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불사(三佛寺) 대웅전
삼불사(三不佛寺)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65-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에 있는 불국사의 말사
삼불사(三佛寺)는 경주 남산의 선방곡(승방곡)에 있는 사찰이다.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는다. 유물로 미루어 보아 신라 때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랫동안 폐사된 것을 최근에 중창했다. 사찰 건물로는 법당과 산신각, 요사채가 있고 삼존 석불입상(삼체석불)과 통일신라 이전에 조성된 2기의 석탑이 있다. 특히 1923년에 발굴된 삼존 석불입상은 7세기 작품으로 추정되며 칠불암(七佛庵)의 삼존불상과 더불어 경주 남산에서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보물 제63호로 지정되어 있다. 석탑 2기는 통일신라 이전의 것이다. 경주 남산의 불교문화를 이해할 때 참고될 수 있는 사찰이다.
글 : 다음백과
세심단속문(洗心斷俗門)을 거쳐 법당으로 들어간다.
삼불사(三佛寺) 대웅전(大雄殿)과 삼층석탑
삼불사(三佛寺) 삼층석탑
삼불사(三佛寺) 삼층석탑
삼불사(三佛寺) 대웅전(大雄殿)
삼불사(三佛寺) 대웅전(大雄殿)
삼불사(三佛寺) 대웅전(大雄殿)
삼불사(三佛寺) 대웅전(大雄殿) 석가모니불
삼불사(三佛寺) 산신각(山神閣)
보물 제63호 _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慶州 拜洞 石造如來三尊立像)
수 량 : 3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경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65-1번지
시 대 : 삼국시대
경주 남산 기슭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23년 지금의 자리에 모아 세웠다. 이 석불들은 기본양식이 똑같아 처음부터 삼존불(三尊佛)로 모셔졌던 것으로 보인다.
중앙의 본존불은 머리에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있는데, 특이하게도 이중으로 되어 있으며, 표면이 매끄럽게 표현되었다. 어린아이 표정의 네모난 얼굴은 풍만하며, 둥근 눈썹, 아래로 뜬 눈, 다문 입, 깊이 파인 보조개, 살찐 뺨 등을 통하여 온화하고 자비로운 불성(佛性)을 표현하고 있다. 목이 표현되지 않은 원통형의 체구에 손을 큼직하게 조각하였는데, 왼손은 내리고 오른손은 올리고 있다. 묵직해 보이는 옷은 불상을 전체적으로 강직해 보이게 하지만, 어린아이같은 표정과 체구 등으로 오히려 따뜻한 생명을 실감나게 표현하고 있다.
왼쪽의 보살은 머리에 보관을 쓰고 만면에 미소를 띠고 있으며, 가는 허리를 뒤틀고 있어 입체감이 나타난다. 오른손은 가슴에 대고 왼손은 내려 보병(寶甁)을 잡고 있는데, 보관에 새겨진 작은 부처와 더불어 이 보살이 관음보살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오른쪽의 보살 역시 잔잔한 내면의 미소를 묘사하고 있는데, 무겁게 처리된 신체는 굵은 목걸이와 구슬장식으로 발목까지 치장하였다.
조각솜씨가 뛰어난 다정한 얼굴과 몸 등에서 인간적인 정감이 넘치면서도 함부로 범할 수 없는 종교적 신비가 풍기고 있는 작품으로 7세기 신라 불상조각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아미타불상
왼쪽의 대세지보살
오른쪽의 곤세음보살
보물 제63호 _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慶州 拜洞 石造如來三尊立像)
글 문화재청
'문화재 >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부흥사와 늠비봉오층석탑 (0) | 2019.09.17 |
---|---|
경주 망월사 (2019.09.13) (0) | 2019.09.17 |
경주 천룡사지, 천룡사(2019.09.13) (0) | 2019.09.17 |
경주 와룡사 (2019.09.13) (0) | 2019.09.16 |
신풍 자불 백년사 , 김인한.유덕렬가옥 (0) | 2019.06.17 |