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426호 _ 수월관음도 (水月觀音圖)
수 량 : 1폭
지정일 : 2005.01.22
소재지 :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
시 대 : 고려시대
수월관음도는 비록 조성연대와 작가가 명확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변·퇴색과 수리 및 덧그린 흔적이 엿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일본 소재의 1323년 작 서구방 필 수월관음도를 위시한 고려시대 14세기 관세음보살도들과 비교해 보면 마치 한 본을 사용하기라도 한 듯 구도와 인물의 형태가 거의 같고, 고려불화의 특징적인 화사한 색채와 세련되고 우아한 선을 구사한 인물 묘사 등 세부묘사에 있어서도 서로 유사한 점이 엿보여 예술성 높은 동일시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화면 구성이 충실하며 표현기법 역시 고려불화의 전형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 그리고 국내에는 제대로 된 고려시대 수월관음도가 2∼3점에 불과하다는 자료의 희소성, 나아가 이미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두 점의 수월관음도와 비교하여도 질적인 면에서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미술사적으로 자료적 가치가 충분하다.
보물 제1426호 _ 수월관음도 (水月觀音圖)
비교적 큰 화면의 수월관음도로 배경을 이루는 큰 원형 광배나 관음보살 뒤편으로 자라는 두 그루의 대나무가 잘리지 않고 한 폭에 담겨 있어 안정적인 화면 구성을 보인다. 관음보살의 얼굴이나 관음보살을 찾아가 배례하는 선재동자의 표정 묘사가 자연스럽다.
관음보살의 보관부터 발끝까지 투명한 사라(紗羅:비단의 일종) 베일로 감쌌는데, 베일에는 유려한 원형의 당초무늬가 그려져 있다. 암좌 주변으로는 연꽃과 산호, 보주와 보석이 표현되어 관음의 정토를 상징한다
2018.12.09, 국립중앙박물관_대고려전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780호_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0) | 2018.12.17 |
---|---|
보물 제1634호_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0) | 2018.12.17 |
보물 제1547호_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2016.12.18.일요일) (0) | 2018.12.15 |
보물 제1375호_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 (0) | 2018.12.15 |
보물 제1287호_지장보살삼존도(2018.12.09) (0) | 2018.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