2018.12.09) (0) | 2018.12.15 |
---|---|
보물 제1047호_금동대세지보살좌상(2018.12.09) (0) | 2018.12.14 |
보물 제978호_백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0) | 2018.12.14 |
보물 제964호_대방광불화엄경소 권41(2018.12.09) (0) | 2018.12.14 |
보물 제784호_지장도(2018.12.09) (0) | 2018.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